View : 2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주보림-
dc.contributor.author곽윤희-
dc.creator곽윤희-
dc.date.accessioned2024-08-19T16:32:15Z-
dc.date.available2024-08-19T16:32:15Z-
dc.date.issued2024-
dc.identifier.otherOAK-000000232725-
dc.identifier.urihttps://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232725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69087-
dc.description.abstract세계적으로 주목받고 있는 한국의 문화는 국제 경쟁력을 확보하고 자국의 정체성이 담겨진 차별화된 제품을 개발 하는 것은 당면한 과제이다. 이러한 움직임 속에서 전통문화는 그 나라의 정체성과 고유한 문화 이미지를 대표하며, 전통문화를 기반으로 민족의 고유성, 한국 전통표현을 주제로 문화적 가치를 재발견, 재창출 된 디자인은 우리민족의 우수한 문화를 세계화하고 문화 경쟁력을 키울 수 있는 좋은 자료가 된다. 한국의 전통 건축 양식 중 창살문양은 한국의 전통 건축 미학과 기원의 내적측점을 가장 짙게 풍겨 볼 수 있는 부분 중 하나이다. 창살은 내부 공간에 빛과 공기를 받아들이고 조망을 위해 설치한 시설물이며 창살 기능 뿐 아니라 창살의 격자 무늬나 형태, 유리의 반사 등은 햇빛에 그림자가 지는 모습 또한 하나의 조형적이고 공예적인 조형성을 지니고 있다. 한국의 전통 창살은 선과 선의 교차에서 생기는 면의 구성 안에서 단순한 형태로 시작되어 삼각형, 사각형, 다각형등 다채롭게 만들어 낸 모습은 소박하면서 화려하다. 살의 짜임새로 창살마다 이름을 가지며, 공간별로 사용하는 창살의 형태가 다르고 창살마다 의미를 담고 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전통 창살의 특징을 분석한 면 구성을 토대로 평면, 부조, 입체구성을 통해 현대 패션 디자인에 응용하여 전통미의 현대화를 도모함과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한 연구 방법은 이론적 고찰과 작품 제작으로 구성된다. 한국 전통문화의 창살에 대한 문헌 고찰을 통한 자료를 토대로 창살의 역사와 변천과정을 살펴보고, 창살의 종류와 특징, 조형적 이미지를 분석한다. 전통창살을 응용한 현대 패션디자인 사례를 연구, 분석함으로서 이에 따른 실제적인 다양한 활용에 대해 고찰한다. 창살의 면구성에 대한 고찰을 위해 면구성의 개념을 살펴보고 면구성의 응용 사례를 수집, 분석하여 현대적인 표현 방법에 대해 모색한다. 이상과 같은 이론적 고찰을 근거로 한국 전통 창살의 면 구성을 통한 면 분할에서 입체 표현 방식을 디자인에 접목하여 새로운 디자인과 소재 개발 가능성의 연구를 위한 작품을 제작한다. 본 연구의 이론적 연구를 통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첫째, 창살은 창호안에 존재하며, 창살 기능 뿐 아니라 우리 선조들의 사상, 문화적 시대를 반영하며 상징적인 역할과 예술적 가치가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선사시대부터 형태가 가장 다양한 조선시대를 거쳐 현재까지 사용되어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창살의 종류에 대한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띠살, 용자살, 숫대살, 빗살, 소슬빗살, 완자살, 아자살, 정자살, 귀자살, 귀갑살, 꽃살 등이 있으며 각 창살이 갖는 형태와 특징에 대해 확인하였으며 창살은 선과 면의 교차에 의한 구성이 중요한 비중을 차지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창살은 선과 면이라는 기초 단위로부터 생성되어 면과 형으로 발전되었으며, 이는 전통과 현대의 조형물의 공통 원리로 볼 수 있었다. 이에 따라 면 구성을 통해 시각적 효과를 극대화 하기 적합한 입체표현의 제작 방식을 살펴 볼 수 있었다. 넷째, 면 구성을 응용한 현대 패션 디자인에 대한 사례를 살펴봄으로써 면 구성은 목적을 지닌 모든 예술, 디자인 활동에서 가장 핵심적, 중추적이며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되고 있음을 확인 하였다. 다음으로 본 연구의 작품 제작을 통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전통 창살의 핵심적인 특징인 선과 선의 교차로 인한 기하학적인 면 구성은 현대 패션으로 재구성, 접목하기 적합하였다. 둘째, 창살은 선과 선의 교차로 인해 면과 형이 형성되고 이렇게 형성된 문양은 상하좌우로 배열되며 투시, 조화, 대칭, 추상 등 4가지 특징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창살의 문양과 특징을 노방 소재로 표현한 결과 독특한 변화 와 동시에 공간감을 줄 수 있었다. 셋째, 도출된 4가지의 특징을 시각적 표현으로 극대화하기 위해 귀갑살의 이미지를 모티프로 응용 모티프를 제작하고 창살의 면구성을 입체적 표현을 통해 2차원에서 3차원 또는 다차원적 가시성을 표현할 수 있었다. 넷째, 실루엣에 있어서는 단순한 A라인과 H라인을 적용하고, 모티프는 귀갑살로 제한하여 면 구성의 입체적 표현이 창살을 표현하는 것에 있어 다양한 형태로 표현될 수 있으며 3차원적 방향으로 어느 위치에서 보아도 자신의 모 양을 갖고 있게 되었다. 다섯째, 창살 문양의 표현에 있어서 사방 10cm, 8cm, 6cm 다른 사이즈을 중첩하여 사용함으로써 창살의 면 구성의 조화를 나타내고 다양한 배열로 추상적인 이미지가 두드러질 수 있도록 표현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의 창살은 내부 공간과 외부 공간의 매개체로서의 기능적 역할뿐만아니라 장식적인 역할 등 상징적인 고유의 특징을 제대로 이해하고 새로운 시도들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전통적인 미의 현대화에 접목시켜 활용 가치를 되새기는데 의의가 있다. 창살의 면 구성을 응용한 다양한 입체적 표현 기법은 패션분야 뿐만 아니라 다양한 디자인 분야에서 또한 후속 연구가 진행되기를 기대한다.;The Korean culture, which is attracting global attention, is facing the task of securing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and developing differentiated products containing its own identity. In this movement, the traditional culture represents the country’s identity and unique culture images, and the design rediscovered from national uniqueness based on the traditional culture and the culture values under Korea traditional expresstions becomes a good material to globalize the excellent culture of our people and develop the cultural competitiveness.The lattice pattern is one of the parts that can reflect the inner perspective of Korean traditional architectural aesthetics and origins. The lattices is facility that recieves the light and the air and installed for viewing, and not only the function of the lattices, but also the grid pattern or shape of the lattices, and the reflection of glass, and the shadows in the sun etc., have a formative and crafy form. The traditional Korean lattices, starting with a simple form in the composition of the sides that occur at the intersection of lines and lines, and made with the various shapes such as triangles, squares, and polygons are colorful, as if simple. It has a name for each lattice as a texture of the flesh, and the types of bars used for each space are different and contain meanings for each lattice.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new direction and modernization of traditional beauty by applying it to modern fashion design through flat, relief, and three-dimensional composition based on the plane composition that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Korean lattices. The research contents for this purpose consists of theoretical consideration and work production.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on the lattices of traditional Korean culture , the history and transformation progress of lattices are examined and the types, characteristics, and formative images of lattices are analyzed. By studying and analyzing modern fashion design cases applying traditional lattices, various practical uses are considered. To examine the plane composition of lattices, the concept of plane composition is reviewed, and application cases of plane composition are collected and analyzed to explore modern expression methods. Based on the above theoretical consideration, a work is produced to study the possibility of new designs and material development by incorporating a three-dimensional expression method into design in plane division through the plane composition of traditional Korean lattices.The conclusions through the theoretical study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can be seen that the lattices exist in the windows, reflect not only the function of the lattices, but also the ideological and cultural era of our ancestors, and have high symbolic roles and artistic value. They were also confirmed that they have been used since prehistoric times through the Joseon Dynasty, which has the most diverse forms. Second, by analyzing previous studies on the types of lattices, there are Ddi-sal, Yongja-sal, Sootdae-sal, Bit-sal, Soseulbit-sal, Wanja-sal, Jeongja-sal, guija-sal, guigab-sal, and Cot-sal, and it was found that the composition of the cross between the lines and the sides of the lattices was an important part of the lattices. Third, the lattices were created from the basic units of lines and planes and developed into planes and shapes, which could be seen as a common principle between traditional and modern sculptures. Accordingly, it was possible to examine the production method of three-dimensional expressions suitable for maximizing visual effects through plane composition. Fourth, by reviewing the case of modern fashion design that applied plane composition, it was confirmed that plane composition is the most essential, pivotal, and used for various purposes in all art and design activities having a purpose. Next, the conclusions through the production of works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geometric aspect composition from the intersection of lines and lines, a key feature of traditional lattices, was suitable for reconstruction and grafting into modern fashion. Second, the surface and shape of the lattices are formed from the intersection of the lines and the lines, and the patterns formed in this way are arranged vertically, horizontally, and have four characteristics: perspective, harmony, symmetry, and abstraction. As a result of expressing these patterns and characteristics of the lattices in Nobang fabric , it can express a sense of space as a unique change simultaneosly. Third, in order to maximize the four characteristics derived through visual expression, it can express three-dimensional or multidimensional visibility in two dimensions by creating an application motif of the image of the Guigab-sal as a motif and expressing the plane composition in three dimensions. Fourth, simple A-line and H-line are applied to the silhouette, and By limiting motifs to Guigab-sal, the three-dimensional expression of the plane composition can be expressed in various forms in expressing the lattices, and it has its own shape from any position in a three-dimensional direction. Fifth, by overlapping and using different sizes of 10cm, 8cm, and 6cm in all directions in the expression of the lattice pattern, it could express the harmony of the surface composition of the lattice and to make the abstract image remarkable in various arrangements. In this study, the lattices are meaningful in properly understanding the unique symbolic characteristics of the interior and exterior spaces as well as the functional and decorative roles, and reflecting on the values of use by incorporating them into the modernization of traditional beauty as new attempts to be provided. Various three-dimensional expression techniques applying the plane composition of the lattices are expected to be conducted not only in the fashion field but also in various design field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의 내용 및 방법 2 II. 이론적 배경 5 A. 한국 전통 창살에 관한 고찰 5 1. 창살의 개념 5 2. 창살의 종류 및 특징 13 3. 창살의 이미지를 응용한 현대 패션디자인 29 B. 면 구성에 대한 고찰 33 1. 면 구성의 개념 33 2. 면 구성의 요소 및 특징 34 3. 면 구성 이미지를 응용한 현대 패션디자인 42 III. 작품 제작 및 해설 46 A. 작품 제작 의도 및 방법 46 B. 작품 및 해설 50 Ⅳ. 결론 및 제언 92 참고문헌 95 Abstract 10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144379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c.subject한국전통창살, 귀갑살, 면구성, 입체표현-
dc.subject.ddc700-
dc.title한국 전통 창살의 면 구성을 응용한 패션디자인-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귀갑살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fashion design applying the plane construction of Korean traditional lattices : Focusing on the Guigabsal-
dc.creator.othernameKwak, Yunhee-
dc.format.pageix, 10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디자인대학원 패션디자인전공-
dc.date.awarded2024. 8-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패션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