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2 Download: 0

1인가구의 사회자본과 건강관련 삶의 질 관계에서 미충족 의료 조절효과 검증

Title
1인가구의 사회자본과 건강관련 삶의 질 관계에서 미충족 의료 조절효과 검증
Other Titles
Exploring the Moderation effect of unmet healthcare need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apital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Single-person Households
Authors
전하은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Keywords
1인가구, 사회적 배제, 건강 배제, 사회자본, 건강관련 삶의 질, 미충족 의료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양옥경
Abstract
전 세계적으로 평균 가구원수가 점차 줄어들고 1인가구의 비중이 가장 높아짐에 따라 사회적 고립과 단절로 인한 사회적 배제 문제가 주목받고 있다. 특히 코로나19 팬데믹을 지나면서 의료적 필요 측면에서 건강 배제와 의료 접근성에 대한 연구가 시행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 성인 1인가구의 사회자본이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과 미충족 의료의 조절효과를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기존의 건강 배제 관련 연구들이 노인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던 한계를 극복하고자 연령층을 구분하여 세대별 특징을 고찰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1인가구의 복합적인 사회자본과 건강 배제 문제 간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확인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질병관리청에서 전국의 만 19세 이상 성인을 대상으로 조사한 ‘2019년 지역사회건강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1인가구로 19~39세는 청년층, 40~64세는 중장년층, 65세 이상은 노년층으로 세대를 구분하여 정의하였다.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과 건강관련 특성, 주요 변수의 실태를 살펴보기 위해 빈도분석 및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통제변수 및 주요변수 간 다중공선성 문제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최종적으로 주요 변수들 간 인과관계를 검증하기 위해 복합표본 일반선형모형(CSGLM)을 실시하였고, Process Macro를 실시하여 1인가구 전체와 세대별 조절효과를 각각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인가구의 사회자본은 건강관련 삶의 질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1인가구의 사회자본과 건강관련 삶의 질의 관계에서 미충족 의료의 조절효과가 검증되었다. 즉 미충족 의료 경험은 사회자본과 건강관련 삶의 질 간의 관계에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1인가구 세대별로 미충족 의료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중장년층과 노년층에서 미충족 의료의 부(-)적 영향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건강 배제 측면에서 1인가구의 미충족 의료를 다루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사회자본이 건강관련 삶의 질에 가져오는 긍정적 효과는 미충족 의료를 경험함으로써 저하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에 따라 의료적 필요 측면에서 사회복지 이론적, 정책적, 실천적 방안을 제시하였고, 연구 결과는 향후 1인가구의 건강권을 강화하는 데 유용한 이론적, 제도적 기초자료로 활용되는 데 의의가 있다.;With the decrease in the average number of household members and the increase in single-person households worldwide, issues of social exclusion due to social isolation and disconnection have been noted. In particular, in the wake of the Covid-19 pandemic, research has been conducted focusing on exclusion from the healthcare system and access to medical treatment from the perspective of medical necessity. This study will explore the impact of social capital on the health-related quality of Korean adult single-person households' life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unmet healthcare needs. Specifically, it examines generational characteristics categorized by age groups to address the limitations of prior research on social exclusion in healthcare, which primarily focused on the elderly. This examination will empirically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ocial capital of single-person households and social exclusion issues in healthcare. For this verification, data from the 2019 Community Health Survey conducted by the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KDCA), which included adults over 19 years old, was utilized. The study targets were single-person households, categorized by age group: 19-39 years as young adults, 40-64 years as middle-aged adults, and 65 years and older as older adults. To examin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health-related traits of the study subjects, as well as the status of key variables, frequency analysis and descriptive statistics were conducted.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check for multicollinearity issues between control variables and key variables. Finally, to verify the causal relationships among key variables, a Complex Samples General Linear Model (CSGLM) was employed, and Process Macro was used to verify the moderation effects for the entire single-person household sample and for each age group.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social capital of single-person households has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Second, the moderating effect of unmet medical need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apital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single-person households was verified. In other words, the experience of unmet medical needs was found to have a negative (-)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apital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Third, the moderating effect of unmet medical needs was verified by age group within single-person households, and it was found to have a negative (-) effect in the middle-aged and older adult group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addressing unmet medical needs in single-person households is crucial from the perspective of social exclusion in healthcare, and that the positive effect of social capital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can be diminished by the experience of unmet healthcare needs. Accordingly, theoretical, policy, and practical measures in social welfare were suggested from the perspective of medical necessity. The study results hold significance as foundational theoretical and institutional data for enhancing the health rights of single-person households in the futur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