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양수진-
dc.contributor.author임지영-
dc.creator임지영-
dc.date.accessioned2024-08-19T16:31:30Z-
dc.date.available2024-08-19T16:31:30Z-
dc.date.issued2024-
dc.identifier.otherOAK-000000232872-
dc.identifier.urihttps://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232872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68806-
dc.description.abstract스마트미디어를 사용하는 연령이 점차 낮아지면서 지나친 미디어 사용의 부작용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아졌다. 연령이 어릴수록 스마트미디어 노출의 잠재적인 위험에 스스로 대처할 능력이 없으므로, 자녀의 스마트미디어 사용을 중재하는 어머니의 역할이 강조된다. 스마트미디어는 주로 자녀의 정서를 조절하거나 행동을 교정하기 위한 목적으로 활용되는데, 자녀가 강렬한 정서적 반응을 보일 때 이를 견디지 못한 어머니는 중재를 포기하고 자녀의 스마트미디어 사용을 허용한다. 그로 인해 유아는 적응적인 정서조절 전략을 학습할 기회를 잃고, 스마트미디어에 과도하게 노출되는 악순환이 발생한다. 이에 유아 자녀의 건강한 스마트미디어 사용 습관을 지도하는 데 있어 어머니의 양육 태도와 유아 자녀의 정서조절 능력의 역할을 조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유아의 문제적 스마트미디어 사용에 대한 효과적인 예방 및 개입안을 마련하는 데 기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유아의 문제적 스마트미디어 사용을 예방하는 데 있어 현재 중심적이며 수용적인 양육 태도인 모 마음챙김 양육에 주목하였으며, 자녀의 정서조절 능력이 두 변인 간의 관계에서 매개변인으로서 작용하는지 탐색하고자 하였다. 또한 이러한 관계가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수준에 따라 달라지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3~5세 유아 자녀를 기르는 전국의 어머니 390명(M=35.7세, SD: 4.26)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자료 분석에는 SPSS 25.0 및 SPSS PROCESS macro 4.1를 사용하였다. 먼저 주요 변인들의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고, 주요 변인들 간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음으로 모 마음챙김 양육과 유아 문제적 스마트미디어 사용의 관계를 유아 정서조절 능력이 매개하는지 알아보았고 이러한 관계가 모 양육효능감의 수준에 따라 달라지는지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주요 변인들의 차이검정 결과, 자녀의 연령에 따라 유아 문제적 스마트미디어 사용 수준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3세 집단보다 4세 이상 집단에서 유아 문제적 스마트미디어 사용 수준이 더 높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자녀의 연령을 통제변인으로 설정하였다. 주요 변인 간 상관분석 결과, 모 마음챙김 양육은 유아 문제적 스마트미디어 사용을 부적으로, 유아 정서조절 능력, 모 양육효능감과는 정적으로 유의하였으며, 마음챙김 양육과 양육효능감은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모 마음챙김 양육과 유아 문제적 스마트미디어 사용의 관계에서 유아 정서조절 능력의 매개효과가 유의하였다. 즉, 어머니가 양육 상황에서 마음챙김적 태도를 지니는 것은 유아의 문제적 스마트미디어 사용을 직접적으로 경감시켰으며, 이는 높아진 정서조절 능력을 통해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모 마음챙김 양육, 유아 정서조절, 유아 문제적 스마트미디어 사용의 관계를 모 양육효능감이 조절하였다. 즉, 어머니가 자신의 양육 역량에 대하여 유능감을 느낄수록 모 마음챙김 양육이 유아 정서조절 능력 수준을 높이는 효과가 증가하였다. 이는 양육에 대해 유능감을 느끼는 어머니가 높은 수준의 마음챙김 양육 태도를 지녔을 때 유아의 정서조절 능력을 증진시켜 문제적 스마트미디어 사용 습관이 줄어들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어머니의 마음챙김 양육과 유아의 문제적 스마트미디어 사용 습관의 관계에 대한 매개변인으로서 유아 정서조절 능력의 역할을 확인하고, 유아의 정서조절을 돕는 것으로 알려진 양육효능감이 유아 정서조절에 미치는 모 마음챙김 양육의 효과를 증진함을 밝혔다. 이를 통해 유아 자녀의 문제적 스마트미디어 사용을 예방하는 데 있어 마음챙김 양육과 유아 정서조절 능력의 역할을 조명하였으며, 보호 요인으로서 양육효능감을 증진할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유아 자녀의 올바른 스마트미디어 사용 습관을 형성하는 데 목적을 둔 부모 교육 및 개입 프로그램 개발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This study examines the impact of mindful parenting on problematic use of smart media in young children,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toddler's emotional regulation abilities, moderated by maternal parenting self-efficacy. As smart media usage becomes increasingly integrated into children's daily lives, concerns about its potential negative impacts on cognitive and emotional development are growing. Given the susceptibility of young children to environmental influences, it is crucial to investigate the factors that can mitigate these risks. This study emphasizes that excessive exposure to smart media can hinder young children from developing effective emotion-regulation skills, creating a vicious cycle where mothers increasingly rely on smart media to manage their children's emotions. As primary caregivers, mothers play a vital role in regulating smart media exposure and guiding their children towards positive usage. To break the dysfunctional cycle of problematic smart media usage, this study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mindful parenting, which involves being present and non-judgmental in interactions with children. Mindful parenting can help children develop effective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thereby reducing the tendency of mothers to rely on smart media for managing their children’s emotions. An online self-report survey was conducted with 390 mothers of children aged 3 to 5 years.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5.0 and SPSS PROCESS macro 4.1.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 analyses were conducted to explore the relationships among the variables. The mediation effect of toddler emotion regulation between maternal mindful parenting and toddler problematic smart media usewas tested, along with the moderating effects of maternal self-efficac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problematic smart media use according to the child's age, with younger children echibitibg higher levels of problematic use. As a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major variables, Mindful parenting negatively predicted problematic smart media use and positively influenced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and maternal parenting self-efficacy. Second,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abilities significant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mindful parenting and problematic smart media use. Third, The positive impact of mindful parenting on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was strengthened by higher levels of maternal parenting self-efficacy. These findings emphasize the importance of mindful parenting and emotional regulation in mitigating problematic smart media use among young children. Additionally, enhancing maternal parenting self-efficacy is crucial to support effective parenting practices. This research can inform the development of parent education programs and interventions aimed at fostering healthy media usage habits in this age group.-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4 Ⅱ. 이론적 배경 5 A. 유아 문제적 스마트미디어 사용 5 B. 모 마음챙김 양육 8 1. 마음챙김 양육 8 2. 모 마음챙김양육과 유아 문제적 스마트 미디어 사용 11 C. 유아 정서조절 능력 12 1. 유아 정서조절 능력 12 2. 모 마음챙김 양육과 유아 정서조절 능력 14 3. 유아 정서조절 능력과 유아 문제적 스마트미디어 사용 15 D. 모 양육효능감 17 1. 양육효능감 17 2. 모 마음챙김 양육과 유아 문제적 스마트미디어 사용의 관계에서 모 양육효능감 18 Ⅲ. 연구 방법 19 A. 연구대상 19 B. 측정도구 221. 문제적 스마트미디어 사용2. 마음챙김 양육3. 유아 정서조절 능력4. 모 양육효능감 C. 자료 분석 24 Ⅳ. 연구 결과 25 A. 기술통계 및 차이검정 25 1. 주요 변인들의 기술통계 25 2.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주요 변인들의 차이검정 25 B. 주요 변인들의 상관분석 26 C. 모 마음챙김 양육과 유아 문제적 스마트미디어 사용의 관계에서 유아 정서조절 능력의 매개효과 27 D. 유아 정서조절 능력과 유아 문제적스마트 미디어 사용의 관계에서 모 양육효능감의 조절된 매개효과 28 Ⅴ. 결론 및 제언 33 A. 요약 및 논의 33 1.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주요 변인들의 차이검정 33 2. 주요 변인 간 상관분석 34 3. 마음챙김 양육, 유아 정서조절 능력, 문제적 스마트미디어 사용, 모 양육효능감의 관계 35 B. 연구의 의의 및 제언 36 참고문헌 40 ABSTRACT 39 <부록> 설문지 5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7116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문제적 스마트미디어 사용, 마음챙김 양육, 유아 정서조절 능력, 양육효능감-
dc.subject.ddc100-
dc.title어머니의 마음챙김 양육과 유아의 문제적 스마트미디어 사용 간의 관계-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어머니의 양육효능감에 의해 조절된 유아 정서 조절 능력의 매개효과-
dc.title.translatedThe Relationship Among Maternal Mindful Parenting, Toddler Emotion Regulation, and Problematic Use of Smart media: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Maternal Parenting Self-efficacy-
dc.creator.othernameLim, Jiyoung-
dc.format.pagevi, 5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심리학과-
dc.date.awarded2024.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