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8 Download: 0

서사적 구조물로서의 회화

Title
서사적 구조물로서의 회화
Other Titles
Painting as Narrative Structure: Generating Stories Through Schema
Authors
성인제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대학원 조형예술학부
Keywords
서사적 회화, 스키마, 서사, 인지주의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이기영| 고홍규
Abstract
연구작은 인간이 이야기를 만드는 본능을 건드려 자연스럽게 이야기가 생성되게 한다. 인간에게는 이야기를 만들려는 서사적 본능이 있다. 이는 서사적 논리로 세상을 이해하려는 본능이기도 하다. 인간은 불확실하고 모호한 세계에서 서사적 논리로 질서를 부여해 자기 존재의 연속성을 발견하고 삶의 의미를 찾는다. 삶에서 벌어지는 무수한 사건은 이야기가 되기 전에는 순간순간의 조각난 경험들로 흩어져 있다. 연구작의 화면은 이러한 삶의 속성을 반영한다. 작가가 전달하려는 스토리나 메시지가 없는 연구작의 화면에서 인물의 동작, 공간 등의 요소들은 의미의 응집력 없이 흩어져 있다. 흩어진 요소들을 응집해 이야기와 의미를 생성하는 것은 보는 이의 경험으로 만들어진 인지의 틀인 스키마다. 연구작의 붓질은 화면에 이야기 재료가 될 수많은 ‘가능성’들을 만들어낸다. 연구자는 사실적 형태 재현에 적합하지 않은 도구를 사용해 그리는데, 그로 인해 대상 표현에 적확한 지점을 향해 반복적으로 가해지는 붓질은 가시적으로는 형태의 모호성을, 비가시적으로는 잠재적 가능성들을 갖게 하여 보는 이로 하여금 여러 가지로 상상하고 해석할 수 있게 한다. 화면의 모호한 요소들을 이해하고 해석하려는 인지정교화 과정에서 개인의 스키마가 작용하며 이야기가 생겨난다. 이렇게 만들어진 이야기는 보는 이의 기억과 상상에 기반하므로 결국, 연구작의 화면은 보는 이의 기억이나 상상 속 한 장면이 된다. 그 장면에 담기는 이야기는 단순한 재미일 수도, 그리운 추억일 수도, 삶의 신념이나 시대의 단면일 수도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이러한 내용과 표현적 특성을 가진 연구작의 서사적 장치가 무엇이고 어떻게 작용하며, 또 그것으로부터 보는 이가 서사를 생성하게 되는 기제를 밝혀 연구작의 작업 구조를 이론화하는 것에 있다. 밝혀둘 것은, 본 연구는 인간의 마음과 행동을 인지과정 중심으로 설명하는 인지주의의 관점, 특히 체화된 인지의 관점에 경도되어 있다. 인지주의의 관점을 가진다는 것은 능동적으로 일어나는 사고의 과정인 인간 내부의 인지구조를 중시하는 것이다. 체화된 인지의 관점을 가진다는 것은 인지작용을 몸을 바탕으로 한 마음과 환경의 상호작용으로 이해한다는 것이다. 체화인지 이론은 몸적 과정이 인지에 이바지함을 강조하며 인지, 사고, 마음이 머릿속에만 있는 것이 아니라 몸을 가진 유기체와 세계 간 역동적 관계에서 창발한다고 본다. 현재 이원론에 입각했던 과학과 철학 등의 학문들이 일원론, 체화된 인지 개념 등에 입각해 기존의 개념을 재구성하려는 시도가 진행되고 있다. 이성적 측면과 감성적 측면으로 나뉘어 논의되어 온 예술 분야도 일원론적 인식론으로 예술 창작과 감상의 개념을 재구성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이러한 시점에서 인지주의 특히, 체화된 인지의 관점으로 작업의 구조를 설명하고, 회화작품의 분석을 시도함으로써 예술 과정과 작품을 해석하는 하나의 방법과 관점을 제시한 것에 본 연구의 또 하나의 의의를 둔다. 연구자는 본 연구를 위해 먼저 서사성을 가진 회화에서의 서사의 개념을 규정하였다. 서사적 회화에는 ‘작가가 제시하는 서사’와 그로부터 ‘개인이 생성하는 서사’가 있다. ‘작가가 제시하는 서사’는 문학치료학에서의 인간의 기저에 있는 시원(始原)적 서사와 유사한 개념이며, ‘개인이 생성하는 서사’는 어떤 종류의 이야기가 상기되는 정도의 형태부터 처음과 중간과 끝이 있는 하나의 완전한 언어적 구조물의 형태까지를 포함한다. 그리고 서사학의 기반에서 서사적 회화를 분석하기 위한 선제적인 고찰로서 문학 서사의 텍스트에 한정되어 있던 서사학의 범위가 이야기를 포함하는 모든 텍스트로 확장 ‧ 분기되는 양상을 살펴보았다. 특히 연구작의 구조가 작품의 내용과 의미를 보는 이로 하여금 생성하게 하는 것임에 유념하여, 텍스트와 독자의 상호작용에 주목하는 이론들을 좀 더 비중 있게 들여다보았다. 개인의 인지 작용에 기대고 있는 연구작의 서사화 행위를 설명하기 위해 스키마의 개념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문자 텍스트 독해 시 스키마 작용 연구들에서 그림 텍스트 독해에 있어 유의미한 부분을 중점으로 살펴봄으로 그림 서사물 감상 시 스키마의 작용을 연구하였다. 프랭스(Prince)의 서사학에 의거해 서사물의 요건을 확인하고 이를 기반으로 그림이 서사물로 성립하기 위한 필수 요소를 인물, 사건, 공간으로 규정하였다. 그리고 실례를 들어 서사적 회화에서의 서사성을 분석하면서 그림 서사물 해석 시 스키마가 작용하는 기제도 함께 기술하였다. 작품에 대한 흥미 유지는 개인이 작품에서 서사를 생성하는 데 일차적 조건인데 이는 주어진 정보에 대한 스키마의 일치 정도로 결정된다. 스키마의 일치정도와 정보 처리의 상관관계를 다루는 인지적 연구들과 예술 작품 감상 시 인지 반응에 대한 연구들을 살펴 스키마의 일치가 중간 정도일 때 적당한 혼란을 느끼고 이를 해결하려는 인지 정교화 과정에서 서사가 생성된다는 결론을 도출했다. 서사와 서사화 행위가 우리 삶에서 갖는 의의와 기능을 살펴봄으로 연구작의 서사화 행위가 지니는 의미에 대해 고찰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였다. 다음 장에서는 연구작에서 서사 생성을 유도하는 서사적 장치들을 분석하면서 연구작이 가진 서사의 내용을 소개하였다. 작가가 전달하려는 이야기나 메시지가 없고, 작품을 보는 개인의 스키마에 의해 서사와 의미가 생성되기를 의도하는 연구작은 ‘모호성’을 서사 생성을 위한 중심 방법으로 삼는다. ‘모호성’은 개인의 스키마가 적극적으로 개입할 수 있는 지점들을 만들어 다양한 해석에 의한 여러 가지 이야기의 발생을 이끈다. 모호성은 화면 요소 간의 관계, 시점과 공간 처리, 경계면 처리, 흔들리는 형태감 등의 요인들로부터 유인된다. 연구작 화면에 회화성과 모호성을 갖게 하는 연구작 붓질의 특징을 설명하고, 이러한 붓질을 도출한 체화 인지적 사고의 과정을 회화사에서 같은 사고의 작용으로 창조적 결과를 산출한 예와 함께 설명하였다. 인물의 동작은 몸의 기억을 활성화시킴으로 특정 장소를 상기시키거나 어떤 감정을 일으켜 공간의 구체적 설정 없이도 보는 이를 기억 속 구체적 상황으로 이끌 수 있다. 다양한 관점의 해석을 유도하는 다시점과 상황적 맥락이 제거된 배경(공간)은 보는 이로 하여금 인물이 하는 동작의 이유에 대해 더 상상하고 추측하게 만든다. 서사적 구조물로서의 회화인 연구작은 이렇듯 소재 및 구성, 붓질 등 화면의 모든 요소가 서사적 장치로 기능한다. ;Human beings have a narrative instinct to craft stories, which is also an instinct to understand the world through narrative logic. In an uncertain and ambiguous world, people tend to impose order with narrative logic, discovering the continuity of their existence and finding meaning in life. Countless events unfolding in life are fragmented experiences scattered as mere moments before they become stories. The paintings of this study reflect this nature of life. In the absence of a conveyed story or message by the artist, elements such as the actions of figures and spatial arrangements on the canvas lack cohesive meaning. Moreover, my brushstrokes do not faithfully reproduce realistic forms, the brushstrokes are directed towards countless points of accuracy to visually imbue ambiguity into the subject's form. However, this ambiguity fosters numerous potential possibilities, allowing for various interpretations and imaginations. When viewing the paintings, the schema, which is the cognitive framework shaped by individual experiences, comes into play. A story is created in the process of “cognitive elaboration” as one tries to understand and interpret the ambiguous elements of the canvas. As the story is created from the viewer's own memory and imagination, the canvas is eventually enacted as a scene from the viewer's memory or imagination. The story contained in the scene could be purely entertaining, or about a nostalgic memory, a belief about life, or a snapshot of the current tim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narrative devices of my paintings that possess such content and expressive characteristics, to elucidate how these devices function and how they enable viewers to generate narratives, thereby theorizing the artistic structure of the paintings. This study is grounded in the perspective of cognitive psychology, which explains the human mind and behavior through the process of cognition, with a particular focus on embodied cognition. Embracing a cognitive perspective entails valuing the cognitive structures within the human mind that actively engage in thought processes. Adopting an embodied cognition perspective involves understanding cognitive functions as interactions between the mind, body, and environment. Embodied cognition theory emphasizes how bodily processes contribute to cognition, suggesting that cognition, thought, and the mind emerge dynamically from the interactions between organisms with bodies and their world, rather than being confined solely to the mind. Currently, various disciplines such as science and philosophy, previously based on dualism, are attempting to reconstruct existing concepts through a more unified approach based on embodied cognition. Even the arts, which have traditionally been discussed in dual terms of rational and emotional aspects, are now being reconsidered from a more unified perspective. Moreover, there is a recognized need to reconstruct concepts of artistic creation and appreciation through a more holistic approach. From this standpoint, this study holds significance by explaining the structure of the artworks and analyzing the paintings through embodied cognition, which provides a method and a perspective in interpreting the artistic process and its outcome. For this study, I first defined the concept of the narrative reflected of the paintings in chapter two. In narrative painting, there is the "narrative presented by the artist" and the "narrative created by the individual." The "narrative presented by the artist" is a concept similar to the primordial narrative inherent in humans, as discussed in literary therapy. The "narrative created by the individual" encompasses everything from a vaguely recalled story to a complete linguistic structure with a beginning, middle, and end. Furthermore, as a preliminary consideration for analyzing narrative paintings based on narratology, the study examined how the scope of narratology, which had been limited to the text of literary narratives, has expanded and branched out to include all texts that contain stories. Special attention was given to theories that focus on the interaction between text and reader, noting that the structure of the paintings enables the viewer to generate the content and meaning of the artwork. To explain the narrative acts of my paintings that rely on individual cognitive actions, the concept of schema was examined. Emphasizing significant aspects observed in studies of schema operations during textual comprehension, this research investigates the role of schema in appreciating narrative paintings. Drawing from Prince's narratology, the essential elements for a picture to constitute a narrative were defined based on characters, events, and space. Through analyzing narrative qualities in narrative paintings, examples were used to illustrate how schemas operate in interpreting narrative paintings. Sustaining interest in artworks is primarily contingent upon how individuals generate narratives from them, determined by the degree of schema alignment with the given information. Cognitive studies examining the correlation between schema alignment and information processing, alongside studies on cognitive responses during art appreciation, suggest that moderate schema alignment induces appropriate confusion, stimulating cognitive refinement processes that facilitate narrative creation. Thus, by exploring the significance and function of narrative and narrative acts in our lives, this study establishes a foundation for contemplating the meaning inherent in the narrative acts generated from the body of my paintings. In chapter three, while analyzing narrative devices that induce narrative creation, the content of the narrative inherent in my paintings are introduced. My paintings intentionally aim for the creation of narratives and meanings through individuals' schemas when there is no explicit story or message conveyed by the artist. Ambiguity is employed as a central method for narrative creation, fostering multiple interpretations and stories driven by various analyses where individuals' schemas actively engage. Ambiguity is elicited from factors such as relationships between visual elements, handling of perspective and space, treatment of boundaries, and fluid forms. The chapter explains the characteristics of painting techniques in research works that imbue them with painterly and ambiguous qualities, illustrating the cognitive processes of embodied cognition that lead to such brushwork, and presenting examples where similar thinking in art history has led to creative results. The actions of figures activate bodily memories, evoking specific places or emotions, thereby leading viewers to envision concrete situations in memory without specific spatial settings. Backgrounds (spaces) devoid of temporal and situational context encourage diverse interpretations, prompting viewers to imagine and speculate about the reasons behind the actions of figures. Therefore, as a narrative structure, my paintings function through all elements of the canvas—such as subject matter, composition, brushwork—serving as narrative devic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