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영경*
dc.contributor.author민지혜*
dc.creator민지혜*
dc.date.accessioned2024-08-19T16:32:15Z-
dc.date.available2024-08-19T16:32:15Z-
dc.date.issued2024*
dc.identifier.otherOAK-000000232346*
dc.identifier.urihttps://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232346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69085-
dc.description.abstractThe environment in which we belong consists of various colors and the colors evoke various emotions within us. As color can have a great psychological impact on us, researchers are actively studying the psychological function of color from various perspectives. Among the properties of color, hue has been proven to be related to warm-cool. However, it is necessary to thoroughly discuss the clear defini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hue and warm-cool, as well as the characteristics of warm-cool judgment. This study aimed to clarify the association between hue and warm-cool judgment, based on the necessity of hue and warm-cool research. The study examined the warm-cool area of hue and verified the relative characteristics of the warm-cool judgment. Additionally, the study review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ategorical perception of hue and the warm-cool judgment. The study of the relativity of warm-cool judgment on color was conducted through literature reviews and experimental verification. It consisted of the following four steps: Chapter 1 presented the background and necessity of the warm-cool judgment research on hue, along with the purpose of the study. Chapter 2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color and warm-cool and the necessity of reviewing various context effects through literature reviews and previous studies. The three warm-cool evaluation experiments with different contexts were also conducted to determine the warm-cool area of hue and variable characteristics of the warm-cool. Chapter 3 predicted the relationship between hue categorical perception and warm-cool judgment by analyzing theories related to hue categorical perception. It presented hue categories related to warm-cool judgment through experiments on hue language category perception. Chapter 4 summarized the hue ranges and relative judgment characteristics of the warm-cool. It also discussed the relationship between specific hue categories and the warm-cool as research results. Additionally, it highlighted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and the need for follow-up studies. Through this research process, the following results were derived for the warm-cool judgment on hue: First, it was confirmed that the warm-cool judgment of hue is consistent regardless of the difference in the stimulus type. The peak of warm is located in Orange, while the peak of cool is located in Blue. The turning points for warm-cool are situated in Green and Purple-Red. Second, the warm-cool judgment of hue may change due to the presentation order of stimuli and the warm-cool judgment is converted at the faster point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lor moves gradually. Third, The warm-cool area of the hue is divided into constant sections and variable sections. The constant section of warm is formed around Orange, while the constant section of cool is formed around Blue. In other hues, the warm-cool judgment may be relatively determined and varied by various contexts. Fourth, although the warm-cool judgment on hue may vary depending on the situation, it is not ambiguous and clearly judged in each situation. Fift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larity of hue categorical perception and the clarity of warm-cool judgment, as well as between the vagueness of hue categorical perception and the variability of warm-cool judgment, were not established. Sixth, the categorical perception of hue may vary under the influence of the presentation order of stimuli, similar to the warm-cool judgment of hue. Seventh, Orange and Blue are the primary colors that influence the warm-cool judgment of hue and become the peak points for warm and cool, respectively. However, Green and Red exhibit vague characteristics in determining the warm-cool and they are the hues with the highest variability that warm-cool judgment can vary under the influence of other factors. The focus of this study was on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hue and the warm-cool judgment. It presented the ranges and variable characteristics of the warm-cool judgment of hue and also identified the main hue categories that affect the warm-cool judgment. However, the study was established a limited scope such as experimental verification using limited stimuli and validating several contextual factors. It is expected that follow-up studies will be conducted using a wider range of stimuli and considering various contextual factors to provide more insights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color and warm-cool.;우리가 속해 있는 환경은 다양한 색채로 구성되어 있고 색채는 다양한 느낌을 불러일으킨다. 색채가 유발하는 심리적 효과는 크고 강하기 때문에 색채의 심리적 기능에 연구가 다양한 관점에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색채의 속성 중에서 색상은 warm-cool과의 연관성이 증명되었으나 색상과 warm-cool의 관계에 대한 명확한 규정, warm-cool 판단의 특성 등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색상과 warm-cool 연구의 필요성을 바탕으로 하여 색상과 warm-cool 판단의 관계성을 명확하게 밝히고자 하였다. 색상의 warm-cool 영역을 확인하고 warm-cool 판단의 상대적인 특성을 검증하였다. 또한, 색상의 범주 지각과 warm-cool 판단 간의 연관성에 대해 검토하였다. 색상에 대한 warm-cool 판단의 상대성 연구는 문헌 고찰과 실험 검증을 통해 진행되었고 다음과 같은 4단계의 과정으로 구성되었다. 1장은 색상에 대한 warm-cool 판단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연구의 목적을 제시하였다. 2장은 색상과 warm-cool의 관계성, 다양한 맥락 효과에 대한 검토의 필요성 등에 대하여 문헌 고찰을 통해 이해하고 선행연구의 결과들을 분석하였다. 또한, 서로 다른 맥락이 적용된 색상의 warm-cool 평가 실험을 세 차례 실시하여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색상의 warm-cool 영역 및 가변적 특성을 검증하였다. 3장은 색상의 범주 지각과 관련된 이론을 분석하여 색상의 범주 지각과 warm-cool 판단의 연관성을 예측하였고, 색상의 언어 범주 지각실험을 통해 색상의 warm-cool 판단과 관련된 색상 범주를 제시하였다. 4장은 색상의 warm-cool 범위와 상대적 판단 특성, 특정 색상 범주와의 관계성 등을 연구 결과로 정리하여 제시하였고 연구의 의의 및 후속 연구의 필요성 등을 언급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과정을 통해 색상에 대한 warm-cool 판단의 결과를 다음과 같이 도출하였다. 첫째, 색상에 대한 warm-cool 판단은 자극물 종류 차이의 영향을 받지 않고 일관적임을 확인하였다. warm과 cool의 극점은 각각 Orange, Blue에 위치하고 warm-cool의 전환점은 Green과 Purple-Red에 위치한다. 둘째, 색상의 warm-cool 판단은 색상 자극의 제시 순서로 인해 달라질 수 있고 색상이 점진적으로 이동하는 방향 기준으로 더 앞선 위치에서 warm-cool 판단의 전환이 이뤄진다. 셋째, 색상의 warm-cool 영역은 고정 구간과 가변 구간으로 구분되고 Orange를 중심으로 warm의 고정 구간, Blue를 중심으로 cool의 고정 구간이 형성된다. 이외의 색상에서는 다양한 맥락에 의해 warm-cool 판단이 상대적으로 결정되고 가변될 수 있다. 넷째, 색상에 대한 warm-cool 판단은 상황에 따른 영향으로 달라질 수 있지만 각 상황에서 애매하지 않고 명확하게 판단된다. 다섯째, 색상 범주 지각의 명확성과 warm-cool 판단의 명확성, 색상 범주 지각의 모호성과 warm-cool 판단의 가변성 간의 관계는 확인되지 않았다. 여섯째, 색상의 범주 지각은 색상의 warm-cool 판단과 마찬가지로 색상 자극 제시 순서의 영향을 받아 달라질 수 있다. 일곱째, Orange와 Blue는 색상의 warm-cool 판단에 영향을 미치고 각각 warm과 cool의 극점이 된다. Green과 Red는 warm-cool 판단에 있어 모호한 특성을 보이기 때문에 다른 요인들의 영향을 받아 warm-cool 판단이 달라질 수 있는 가변성이 가장 높은 색상이다. 본 연구는 색상과 warm-cool 판단의 관계성에 집중하여 진행되었고 색상의 warm-cool 판단 범위 및 가변적 특성, warm-cool 판단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색상 범주에 대해 명확하게 제시하였다. 다만, 본 연구는 제한된 자극물을 활용한 실험 검증과 몇 가지 맥락 요인에 대한 검증 등의 한정적 범위가 설정되었다. 색채와 warm-cool의 관계성을 밝히기 위한 후속 연구에서는 더 넓은 범위의 자극 활용, 다양한 맥락 요인에 대한 검토가 다뤄질 것으로 기대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B. 연구의 방법 및 범위 5 Ⅱ. 색상에 대한 warm-cool 영역의 가변적 특성 9 A.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9 B. 색상의 warm-cool 평가 및 반사색과 투과색 차이 검증 실험 20 C. 색상의 warm-cool 평가에 대한 제시 순서 효과 검증 실험 33 D. 색상에 대한 warm-cool 판단의 일관성 검증 실험 46 E. 색상의 warm-cool 평가 결과 해석 및 논의 62 F. 소결론 67 Ⅲ. 색상의 범주 지각과 warm-cool 판단의 관계 69 A.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69 B. 색상의 언어 범주 지각실험 77 C. 색상의 범주 지각과 warm-cool 판단의 관계 해석 및 논의 98 D. 소결론 102 Ⅳ. 결론 및 논의 104 참고문헌 110 ABSTRACT 11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04283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Warm-Cool, Color, Relativity*
dc.subject.ddc700*
dc.titleOrange와 Blue를 극점으로 갖는 Warm-Cool 판단의 상대성*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Relativity of Warm-Cool Judgment with Orange and Blue as the peak points*
dc.creator.othernameMin, Jihae*
dc.format.pagevi, 119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디자인학부색채디자인전공*
dc.date.awarded2024.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