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윤순란-
dc.contributor.author설혜윤-
dc.creator설혜윤-
dc.date.accessioned2024-08-19T16:32:13Z-
dc.date.available2024-08-19T16:32:13Z-
dc.date.issued2024-
dc.identifier.otherOAK-000000232307-
dc.identifier.urihttps://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232307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69074-
dc.description.abstractThis thesis examines sculptural artworks that represent the suffering of the invisible other with a view to understanding the various contexts surrounding the topic and to identifying ways of overcoming the disconnect with the oth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methodology for sculptural art that can fully sense the invisible other. The specific objectives are as follows. Firstly, it identifies anthropocentrism as the cause of the disconnection with the other and establishes the theoretical foundation of sculpture research through the discourse surrounding the other. The study examines the evolution of our perception of the other over time and provides an analysis of recent developments in the field of other studies. Secondly, the types of invisible others subject to representation are categorised based on the concept of ontological precedence, and the cases where sculpture becomes a place for expanding empathy are analysed through the analysis of precedent cases. By grasping the specific circumstances of the invisible other and establishing connections between the various elements, we endeavor to elucidate the distinctive nature of the other, which cannot be reduced to the whole. Thirdly, the text analyses the distinctive characteristics of textile media in the representation of the Other in plastic arts and identifies its artistic value as a practice of relating to the Other. Furthermore, this study presents the possibility of representation that can be done here and now to sense and think about the suffering of the invisible other through eight works of art. The contents and methods of this study are organised into three sections: a theoretical review, a case analysis of previous studies, and an analysis of research works. In Chapter II, the theoretical review, I define the concept of otherness based on postmodern theories of otherness and feminist discourse in order to lay the theoretical groundwork for an interdisciplinary research path. I then examine methodological theories for engaging with diverse otherness. In Reclaiming the Other, the currents and critical junctures of Western feminist discourse are outlined, and the concept of the Other is examined through Rosi Braidotti's notion of the ‘nomadic subject’. This notion deconstructs traditionally defined notions of the human and blurs the boundaries between human and nonhuman. It then draws on Judith Butler's ethical philosophy to identify the need for a sense of connection with the Other as a way to understand the world in the moment of tragic events and as a way to inhabit a common world together. It also examines the implications of symbiosis with the nonhuman Other in the crisis of the Anthropocene through the discourse of neo-materialism. The following section, entitled "Connecting with the Other", examines the concept of ‘ontological prevarication’, as developed by the post-totalitarian perspective of female anthropologist Marilyn Strathern. It then goes on to develop methodological implications for the partial connection of represented others. Finally, the discourse of mourning is examined in order to explore attitudes towards preventing the invisibility of the other and connecting with each other. In Chapter III, which analyses examples of previous works in the sculptural arts, I categorise the "unwelcomed other" and the "deathly neglected other" based on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s described above. I then proceed to analyse the representations of a sample of previous works that deal with the invisible other by blurring the boundaries between human and non-human. In the former category, we examine those whose status as individuals in society is not recognised, such as women, refugees, and people with disabilities, who are marginalised by political structures. In the latter, we analyse precedents that represent the crisis of non-human species caused by human activities. In particular, we focus on the attitudes of the preceding artists in representing the other in their sculptural works. Chapter IV, which deals with the production and analysis of the works, defines the concept of the invisible other represented by the works studied and describes the medium of fibre sculpture for ontological representation. In order to highlight the artistic value of fibre sculpture, the changing status and positive significance of fibre in art history, as well as the feminist discourse explored in Chapter II, are used. The content, form, sculptural and material qualities of the works under examination, which represent the suffering of the invisible other, are analysed in relation to the discourses of psychoanalysts Didier Anzieu and Julia Kristeva. The implications of each of these qualities are discussed as a basis for the analysis of the works. The analysis of the works explores the possibility that connecting with the other through the individual context of the other represented by each work can be a mechanism for overcoming anthropocentrism. The invisible other that is represented in the works follows the two-pronged categorisation of the preceding sample of works in Chapter III, which explores categories of otherness that extend from the human to the non-human. As a theoretical construct, the characteristics of fibre – namely, its physicality, geographical origin, and permeability – are subjected to analysis in relation to the context of the individual recipient. In this way, we identify the ways in which the sensory qualities of the fibre sculptural medium create an empathic field in whic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cipient and the other is established. Based on a theoretical examination of the discourse surrounding the invisible other and an analysis of previous examples of representations of the suffering of the other, the following conclusions are drawn from the study of eight fibre sculptures. The research investigated the potential for relating to the other in order to restore the invisible other, and considered the ethical attitudes required when social themes are represented in the sculptural arts. In her 2003 work, The Pain of Others, Susan Sontag emphasises the discrepancy between the tragedy of others depicted in images and the reality of their experiences. She asserts that it is impossible for us to fully comprehend the suffering of others. Although the medium of Son's reproduced images is mainly photography, it seems reasonable to suggest that the same mechanism can be applied to contemporary sculpture. Through her research on the other, she develops a sense of connection with the world. It became evident that an investigation into the net function of sculpture was required. This entailed a meticulous examination of the attitudes and actions that should be adopted in relation to the suffering of the other prior to the creation of artworks. Additionally, it necessitated an exploration of the potential for reproducing the suffering of the other, which is inherently incomprehensible. Finally, it demanded an investigation into the net function of sculpture. The methodological basis was explored in the medium of fibre sculpture, with particular attention paid to the properties of fibre as an art material and the symbolism inherent in it. It was demonstrated that these properties have the capacity to diminish the psychological distance between the viewer and the subject of the artwork, enabling the viewer to interpret the detailed context of the other in a multi-layered manner. The inherently time-consuming nature of fiber arts provides an opportunity for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invisible suffering experienced by the Other. When engaging with those perceived as the Other, it is crucial to recognise the limitations of our ability to fully grasp their perfection, as well as their inherent differences, and to maintain a conscious effort to establish connection.;본 논문은 비가시화된 타자의 고통을 표상하는 조형예술 작품을 연구함으로써 논제를 둘러싼 다양한 맥락을 파악하고 타자와의 단절을 극복할 방법을 모색한다. 연구의 목적은 비가시화된 타자를 온전히 감각할 수 있는 조형예술의 방법론을 확보하는 것이며 구체적인 지향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인간중심주의를 타자와의 단절을 초래한 원인으로 파악하며 타자를 둘러싼 담론을 통해 조형 연구의 이론적 토대를 확립한다. 시대의 흐름에 따라 타자를 바라보는 관점의 변화를 살펴보며 작금의 타자 문제가 출원한 배경을 이해한다. 둘째, 존재론적 전회 개념에 기반하여 표현 대상이 되는 비가시화된 타자의 유형을 분류하고 선행사례 분석을 통해 조형예술이 공감 능력 확장의 장이 되는 사례들을 표집하여 분석한다. 비가시화된 타자의 개별적인 맥락을 이해함과 동시에 부분들을 연결하는 작업을 통해 전체로 환원되지 않는 타자의 고유성을 탐구한다. 셋째, 조형예술의 타자 표현에서 섬유 매체만의 차별화된 특성을 분석하고 타자와 관계 맺는 실천으로서의 예술적 가치를 규명한다. 더 나아가 8점의 연구작품을 통해 비가시화된 타자의 고통을 감각하고 사유할 수 있도록 지금 여기에서 수행할 수 있는 표현 가능성을 제시한다. 연구의 내용과 방법은 크게 이론적 고찰, 선행연구 사례분석, 연구작품 분석으로 나누어 구성한다. 이론적 고찰인 제 II 장에서는 학제 간 연구 경로를 통한 이론적 기틀을 마련하기 위해 탈근대 시기에 대두된 타자 이론과 여성주의적 담론을 기반으로 타자에 관한 개념 정의를 내리고, 다종다양한 타자와 관계하기 위한 방법론적 이론을 살펴본다. ‘타자 복원하기’에서 서구 여성주의 담론의 흐름과 중요한 꼭지를 개괄적으로 살펴보며 로지 브라이도티의 ‘유목적 주체’개념을 통해 전통적으로 규정된 인간 개념을 해체하고 인간과 비인간의 경계를 허무는 타자의 개념을 고찰한다. 이후 주디스 버틀러의 윤리철학을 기반으로 비극적 사건이 일어나는 현시점의 세계에 대한 이해와 공동의 세계에서 함께 거주하기 위한 방법론으로 타자와 연결되는 감각에 대한 필요성을 확인한다. 또한, 신유물론 담론을 통해 인류세로 인한 위기 속 비인간 타자와의 공생이 함의하는 바를 살펴본다. 다음으로 ‘타자와 연결되기’에서는 여성 인류학자 메릴린 스트래선의 탈전체론적 시각에 기반하여 ‘존재론적 전회’개념을 고찰하고 표현 대상인 타자들의 부분적인 연결에 관한 방법론적 의의를 전개한다. 이론적 고찰의 마지막 단계로 애도에 상관한 담론을 살펴보며 타자의 비가시화를 저지하고 서로 연결되기 위한 태도를 탐구한다. 조형예술의 선행연구 작품 사례를 분석에 해당하는 제 III 장에서는 앞서 서술한 이론적 고찰을 기반으로 ‘환대받지 못하는 타자’와 ‘죽음이 방치되는 타자’로 분류한 후, 인간과 비인간의 경계를 허물면서 비가시화된 타자들을 다룬 선행작품의 표본을 추출하여 표현 내용을 분석한다. 전자에서는 사회 안에서 한 인격체로서의 위상이 인정되지 않은 존재들 즉, 여성, 난민, 장애인과 관련하여 정치적인 구조로부터 외면당한 타자의 이야기를 다룬다. 후자에서는 인간 활동으로 야기된 비인간 생물 종의 위기를 표상한 선행사례를 다룬다. 특히 선행 작가들이 조형 작품 안에서 타자를 표현할 때 취하는 태도를 중점으로 살펴본다. 작품 제작 및 분석인 제 IV 장에서는 연구작품이 표상하는 비가시화된 타자의 개념을 정의하고 존재론적 표현을 위한 섬유조형의 매체적 특성을 서술한다. 미술사에서 섬유의 변화하는 위상과 긍정적 중요성, 제 II 장에서 살펴본 여성주의적 담론에 기반하여 섬유조형의 예술적 가치를 환기한다. 비가시화된 타자의 고통을 표상하는 연구작품의 표현 내용과 형식, 조형적 특성과 소재적 특성을 정신분석학자 디디에 앙지외, 줄리아 크리스테바의 담론을 토대로 살펴보며 각 특성이 함의하는 바를 작품 분석의 기틀로 마련한다. 작품 분석에서는 각 작품이 표상하는 타자의 개별 맥락을 통해 타자와의 연결이 인간중심주의적 사고를 극복하기 위한 기제가 될 가능성을 모색한다. 이때 작품의 표상이 되는 비가시화된 타자는 제 III 장에서 선행작품 표본을 분류한 2개의 갈래를 따르며 인간에서 비인간으로 확장되는 타자의 범주를 살펴본다. 분석의 기틀로써 섬유의 특성인 신체성, 장소성, 투과성을 개별 타자의 맥락과 연계하여 분석한다. 이를 통해 섬유조형 매체의 감각적 특성이 수용자와 타자의 관계가 맺어지는 공감의 장을 형성하는 양태를 확인한다. 비가시화된 타자를 둘러싼 담론의 이론적 고찰과 타자의 고통을 표상한 선행사례 분석을 토대로 제작한 8점의 섬유조형 작품을 통해 도출한 연구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비가시화된 타자를 복원하는 방법으로 타자와 관계 맺는 경로를 탐구하며, 조형예술에 사회적인 주제가 표현될 때 필요한 윤리적 태도에 관해 성찰하는 기회가 되었다. 수전 손택(Susan Sontag, 2003)은 『타인의 고통』에서 이미지로 재현된 타인의 비극과 실제의 간극을 강조하며 ‘우리’는 그들이 겪는 일들을 절대적으로 알 수 없음을 역설한다. 손택이 말한 재현된 이미지의 매체는 주로 사진이지만 동시대 조형예술에서도 같은 메커니즘이 적용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타자에 관한 연구를 통해 세상과 연결되고 있다는 감각을 받았다. 작품 제작에 앞서 타자의 고통에 어떤 태도와 행동을 취해야 하는가에 대한 면밀한 탐구가 필요하고, 절대적으로 이해할 수 없는 타자의 고통을 재현하는 방식을 고민하며 조형예술의 순기능을 모색할 필요성을 깨달았다. 그 방법론적 단초를 섬유조형의 매체적 특성에서 탐색하며 미술 재료로서 섬유의 속성뿐만 아니라 그것에 내재한 상징성에 주목했다. 이러한 특성은 수용자가 타자의 세부적인 맥락에 대한 다층적인 해석을 가능하게 만들며 심리적 거리를 좁힐 힘을 가진다는 것을 확인했다. 특히 섬유예술의 시간-기반적(time consuming) 속성은 타자에 관한 연구에서 비가시화된 타자의 고통을 온전히 감각할 수 있는 토대를 제공한다. 타자와의 관계 맺기에서 그들이 완벽한 타인으로 존재하는 차이뿐 아니라 온전히 이해할 수 없음을 인정하되, 그들과 연결되기 위한 적극적인 노력이 유지되길 바란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B. 연구의 범위 및 방법 3 Ⅱ. 비가시화된 타자에 관한 담론 고찰 6 A. 타자 이론의 사상적 흐름 8 B. 비가시화된 타자에 관한 동시대 담론 11 1. 타자 복원하기 12 가. 여성, 타자의 첫 번째 이름 12 나. 타자의 또 다른 이름들 15 2. 타자와 연결하기 22 가. 부분과 부분을 연결하기 22 나. 애도를 통해 성찰하기 24 Ⅲ. 비가시화된 타자의 고통을 표상하는 선행사례 분석 27 A. 환대받지 못하는 타자 27 1. 몸을 활용한 표상 28 2. 언표를 활용한 개념화 39 3. 사물이 매개하는 환유 표현 45 B. 죽음이 방치되는 비인간 생물 종 48 1. 박제를 활용한 표상 49 2. 르포르타주 양식의 차용 51 3. 대리 실체를 활용한 개념화 53 Ⅳ. 작품 제작 및 분석 55 A. 제작 배경 55 B. 작품 제작 57 1. 비가시화된 타자의 표상 57 2. 신체성, 장소성, 투과성을 은유하는 막 60 3. 타자 표현 매체로서의 섬유 63 C. 작품 분석 68 Ⅴ. 결론 113 참고문헌 117 ABSTRACT 12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8920131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타자, 섬유조형, 여성주의-
dc.subject.ddc700-
dc.title비가시화된 타자의 고통을 표상하는 섬유조형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Fiber Art Representing the Suffering of the Invisible Other-
dc.creator.othernameSeol, Hyeyun-
dc.format.pagex, 12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조형예술학부-
dc.date.awarded2024.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