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7 Download: 0

공공도서관 청소년 디지털 리터러시 프로그램 개선방안 연구

Title
공공도서관 청소년 디지털 리터러시 프로그램 개선방안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youth digital literacy programs in public libraries
Authors
이현숙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Keywords
디지털 리터러시, 청소년 디지털 리터러시, 공공도서관 디지털 리터러시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차미경
Abstract
In a digital society where digital technology affects all of our lives, digital literacy is being emphasized as a core competency for leading daily lives, learning, and professional activities. Young people who will live in the digital society not only today but also in the future must have digital literacy capabilities so that they can find necessary information, solve problems through critical thinking and collaboration, communicate as digital knowledge information producers, and actively participate in society by utilizing digital media. Accordingly, in this study, literature research, domestic and international case studies, and interviews with staff were conducted to find improvement measures to provide better youth digital literacy programs in public libraries. First, a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concept of digital literacy and the digital literacy competencies that should be fostered through public library youth digital literacy programs. To this end, the capabilities of the digital literacy framework of UNESCO, Government of British Columbia, Canada, JISC, KERIS, National Library of Korea and Seoul Metropolitan Library were compared and analyzed. As a result, eight sub-capabilities were identified: digital proficiency, programming, digital creation, information literacy, media literacy, digital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digital safety, and digital ethics. As an overseas example, youth digital literacy programs in public libraries in the United States were investigated and to find implications were sought. The case study focused on 10 public libraries that have set up localized Digital Learn sites, an online hub run by PLA for public libraries to conduct digital literacy training. An examination of the formal digital literacy programs for youth in the 10 libraries, which can be found on the library websites, revealed that digital literacy programs focus on programming and digital creation, while information and media literacy is mostly provided through online tutorials and informal on-site training. The domestic case study surveyed 23 public libraries that included youth in their library name or had a tween (12-16) space, teen space, or teen resource room at the end of 2022. Based on the 23 libraries' websites, phone calls, visits, and emails, 10 libraries offered youth digital literacy programs in 2023, with the majority (87.5%) offering programs to build digital creation and programming skills. This is likely a result of low youth efficacy and usage in coding and digital content creation and editing, which has led to user demand. Programs to build information literacy, digital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and digital safety and ethics skills were less common, and were mostly delivered in face-to-face group formats. Following the case study, nine public library staff were interviewed in person and by email between May 7 and May 20, 2024, about their perceptions of the need for, critical capabilities of, and operations of youth digital literacy programs. Digital creativity, digital ethics, information literacy, and media literacy were the capabilities that staff perceived as important when designing programs, but digital ethics and information literacy were not offered in any cases. Programming and digital literacy, the capabilities that were less important to staff when designing programs, were the second- and third-most common program offerings after digital creativity. These differences in staff perceptions and practices were attributed to patron demand, library space and equipment, and other factors. As a result of comprehensive analysis of case studies and interviews with staff, the problems of youth digital literacy programs are as follows. First, information literacy programs that can take advantage of public library information resources and librarians' expertise are not operated, and programs focused on digital creation and programming that rely heavily on external instructors cannot take advantage of the library's strengths and are difficult to sustain and scale. Second, public library youth digital literacy programs face challenges such as insufficient funding, lack of space and equipment, difficulty recruiting youth, and staff shortages. Third, digital literacy programs are often focused on face-to-face group training, which does not ensure diverse access for youth.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e following suggestions were made to improve public library digital literacy programs for youth in terms of program composition and operation. First, in terms of program composition, public libraries should clarify the concepts and capabilities of digital literacy and organize the program so that information literacy and media literacy play a central role. Programs centered on information literacy and media literacy combine information and media literacy with digital creation and programming, which are in high demand by users, and digital ethics, which are recognized as important but not established, and are designed to meet user needs and digital democracy while taking advantage of the library's expertise. Youth digital literacy programs focused on information literacy and media literacy can be led by librarians using public library information resources, reducing reliance on external trainers and increasing librarians' sense of efficacy and internal and external satisfaction. It also ensures continuity and scalability of the program by ensuring that librarians with expertise remain in charge even as staff changes. In terms of program operation, the following suggestions were made to improve the budget, space and equipment, youth recruitment, manpower, and program dissemination and operation methods. First, in order to secure the budget, efforts should be made to increase the national and local library budgets and to select public projects, while securing the budget through corporate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and cooperation with non-profit organizations. Second, to solve the problem of lack of space and equipment, youth spaces should be made into variable and flexible rhizome-type spaces where various activities can take place, and if there are not enough digital devices for program operation, participants' own digital devices should be used. Third, collaborate with local youth organizations to provide space, equipment, user identification, and promotion, and facilitate youth gatherings in the library to bring their peers into the library. Fourth, continuous and systematic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online and offline to strengthen the professionalism of librarians, and an online hub should be operated where digital literacy online education, digital literacy self-diagnosis, and retraining are possible. Fifth, to address staffing shortages, leverage professional volunteers with digital literacy skills from the community and build relationships with them to serve as auxiliary staff to support day-to-day digital literacy services as well as formal programs. Sixth, National Library of Korea and metropolitan representative libraries should develop and disseminate standardized digital literacy program models for local implementation, and support monitoring and refresher training to ensure that programs are stable. Seventh, programs should be delivered in a variety of modalities to ensure accessibility for youth, including informal, on-site, one-on-one, and online training, as well as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online hubs to strengthen youth's digital literacy skills. Online hubs should provide digital literacy tutorials and free, accessible online sources of information that are routinely and always available. Online hubs to build the digital literacy skills of users and librarians should be developed and managed by National Library of Korea and metropolitan representative libraries to ensure accessibility, ease of use, and consistency of quality content, so that digital literacy services in public libraries are clear and centralized.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identifies the problems of youth digital literacy programs provided by public libraries and suggests practical ways to improve them through case study analysis and interviews with program personnel. However, it is difficult to generalize due to the small sample size of case studies and interviews, and there is a limitation that no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the perceptions of adolescents who participate in the programs.;디지털 기술이 우리 삶 전반에 영향을 미치는 디지털 사회에서 일상생활을 영위하고 학습과 직업 활동을 위한 핵심역량으로써 디지털 리터러시가 강조되고 있다. 현재뿐만 아니라 미래 디지털 사회를 살아갈 청소년들이 필요한 정보를 찾고 비판적 사고와 협력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고, 디지털 지식정보 생산자로 소통하며, 디지털 매체를 활용하여 능동적으로 사회에 참여할 수 있도록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을 갖추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공공도서관에서의 더 나은 청소년 디지털 리터러시 프로그램 제공을 위한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문헌 연구와 국내외 사례조사, 담당자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먼저 문헌 연구를 통해 디지털 리터러시 개념과 공공도서관 청소년 디지털 리터러시 프로그램을 통해 함양해야 하는 청소년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UNESCO, 캐나다의 British Columbia 주, JISC, 한국교육학술정보원, 국립중앙도서관과 서울도서관의 디지털 리터러시 프레임워크의 역량을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8개 하위 역량으로 디지털 능숙도, 프로그래밍, 디지털 창작, 정보 리터러시, 미디어 리터러시, 디지털 소통과 협업, 디지털 안전, 디지털 윤리를 도출하였다. 국외 사례로 미국 공공도서관 청소년 디지털 리터러시 프로그램을 조사하고 시사점을 찾고자 하였다. 사례조사는 공공도서관이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을 수행할 수 있도록 PLA가 운영하는 온라인 허브인 Digital Learn 사이트를 지역에 맞게 구축한 10개 공공도서관을 대상으로 하였다. 10개 도서관의 청소년 디지털 리터러시 프로그램 중 도서관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는 공식 프로그램을 조사한 결과, 디지털 리터러시 프로그램은 프로그래밍과 디지털 창작에 집중되어 있으며, 정보 리터러시와 미디어 리터러시는 온라인 튜토리얼과 비공식 현장 교육으로 대부분 제공되고 있었다. 국내 사례조사는 2022년 말 기준 도서관 명에 청소년을 포함하거나 트윈세대(12-16세) 전용공간, 청소년 전용공간 또는 청소년자료실이 있는 23개 공공도서관을 대상으로 하였다. 23개 도서관 홈페이지, 전화, 방문, 이메일 조사 결과 10개 도서관에서 2023년 한 해 동안 청소년 디지털 리터러시 프로그램을 운영하였으며, 운영한 프로그램은 디지털 창작 역량과 프로그래밍 역량을 함양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대부분(87.5%)이었다. 이는 코딩과 디지털 콘텐츠 제작 및 편집 부문에서 청소년들의 낮은 효능감과 사용역량이 이용자 요구로 이어진 결과로 보인다. 정보 리터러시, 디지털 소통과 협업, 디지털 안전과 윤리 역량을 함양할 수 있는 프로그램은 진행되지 않았으며 대부분 대면 집합 형식으로 운영되었다. 사례조사 후 공공도서관 담당자 9명을 대상으로 청소년 디지털 리터러시 프로그램의 필요성, 중요 역량, 운영에 대한 담당자 인식에 대한 인터뷰를 2024년 5월 7일부터 5월 20일까지 대면과 이메일로 진행하였다. 담당자들이 프로그램 기획 시 중요하게 인식한 역량은 디지털 창작, 디지털 윤리, 정보 리터러시와 미디어 리터러시였지만, 디지털 윤리와 정보 리터러시는 한 건도 진행되지 않았다. 덜 중요하게 생각한 프로그래밍과 디지털 능숙도 프로그램은 디지털 창작에 이어 2~3순위로 많이 운영하였다. 이런 담당자 인식과 운영상의 차이는 이용자 요구, 도서관 공간과 장비 등에서 기인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례조사와 담당자 인터뷰를 종합적으로 분석한 결과 청소년 디지털 리터러시 프로그램의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공공도서관 정보자원과 사서의 전문성을 살릴 수 있는 정보 리터러시 프로그램은 운영하지 않고, 외부 강사 의존도가 높은 디지털 창작과 프로그래밍 위주의 프로그램 운영으로 도서관의 장점을 살릴 수 없고, 지속성과 확장성을 갖기 어려운 상황이다. 둘째, 공공도서관 청소년 디지털 리터러시 프로그램은 예산 부족, 공간과 장비 부족, 청소년 모집 어려움, 인력 부족 등으로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디지털 리터러시 프로그램이 대면 집합 교육 위주로 진행되어 청소년의 다양한 접근을 보장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공공도서관 청소년 디지털 리터러시 프로그램 개선방안을 프로그램 구성과 운영 측면에서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먼저, 프로그램 구성 측면에서는 공공도서관 디지털 리터러시 개념과 역량을 명확히 하고, 정보 리터러시와 미디어 리터러시가 중심적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구성하여야 한다. 정보 리터러시와 미디어 리터러시 중심의 프로그램은 정보·미디어 리터러시에 이용자 요구가 많은 디지털 창작과 프로그래밍, 중요하게 인식하지만 개설하지 않은 디지털 윤리 등을 융합한 형태로, 도서관의 전문성을 살리면서 이용자 요구와 디지털 민주시민 양성이라는 역할을 충족할 수 있다. 정보 리터러시와 미디어 리터러시 중심의 청소년 디지털 리터러시 프로그램은 공공도서관 정보자원을 활용한 사서 주도의 프로그램으로 외부 강사 의존도를 낮추고, 사서의 효능감을 고취하여 내외부적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담당자가 변경되어도 전문성을 갖춘 사서로 이어져 프로그램의 지속성과 확장성을 담보할 수 있다. 프로그램 운영 측면에서는 예산, 공간과 장비, 청소년 모집, 인력, 프로그램 보급과 운영 방식에 대한 개선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첫째, 예산 확보를 위해 국비와 지자체 도서관 예산 증액과 공모사업 선정을 위한 노력을 하는 동시에 기업의 사회공헌 활동과 비영리단체와의 협력을 통해 예산을 확보하여야 한다. 둘째, 공간과 장비 부족 문제해결을 위해 청소년 공간을 다양한 활동이 이루어질 수 있는 가변적이고 유연한 리좀형 공간으로 조성하고, 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디지털 기기가 부족한 경우 참가자 개인의 디지털 기기를 활용하여야 한다. 셋째, 지역사회 청소년 기관과의 협력으로 공간, 장비, 이용자 발굴, 홍보를 활성화하고, 도서관 내 청소년 모임을 활성화하여 이들의 또래가 도서관으로 유입될 수 있게 하여야 한다. 넷째, 사서의 전문성 강화를 위해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교육을 온·오프라인으로 제공하여야 하며, 디지털 리터러시 온라인 교육과 디지털 리터러시 자가 진단, 재훈련이 가능한 온라인 허브를 운영하여야 한다. 다섯째, 인력 부족 문제해결을 위해 지역사회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을 갖춘 전문 자원봉사자를 활용하여 이들이 공식적인 프로그램뿐만 아니라 일상적인 디지털 리터러시 서비스를 지원하는 보조 인력으로서 활동할 수 있게 관계를 구축하여야 한다. 여섯째, 국립중앙도서관과 광역대표도서관은 표준화된 디지털 리터러시 프로그램 모형을 개발하여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도록 보급하고 모니터링 및 보수교육을 지원하여 안정적으로 프로그램이 정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일곱째, 프로그램 진행 방식을 오프라인 집합 교육 위주에서 비공식 현장교육과 일대일 교육, 온라인 교육 등 다양한 방식으로 제공하여 청소년의 접근성을 보장하여야 하며, 온라인 허브 개발과 운영으로 청소년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을 강화해야 한다. 온라인 허브는 디지털 리터러시 튜토리얼과 무료로 이용할 수 있는 온라인 정보원을 제공하여 청소년들이 일상적으로 언제나 이용할 수 있게 하여야 한다. 이용자와 사서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강화를 위한 온라인 허브는 접근성과 이용 편의성, 양질의 콘텐츠가 지속적으로 제공되어야 하므로 국립중앙도서관과 광역대표도서관에서 개발 및 관리하여야 하며, 이렇게 하면 공공도서관에서의 디지털 리터러시 서비스가 명확해지며, 집중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에서 제공하는 청소년 디지털 리터러시 프로그램 사례조사 분석과 프로그램 담당자 인터뷰를 통해 프로그램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현실적인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하지만 사례조사와 담당자 인터뷰 표본 수가 적어 일반화하기 어렵고, 프로그램 참여자인 청소년의 인식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못한 한계가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문헌정보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