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은영-
dc.contributor.author어윤지-
dc.creator어윤지-
dc.date.accessioned2024-08-19T16:32:00Z-
dc.date.available2024-08-19T16:32:00Z-
dc.date.issued2024-
dc.identifier.otherOAK-000000232815-
dc.identifier.urihttps://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232815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68992-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은 성능경(成能慶, 1944-)의 1980-1990년대 작업을 중심으로 작가가 사진을 사용한 맥락과 특성을 고찰한 연구이다. 성능경은 1970년대부터 현재까지 일상의 재료를 활용한 오브제, 사진, 설치, 행위 작업을 통하여 삶과 예술의 경계를 넘나드는 전위 작가로 활동했다. 1970년대 개념미술이 국내에 수용된 이후 성능경은 작가의 개념과 정보를 전달할 도구로 사진을 선택하고 활용방식을 탐구했다. 또한 그는 1980-1990년대에 사회 현실을 포착하는 신문의 보도사진과 일상에서 촬영한 사진을 작품에 사용했다. 따라서 사진은 성능경 작업에서 주요한 도구이자 재료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그간 연구에서 성능경을 비롯하여 국내 미술가들이 사진을 수용한 맥락이 논의되지 않았고, 성능경의 활동과 작업은 그가 참여한 단체에 대한 설명과 함께 기술되거나 행위미술 위주로 분석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성능경이 지속적으로 사진 관련 작업을 진행했다는 점과 그의 사진이 다른 매체와 만나며 활용 범위를 확장했다는 사실에 주목하여 작가의 작업을 사진 사용의 맥락에서 고찰하는 것에 목적을 둔다. 성능경은 1973년 Space & Time 조형미술학회에 가입하며 본격적으로 미술 활동을 시작했다. 이 시기 한국 사회는 언론의 탄압 등 정부에 의해 형성된 상호 감시의 분위기가 팽배했다. 이러한 경직된 분위기 속에서 청년세대는 청년문화를 만들어 국가 권력에 소극적으로나마 저항하였고, 미술계에서는 젊은 작가들을 중심으로 전통적인 회화와 조각을 벗어난 사진, 입체, 오브제, 해프닝, 이벤트 등 전위적 실험미술이 발전했다. 실험미술 단체 중 Space & Time 조형미술학회는 해외의 미술을 수용하여 사진, 물질, 환경, 행위를 통해 개념미술을 탐구했다. 이 과정에서 성능경은 작가의 개념을 전달하고 행위를 기록할 도구로 사진의 기능에 주목하였으며, 촬영 대상과 사진, 작가의 언어적 표현이 동어반복적으로 나타나는 사진을 제작했다. 또한 비슷한 시기 미술가들은 신문이나 잡지의 사진을 작업에 활용하거나, 작업의 과정을 사진으로 기록하였으며, 현실을 포착하고 사회비판적인 내용을 전달하고자 사진을 작업에 도입했다. 이러한 맥락을 바탕으로 본 논문에서는 성능경이 1970년대부터 축적된 다양한 경험을 토대로 1980-1990년대 작업에 사진을 사용했다고 보고, 이 시기 작가의 작업을 세 갈래로 나누어 분석했다. 우선 성능경이 신문 속 보도사진을 발췌하여 기호와 제목, 캡션 등으로 사진의 원래 정보를 교란하고, 이를 통해 보도사진과 사건을 독해하는 관람객의 주체적 읽기를 유도했음을 밝혀보았다. 또한 미술에서 일상성을 탐구한 경향과 사진 매체가 부상하던 상황을 배경으로, 성능경이 자녀들의 사진을 모아 설치한 작업에서 작가의 사적 내러티브가 확장되었음을 분석했다. 아울러 성능경이 일상의 사진을 작업에 사용하는 과정에서 잘못 촬영되거나 인화된 사진들이, 성능경의 퍼포먼스 작업을 지칭하는 표현인 ‘망친 예술’로 나아가는 과정을 탐구했다. 이와 같은 분석을 통해 본 논문에서는 개념사진에서부터 탈장르적 사진 설치와 행위까지, 성능경이 작업에서 사진의 사용 범위를 확장했음을 밝힐 수 있었다. 아울러 사진을 탐구한 성능경의 작업 과정이 한국 현대미술의 주요한 변화와 함께 전개되었음을 살펴보았다. 더 나아가 사진, 설치, 행위가 복합적으로 나타나는 성능경의 작업을 사진의 사용이라는 하나의 축으로 일관되게 조명했다는 데에서 본 논문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This study examines the context and characteristics of Sung Neung Kyung's (1944-) use of photography, focusing on his works from the 1980s to the 1990s. Sung has been an avant-garde artist since the 1970s, crossing the boundaries between life and art through objects, photographs, installations, and performances using everyday materials. After the introduction of Conceptual Art in Korea in the 1970s, Sung chose photography as a tool to convey his concepts and information, exploring its various applications. Throughout the 1980s and 1990s, he appropriated press photos from newspapers that captured social realities, as well as general photographs that recorded his daily life, in his artworks. Thus, photography became a crucial tool and material in Sung's work. However, previous research has not sufficiently shed light on the context in which Sung and other Korean artists adopted photography, and his activities and works were often described in relation to the groups he participated in or centered around performance art.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Sung's work in the context of his use of photography, focusing on his continuous engagement with photographic works and the expansion of its application in conjunction with other media. Sung began his artistic career in 1973 when he joined the Space & Time Group, also called ‘ST.’ At that time, Korean society was pervaded with an atmosphere of mutual surveillance formed by the government, which controlled the press. In this rigid social atmosphere, the youth culture arose as a passive resistance to the authorities. In the art scene, experimental avant-garde art revolved around young artists who explored various materials such as photography, three-dimensional works, objects, happenings, and events that transcend the traditional boundary of painting and sculpture. Among these experimental art groups, the ST investigated foreign art and explored Conceptual Art through photography, materials, environment, and performance. Through this process, Sung focused on the function of photography as a tool to deliver, the artist's concepts and record performances. He created photographs where the object of the photograph, the photograph itself, and the photographer's verbal expression are presented tautologically. During the same period, artists made use of photographs from newspapers and magazines in their works, documented the working process through photography, and incorporated photography to capture the reality and and criticize the society. Based on this context, this study claims that Sung appropriated photography in his works in the 1980s and 1990s from his accumulated experiences since the 1970s. The analysis is divided into three parts. First, it reveals how Sung excerpted press photos from newspapers and disrupted their original information with signs, titles, and captions, which encouraged viewers to interpret the press photos and articles in a self-directed manner. Second, against the backdrop of the descent to the everyday in art and the rise of the photographic medium, it analyzes how Sung's installation works, which compiled photographs of his children, expanded his personal narrative. Third, it explores how the process of using daily photographs in his works, including mistakenly taken or printed photos, evolved into what Sung referred to as “botched art,” the artist’s own term referring to his performance works. Through this analysis, the study demonstrates that Sung gradually expanded the scope of photography in his works, from conceptual photography to trans-genre photographic installations and performances. It also examines how Sung's investigation of photography developed alongside significant changes in Korean contemporary art.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its consistent focus on Sung's works through the lens of his use of photography, encompassing his varied artistic practice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Ⅱ. 성능경의 사진 작업 형성의 배경 7 A. 1960-1970년대 한국 사회와 미술계의 상황 7 B. ST조형미술학회의 활동과 개념미술의 발전 16 C. 1970-1980년대 미술에서의 사진과 성능경의 초기 개념사진 28 Ⅲ. 성능경의 1980-1990년대 작업에 나타난 사진 사용의 양상 39 A. 보도사진을 활용한 사회적 사건의 재편 40 B. 가족사진을 이용한 사적 내러티브의 확장 50 C. 망친 사진을 통한 다원매체 탐구 59 Ⅳ. 결론 68 참고문헌 71 도판 목록 81 도판 86 ABSTRACT 10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280059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성능경, 개념미술, 사진, 사진 설치, 퍼포먼스-
dc.subject.ddc700-
dc.title성능경 작업에서 사진 사용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개념사진에서 탈장르적 사진 설치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Use of Photography in Sung Neung Kyung's Works: From Conceptual Photography to Trans-Genre Photographic Installations-
dc.creator.othernameEo, Younji-
dc.format.pageiii, 10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미술사학과-
dc.date.awarded2024.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