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1 Download: 0

한부모 이주여성의 사회적 배제 경험

Title
한부모 이주여성의 사회적 배제 경험
Other Titles
Social Exclusion Experience of Single-Parent Migrant Women
Authors
이예나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Keywords
한부모 이주여성, 가족해체, 한부모, 미혼모, 사회적 배제, 질적 사례연구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양옥경
Abstract
본 연구는 한부모 이주여성의 사회적 배제 경험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한부모 이주여성의 사회적 배제 경험과 관련된 맥락에서 그 경험에 관한 구체적인 의미와 양상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고자 함이다. 본 연구의 연구 질문은 ‘한부모 이주여성의 사회적 배제 경험은 어떠한가?’이다. 이를 위해 한부모 이주여성이 한국에 정착하여 아이를 출산하고 한부모가 되기까지의 과정과 한부모가 된 이후의 사회적 배제 경험에 대해 심도 있게 탐색하였다. 이를 통해 한부모, 이주민, 여성이라는 교차점에서 경험하는 특수한 사례를 질적 사례연구방법을 통해 새롭게 조명하였다. 연구참여자의 모집은 스노우볼링(Snowballing Sampling) 표집방법을 활용하였다. 일차적으로, 가족센터, 한부모가족지원센터, 글로벌한부모센터 그리고 이주배경청소년지원재단 등 연구자가 기존에 활동하고 있던 기관 및 단체 관계자에게 연구의 목적, 참여요건, 과정을 설명하여 적합한 연구참여자를 모집하는 데 협조를 구했다. 연구참여자들은 현재 한국에 거주하고 있는 결혼이민자·귀화자 여성으로, 이혼, 사별, 미혼모 등의 사유로 홀로 자녀를 양육하고 있다. 또한, 이주여성이 양육하고 있는 자녀는 이주여성과 한국인 남성 사이에서 태어나 대한민국 국적을 가지고 있으며, 사회적 배제에 관하여 충분한 경험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한부모가 된 기간이 최소 2년 이상인 한부모 이주여성을 참여자로 선정했다. 이렇게 선정된 연구참여자는 11명으로, 한부모 유형은 이혼이 5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그다음으로 사별이 4명, 미혼모 2명으로 다양했다. 또한, 한부모가 된 기간은 짧게는 5년에서 길게는 22년까지 광범위했으며, 자녀 수는 1명부터 3명까지 있었다. 마지막으로, 연구참여자 중 귀화하여 한국 국적을 가지고 있는 참여자는 6명, 아직 한국 국적을 취득하지 못한 참여자 5명으로 구성되어있다. 연구참여자 사례수집은 2024년 2월부터 5월까지 4개월에 걸쳐 연구참여자 한 명당 2회기의 심층 면접을 통해 수집하였다. 심층 면접을 통해 얻은 자료의 분석은 연구자의 필드노트와 연구참여자 녹취록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먼저, 사례 내 분석에서 나타난 연구참여자들의 공통적인 경험과 의미들을 비교 분석하였다. 특히 사례연구는 시간과 장소에 의해 경계 지어진 체계 내에서 어떤 현상이 발현되는지 이해하고 발현된 현상이 어떠한 과정으로 발전되는지를 규명하는 연구방법이다(Creswell, 2010). 따라서 한부모 이주여성의 사회적 배제의 경험을 시간의 흐름과 장소의 경계에 따른 맥락에서 의미 단위, 하위범주, 상위범주로 범주화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3개의 상위범주와 12개의 하위범주 그리고 26개의 의미단위가 도출되었다. 첫 번째 상위범주는‘한부모, 이주민, 여성의 교차로에서 외로운 투쟁’이다. 한부모 이주여성이 한부모가 된 이후 우리 사회에서 경험한 사회적 배제와 그 의미에 대해 분석하였다. 이는 ‘사방이 막히고 길을 잃음’, ‘유일한 안식처에서 내몰림’, ‘이주민 엄마의 이중적 고충’ 그리고 ‘깊어지는 우울의 그림자’의 하위주제를 포함한다. 두 번째 상위범주는 ‘공평하지 않은 출발선 UNFAIR’이다. 한부모 이주여성이 앞서 경험한 사회적 배제를 바탕으로 사회적 배제의 배경과 원인이 되는 구조적인 문제에 대해 도출하였다. 이는 ‘빈약한 사회적 안전망’, ‘정보 접근의 소외’, ‘불안한 근로환경과 차별’ 그리고 ‘사회의 구조적인 편견’의 하위주제를 포함한다. 세 번째 상위범주는 ‘끊임없이 희망의 길을 찾아 나아감’이다. 한부모 이주여성들이 다차원적인 사회적 배제를 경험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이를 극복하기 위해 노력하고 버텨온 여정과 그 원동력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이는 ‘가정을 지키기 위해 희생과 인내’, ‘포기하지 않고 문을 두드림’, ‘단 한 사람이 내밀어준 손’ 그리고 ‘미래에 대한 희망’의 하위주제를 포함한다. 또한, 본 연구의 사례 내 분석과 사례 간 분석의 결과를 토대로, 연구참여자들의 경험을 관통하는 중심주제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참여자들은 사별, 이혼 그리고 미혼모의 다양한 사유로 인해 가족해체를 경험하고 한부모가 되었다. 이후 한부모, 이주민, 여성의 교차로에서 어떠한 연결고리나 지지체계 없이 고립무원의 상태로 사회적 배제를 경험하였다. 이들은 남편도, 부모도, 친구도 없이 한국 사회에서 유일한 안식처에서 내몰리며, 언제 쫓겨날지 모르는 보금자리에서 기초 수급비로 겨우 생계를 유지해나가고 있었다. 홀로 짊어져야 하는 생계유지와 자녀 양육이라는 이중적인 고충 속에 우울의 그림자는 깊어져 갔다. 그러나, 한부모 이주여성을 보호할 수 있는 사회적 안전망은 빈약하였다. 실질적으로 필요한 교육이나 서비스가 부재하고, 제도 및 서비스에서도 사각지대가 존재했다. 또한, 언어장벽과 출신의 차이로 인해 정보 접근에서도 소외되었으며, 불안한 근로환경과 차별은 이들의 생계를 더욱 위협하였다. 무엇보다 참여자들이 배제를 경험할 수밖에 없었던 기조에는 한부모 이주여성을 향한 사회의 구조적인 편견이 자리하고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참여자들은 가정을 지키기 위해 끊임없이 희생하고 인내하며 투쟁했다. 자녀들을 위해 포기하지 않고 사회에 지속적으로 문을 두드렸다. 그리고 그 안에서 단 한 사람이 내밀어준 관심의 손과 지원으로 인해 사회구성원으로서 연대를 경험할 수 있었다. 무엇보다 이들에게 희망이 되었던 것은 자녀들이 미래를 찾아갈 때 그리고 참여자 자신이 누구의 아내와 엄마가 아닌 나를 찾아가는 삶을 살 때 희망의 서사를 써 내려갈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참여자들의 여정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한부모 이주여성의 사회적 배제의 경험에 대해 ‘고립무원(孤立無援)의 여정과 희망의 서사’라는 중심주제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에 기반한 주요 논의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부모 이주여성 대상 제도 및 서비스의 배제이다. 한부모 이주여성의 제도 및 서비스의 보호 체계는 사각지대와 한계가 존재하며, 이는 ‘빈약한 사회적 안전망’으로 도출되었다. 이에 따른 경험에는 실질적으로 필요한 교육 및 서비스의 부재, 빈곤을 지속시키는 수급 자격 그리고 비 귀화자의 제도적 사각지대가 존재했다. 둘째, 안정적인 노동시장 진입 장벽과 불안한 근로환경이다. 한부모 이주여성에게 고용과 근로는 생계와 연결된 매우 중요한 환경이다. 그러나 본 연구참여자들은 안정적인 노동시장으로 진입과 근로환경 안에서 동료와의 관계 그리고 승진 및 급과 같은 처우에서 문제를 제기하고 있었다. 셋째, 생계유지 및 자녀 양육과 돌봄의 이중고이다. 한부모 이주여성은 가족의 생존을 위한 노동의 몫을 감당하고 있는 동시에 자녀의 양육과 돌봄의 과제까지 짊어지고 있다. 한국에 양육을 도와줄 수 있는 가족 및 지지체계가 전혀 없는 연구참여자들은 생계와 육아의 딜레마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다. 넷째, 한부모 이주여성의 사회참여 배제와 사회적 인식이다. 연구참여자들의 사회참여 배제는 한국 선주민들과의 접촉에서뿐만 아니라 이주민 커뮤니티 안에서도 전반적으로 경험하고 있었다. 또한 한국 선주민을 접촉할 수 있는 기회에서도 언어의 장벽으로 쉽게 소통하지 못했으며, 이주민과 한부모에 대한 한국 선주민들의 편견과 사회적 인식의 영향도 있었다. 다섯째, 한부모 이주여성을 향한 지역사회의 관심과 지원이다. 연구참여자들은 한부모, 이주민 그리고 여성이라는 교차로에서 다양한 배제를 경험하고 있었다. 그럼에도 그 속에서 참여자들에게 관심을 가지고 손을 내밀어 준 지역사회의 관심과 지원으로 인해 이들은 우리 사회의 구성원으로 연대감을 느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결과와 논의를 바탕으로 사회복지 실천적·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주요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실천적 함의로는 첫째, 지역사회 내 한부모 이주여성을 대상으로 지속적인 사례관리 및 발굴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한부모 이주여성의 가족해체 이후 심리적 위기개입과 사례관리를 통한 체계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또한 지역사회 내의 사례를 발굴하기 위해 관심을 기울여야 하며, 이를 위한 인력과 예산이 충원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일자리 사업의 내실화 및 자녀 돌봄 서비스가 연계되어야 한다. 한부모 이주여성 대상 직업교육 및 훈련에 더불어 노동시장으로 진입할 수 있도록 확실한 연계가 필요하며, 이에 따른 양육과 돌봄의 공백이 발생하지 않도록 서비스를 연계해야 한다. 셋째, 한부모 이주여성 인식개선 및 사회통합 프로그램이 마련되어야 한다. 먼저 선주민 한부모 여성과 이주민 한부모 여성들이 함께 교류할 수 있는 장이 마련되어야 하며, 이후 우리 사회의 인식개선 및 포용적 관점 형성을 위한 단계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정책적 함의로는 첫째, 한부모 이주여성 지원체계의 연계 및 정책적 기반이 구축되어야 한다. 한부모 이주여성이 한부모 그리고 이주여성으로써 중첩되어 발생하는 문제와 욕구들을 종합적으로 케어하고 지원할 수 있는 통합적인 지원체계 및 시스템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한부모 이주여성 대상 수급 기준 및 귀화 조건의 완화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공공기관의 이주민 대응 매뉴얼 내실화 및 접근성이 제고되어야 할 것이다. 한부모 이주여성에 관한 제도와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적절히 안내하고 제공할 수 있도록 정확한 이해와 숙지가 필요하다. 추가로, 언어가 미숙한 이주민을 대상으로 언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이에 대한 접근성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This study is a qualitative case study on the social exclusion experiences of single-parent migrant women.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gain an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specific meanings and patterns related to the social exclusion experiences of single-parent migrant women within their contextual backgrounds. The primary research question is, "What are the social exclusion experiences of single-parent migrant women?" To explore this, the study examines the process by which these women settle in Korea, give birth, become a single parents, and subsequently experience social exclusion. By focusing on the unique intersectional experiences of being single-parent, migrants, and women, this study illuminates their distinctive cases using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s. Participants were recruited using the snowball sampling method. Initial cooperation was sought from institutions and organizations such as Family Centers, Single-Parent Family Support Center, Global Single-Parent Centers, and the Migrant Youth Foundation, where the researchers were already connected. The study included marriage migrants and naturalized women currently residing in Korea who are raising children alone due to reasons such as divorce, bereavement, or unwed mother. Additionally, the children of these migrant women, born between the migrant women and Korean men, hold Korean nationality. To ensure participants could provide comprehensive insights into social exclusion, only single-parent migrant women who had been in that status for at least two years were selected. A total of 11 participants were selected, with the largest group being divorced (5 participants), bereaved(4 participants), and unwed mothers(2 participants). The duration of their single-parent status ranged from 5 to 22 years, and the number of children ranged from one to three. Among the participants, six had acquired Korean nationality, while five had not. Data collection occurred over four months, from February to May 2024, with each participant undergoing two in-depth interview sessions. The analysis of the data obtained through the in-depth interviews focused on the researcher's field notes and participant transcripts. First, a comparative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common experiences and meanings expressed by the participants in the case analysis. Particularly, case study research aims to understand how phenomena manifest within systems bounded by time and place, and to elucidate the processes through which these phenomena develop (Creswell, 2010). Therefore, The experiences of social exclusion among single-parent migrant women were categorized into meaning units, sub-themes, and major themes based on the context of time and place. This process yielded three major themes, twelve sub-themes, and twenty-six meaning units. The first major theme is ‘Lonely Struggles at the Intersection of Single-Parent, Migrant, and Woman’. This theme analyzes the social exclusion and its meanings as experienced by single-parent migrant women in our society after becoming single parents. It includes the sub-themes of ‘Blocked on All Sides and Lost’, ‘Driven Out from the Only Sanctuary’, ‘Dual Hardships of Migrant Mothers’ and ‘The Deepening Shadow of Depression’. The second major theme is ‘Unfair Starting Line’. This theme identifies the structural issues that contribute to social exclusion, based on the social exclusion experiences of single-parent migrant women. It includes the sub-themes of ‘Weak Social Safety Net’, ‘Marginalized Access to Information’, ‘Precarious Work Environment and Discrimination’, and ‘Structural Prejudices of Society’. The third major theme is ‘Continuously Seeking the Path of Hope’. This theme explores the journeys and sources of resilience for single-parent migrant women who have endured and strived to overcome multidimensional social exclusion. It includes the sub-themes of ‘Sacrifice and Patience to Protect the Family’, ‘Persistently Knocking on Doors’, ‘A Helping Hand from One Individual’, and ‘Hope for the Future’. Additionally, based on within-case and cross-case analyses, a central theme that encapsulates the participants' experiences was derived. The study participants became single parents due to various reasons such as divorce, bereavement, and unwed mother, leading to family dissolution. Subsequently, they experienced social exclusion at the intersection of single-parent, migration, and woman, without any support systems or connections. These women were thrust into a state of isolation in Korean society, devoid of husbands, parents, or friends. They were driven out from their only sanctuaries and barely sustained their livelihoods with basic living allowances, constantly fearing eviction from their precarious homes. The dual burden of maintaining a livelihood and raising children alone deepened the shadows of depression. The social safety net for single-parent migrant women was notably weak. There was a lack of essential education and services, and gaps existed within the available systems and services. Language barriers and differences in origin further marginalized their access to information. Precarious working conditions and discrimination threatened their livelihoods even more. Underpinning their experiences of exclusion was the structural prejudice against single-parent migrant women within society. Despite these challenges, the participants continually sacrificed, persevered, and struggled to protect their families. They persistently knocked on society's doors, refusing to give up for the sake of their children. Within this struggle, the interest and support extended by even a single individual enabled them to experience solidarity as members of society. Most importantly, what gave them hope was the prospect of their children finding a future and themselves living lives defined by their own identities, rather than being merely someone's wife or mother. Drawing on the journeys of these participants, the study identified the central theme of the social exclusion experiences of single-parent migrant women as ‘A Journey of Isolation and a Narrative of Hope’. The key discussions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exclusion from systems and services targeting single-parent migrant women. The protection systems for single-parent migrant women have gaps and limitations, identified as a "weak social safety net." This includes the lack of essential education and services, the persistence of poverty due to eligibility criteria for benefits, and the institutional blind spots for non-naturalized individuals. Second, the barriers to stable labor market entry and precarious working conditions. Employment and work are crucial environments directly linked to the livelihoods of single-parent migrant women. However, the study participants raised issues regarding entry into a stable labor market, relationships with colleagues, and treatment in terms of promotion and pay within the work environment. Third, the dual burden of maintaining a livelihood and child-rearing and caregiving. Single-parent migrant women are shouldering the responsibility of working for the family's survival while also taking on the tasks of child-rearing and caregiving. The participants, who have no family or support system in Korea to assist with childcare, face difficulties in the dilemma of balancing livelihood and childcare. Fourth, the exclusion from social participation and social perception of single-parent migrant women. The participants experienced social participation exclusion not only in contact with native Koreans but also within migrant communities. They struggled with communication barriers due to language and were affected by the prejudices and social perceptions of native Koreans towards migrants and single parents. Fifth, the interest and support from the local community towards single-parent migrant women. Despite experiencing various forms of exclusion at the intersection of being a single-parent, a migrant, and a woman, the participants felt a sense of solidarity as members of society due to the interest and support extended by the local community. This support allowed them to see themselves as integrated members of the society.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and discussions, prac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for social welfare are presented. The key points are summarized as follows: Practical Implications: First, there is a need for continuous case management and identification of single-parent migrant women within the community. This requires a systematic approach through psychological crisis intervention and case management following family breakdown. Attention must be given to identifying such cases in the community, and additional personnel and budget should be allocated for this purpose. Second, job creation initiatives should be substantial and linked with child care services. In addition to providing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for single-parent migrant women, there should be a solid connection to help them enter the labor market. Services should be coordinated to prevent gaps in child care and caregiving. Third, awareness and social integration programs for single-parent migrant women should be established. Opportunities should be created for native single-parent women and migrant single-parent women to interact. Subsequently, a phased approach is needed to improve societal awareness and foster an inclusive perspective. Policy Implications: First, an integrated support system and policy framework for single-parent migrant women should be established. A comprehensive support system must be developed to address and support the overlapping issues and needs arising from being both a single-parent and a migrant woman. Second, eligibility criteria for benefits and naturalization conditions for single-parent migrant women should be relaxed. Lastly, the response manuals of public institutions for migrants need to be improved, and accessibility should be enhanced. Accurate understanding and familiarization are required to appropriately guide and provide information about the systems and services available for single-parent migrant women. Additionally, manuals should be refined to facilitate the use of language services for migrants with limited language proficiency. This study provides new insights into the multifaceted social exclusion experiences of single-parent migrant women in Korea, contributing to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ir challenges and resilience. This study aims to represent the voices of single-parent migrant women, protecting their rights and dignity, and playing a crucial role in building an inclusive society. By fostering social solidarity and empathy, this research seeks to promote integration and development in a multicultural society, highlighting its practical and research value in the field of social welfar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