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6 Download: 0

근로자들의 지역전환배치 경험에 관한 연구

Title
근로자들의 지역전환배치 경험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Employees' Experiences of Job Relocation
Authors
유소연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제사무학과
Keywords
지역전환배치, 근로자 경험, 직무 스트레스, 복리후생 제도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전지현
Abstract
제4차 산업혁명과 함께 조직의 경쟁력이 더욱 중요해지면서, 근로자들의 직무 순환 및 지역전환배치가 빈번해지고 있다. 이러한 지역전환배치는 근로자들에게 긍정적인 직무 경험과 새로운 기회를 제공하지만, 동시에 상당한 스트레스를 유발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근로자들의 지역전환배치 경험의 긍정적인 효과, 스트레스, 그리고 복리후생 제도에 관하여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연구문제를 다룬다. 첫째, 근로자들이 지역전환배치를 통해 느끼는 긍정적 효과는 무엇인가? 둘째, 근로자들이 지역전환배치로 인해 어떠한 스트레스를 경험하는가? 셋째, 근로자들은 지역전환배치와 관련하여 어떠한 복리후생 제도를 필요로 하는가? 본 연구는 질적 연구 방법을 사용하여 10명의 지역전환배치 경험이 있는 근로자들과 심층 인터뷰를 통해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Giorgi의 현상학적 방법론을 적용하여, 의미 단위를 도출하고 상황적 구조를 기술함으로써 지역전환배치의 긍정적 효과와 스트레스 요인을 심층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지역전환배치 근로자들은 사회적 상호작용 증진, 업무능력 향상, 애사심 향상 등 긍정적인 영향을 언급하였다. 특히, 새로운 업무 환경에서의 도전과 성과는 근로자들의 업무 능력과 자신감을 증대시키는 데 크게 기여하였고, 다양한 지역에서의 경험은 근로자들의 문제 해결 능력과 적응력을 향상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 그러나, 부정적인 영향도 있었다. 지역전환배치는 근로자들에게 가정 및 가족 관련 스트레스, 환경 스트레스, 이동 스트레스 등을 초래하였다. 많은 근로자들이 가족과의 분리, 새로운 생활 환경에 대한 적응, 그리고 이동 과정에서의 피로감을 호소하였다. 이러한 스트레스 요인들은 직무 만족도의 저하와 이직 의도의 증가로 이어질 수 있다. 특히, 가족과의 분리는 심리적 불안감을 유발하고, 새로운 지역에서의 생활 비용 증가와 같은 경제적 부담도 야기한 것으로 보인다. 근로자들이 어떠한 지원을 필요로 하는지 파악한 결과, 지역전환배치로 인한 스트레스를 최소화하고 직무 만족도를 높이기 위하여 복리후생 제도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기업은 근로자들이 새로운 환경에 원활하게 적응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지속적인 복지 프로그램을 통해 직무 만족도를 높이는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 특히, 가족과 함께 이동할 수 있는 지원 정책, 지역전환배치 관련 내규 확립, 이동 과정에서의 경제적 지원 등이 필요하다. 이 연구는 국내 지역전환배치에 관한 연구의 부족함을 보완하고, 기업들이 보다 효과적인 인적 자원 관리 전략을 수립하는 데 기여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한다.;With the advent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organizational competitiveness has become increasingly important, leading to more frequent job rotations and relocations among employees. Such job relocations can provide employees with positive job experiences and new opportunities, but they can also induce significant stress.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positive effects, stress factors, and welfare policies related to employees' job relocation experiences. Specifically, this study addresses the following three research questions: First, what are the positive effects that employees experience through job relocations? Second, what types of stress do employees experience due to job relocations? Third, what welfare policies do employees need in relation to job relocations? The study employs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collecting data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10 employees who have experienced job relocations. Using Giorgi's phenomenological methodology, the study identifies meaningful units and describes situational structures to deeply analyze the positive effects and stress factors associated with job relocations. The findings indicate that job relocations lead to positive effects such as enhanced social interactions, improved job skills, and increased company loyalty. Employees reported that challenges and achievements in new work environments significantly boosted their job skills and confidence. Additionally, diverse regional experiences helped improve problem-solving abilities and adaptability. However, there were also negative impacts. Job relocations caused various stress factors including family-related stress, environmental stress, and stress from the relocation process itself. Many employees reported difficulties in adjusting to new living environments, separation from family, and the fatigue associated with the relocation process. These stress factors could lead to decreased job satisfaction and increased turnover intentions. Specifically, family separation induced psychological anxiety and economic burdens such as increased living costs in new regions. Based on the findings regarding the types of support employees need, the study suggests the necessity of welfare policies to minimize stress and enhance job satisfaction during job relocations. Companies should support employees' smooth adjustment to new environments and develop continuous welfare programs to improve job satisfaction. Policies should include support for relocating with family, establishing clear job relocation guidelines, and providing financial support during the relocation process. This study supplements the lack of domestic research on job relocations and provides foundational data to help companies develop more effective human resource management strategi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제사무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