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양수진-
dc.contributor.author박소영-
dc.creator박소영-
dc.date.accessioned2024-08-19T16:31:29Z-
dc.date.available2024-08-19T16:31:29Z-
dc.date.issued2024-
dc.identifier.otherOAK-000000232019-
dc.identifier.urihttps://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232019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68801-
dc.description.abstract상실은 가치 있게 여기는 대상에 가까이할 수 없게 되는 실제적이거나 잠재적인 상황으로(Carlson, 1978), 생에서 반드시 한 번 이상 경험하게 되는 보편적인 경험이다. 각각의 개인은 서로 다른 상실들을 경험하며, 대학생 또한 다양한 유형의 상실을 겪는다. 사람들은 상실로 인해 정서적, 인지적, 행동적, 생리학적 차원의 애도 반응을 경험하고(Howarth, 2011) 이를 다양한 수준으로 외부로 표현한다는 점에 주목하여, 본 연구에서는 상실에 대한 애도의 개인차를 영향요인과 함께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외상 후 성장 모형(Tedeschi & Calhoun, 2004)에 기반하여, 상실 경험의 처리 과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침습적 반추, 의도적 반추, 사회적 지지 및 기질(정서적 반응성 및 감내력)에 따라 다양한 프로파일 양상으로 분류될 것이며 이에 따라 애도 반응에서 차이가 나타날 것이라고 예상하였다. 더불어, 성별, 상실 경과 기간, 상실 유형이 집단의 분류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위해 대학교에 재학 중인 19세 이상의 성인 남녀 481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잠재 프로파일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BCH 가중치를 고려하는 수동 3단계 접근법을 사용하여 애도 하위요인의 차이를 검증하고 영향요인의 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관분석 결과, 사회적 지지와 정서적 반응성 및 감내력 외에 주요 변인 간에는 서로 유의한 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침습적 반추, 의도적 반추, 사회적 지지, 정서적 반응성 및 감내력 수준에 따른 잠재 프로파일 유형을 살펴본 결과, ‘저 반추-감내형’, ‘고 반추-반응형’, ‘저 지지형’의 3가지 유형으로 나타났다. ‘저 반추-감내형’은 침습적 반추와 의도적 반추, 정서적 반응성 수준이 모두 낮은 반면, 감내력과 사회적 지지는 매우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고 반추-반응형’은 침습적 반추와 의도적 반추, 정서적 반응성이 모두 높은 수준인 반면, 감내력은 낮고 사회적 지지는 평균 수준으로 나타나 ‘저 반추-감내형’과 대조되는 양상을 보였다. ‘저 지지형’은 침습적 반추, 의도적 반추, 정서적 반응성, 감내력이 모두 평균 수준이거나 평균에 가까운 것과 달리 사회적 지지 수준은 유독 낮게 나타났다. 셋째, 잠재 프로파일 유형에 따라 애도의 하위요인인 상실의 충격과 혼란, 상실의 고통, 삶의 회복과 성장의 수준을 살펴본 결과, 세 하위요인 모두에서 잠재 프로파일 간 차이가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구체적으로, 상실의 충격과 혼란, 상실의 고통은 ‘고 반추-반응형’, ‘저 지지형’, ‘저 반추-감내형’ 순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삶의 회복과 성장은 ‘저 지지형’과 비교하여 ‘저 반추-감내형’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성별, 상실 경과 기간 및 상실 유형이 잠재 프로파일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본 결과, 모든 영향요인이 잠재 프로파일 분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성은 여성과 비교하여‘고 반추-반응형’보다 사회적 지지가 낮은‘저 지지형’에 속할 확률이 높았다. 상실 경과 기간이 길수록 ‘고 반추-반응형’보다 ‘저 반추-감내형’ 또는 ‘저 지지형’에 속할 확률이 높았다. 상실 유형과 관련해서, 죽음 상실과 비교하여 물리적·심리적 상실을 경험했을 경우, ‘저 반추-감내형’보다 ‘고 반추-반응형’이나 ‘저 지지형’에 속할 확률이 높았다. 죽음 상실과 관계 상실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연구 결과, 대학생의 상실 경험에 대한 반추, 사회적 지지, 기질에 따른 프로파일 유형은 동질적이지 않으며, 그에 따라 애도 수준 및 양상에 차이가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성별, 상실 경과 기간, 상실 유형의 영향을 확인하여, 확장된 상실의 맥락에서 애도 반응의 개인차에 대한 이해에 기여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상실 연구에서 쉽게 간과되었던 물리적·심리적 상실이 대학생 연령대에는 더 보편적일 수 있으며, 죽음 상실보다 더 크게 작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더불어, 본 연구의 결과는 애도 과정에서의 슬픔 등의 부정적 정서를 완화하고 적응과 성장을 높이는 과정에서 기존에 고려되었던 반추와 사회적 지지뿐만 아니라 기질을 고려하는 것의 필요성을 시사한다.;Loss refers to an actual or potential situation where one is unable to approach valued objects(Carlson, 1978), and it is a universal experience that individuals encounter at least once in their lives. Each individual experiences different losses, and university students also experience various types of losses. After experiencing loss, individuals undergo various emotional, cognitive, behavioral, and physiological reaction as the grief(Howarth, 2011), and express them externally at various levels. Therefore, the current study aimed to explore individual differences in grief for loss along with covariates. Based on the Post-traumatic Growth Model, it was expected that loss experiences would be classified into various profile according to intrusive rumination, deliberate rumination, social support, and temperament, influencing differences in grief. Additionally, the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gender, time since loss, and type of loss on group classification. For this purpose, latent profile analysis(LPA) was conducted on Self-reported data of 481 university students and a manual three-step approach considering BCH weights was used to verify differences in grief subfactors and evaluate the significance of covariat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found among the main variables, exclu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emotional reactivity and endurance. Second, The analysis of latent profiles based on levels of intrusive rumination, deliberate rumination, social support, emotional reactivity, and endurance revealed three types: “low rumination-endurance group”, "high rumination-reactivity group” and “low support group”. “Low rumination-endurance group” showed low levels of intrusive rumination, deliberate rumination, and emotional reactivity, while endurance and social support were high. In contrast, “high rumination-reactivity group” showed high levels of intrusive rumination, deliberate rumination, and emotional reactivity, with low endurance and average social support. “Low support group” showed average levels of deliberate rumination, emotional reactivity, and endurance, with slightly higher levels of intrusive rumination, but lower levels of social support. Third, an analysis of the levels of the subfactors of grief, shock and confusion caused by the loss, pain of loss, and recovery and growth of life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latent profiles. Specifically, shock and confusion caused by the loss, pain of loss were highest in "high rumination-reactivity group”, followed by “low support group” and then “low rumination-endurance group”. Recovery and growth of life were lower in “low support group” compared to “low rumination-endurance group”. Lastly, the effects of gender, time since loss, and type of loss on latent profiles were examined. It was found that all covariates had an impact on the classification of latent profiles. Males were more likely than females to belong to “low support group” than “high rumination-reactivity group”. As the time since loss increased, the likelihood of belonging to “low rumination-endurance group” or “low support group”increased compared to “high rumination-reactivity group”. Regarding the type of loss, experiencing physical or psychological loss rather than death loss increased the likelihood of belonging to “high rumination-reactivity group” or “low support group”compared to “low rumination-endurance group”, 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 found between death related loss and relationship loss.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profiles of rumination, social support, and temperament among university students with loss were heterogeneous, leading to differences in the level and patterns of grief. This study examined the influence of various factors such as gender, time since loss, and type of loss, contributing to the understanding of individual differences in grief within an expanded context of loss. Additionally, it was confirmed that physical or psychological losses are more prevalent and may have a greater impact than death losses among university-aged individuals. Furthermore, it suggests the importance of considering temperament in addition to rumination and social support in the grief proces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6 Ⅱ. 이론적 배경 7 A. 상실 7 B. 애도 9 C. 반추 10 1. 반추 10 2. 반추, 애도 간 관계 11 D. 사회적 지지 12 1. 사회적 지지 12 2. 반추, 사회적 지지 간 관계 13 3. 반추, 사회적 지지 및 애도 간 관계 14 E. 기질 15 1. 기질 15 2. 반추, 사회적 지지 및 기질 간 관계 16 3. 반추, 사회적 지지, 기질 및 애도 간 관계 17 F. 성별 및 상실 경험 특성 19 1. 성별 19 2. 상실 경과 기간 19 3. 상실 유형 20 Ⅲ. 연구 방법 21 A. 연구대상 21 B. 측정도구 26 1. 상실 26 2. 애도 26 3. 반추 27 4. 사회적 지지 28 5. 기질 29 C. 자료 분석 30 Ⅳ. 연구 결과 32 A. 주요 변인들의 기술통계 및 상관분석 32 1. 주요 변인들의 기술통계 32 2. 주요 변인 간 상관분석 33 B. 잠재 프로파일 분석 35 1. 잠재 프로파일 분석 35 2. 프로파일 양상에 따른 잠재 집단 도출 및 명명 37 3. 잠재 프로파일 유형에 따른 애도의 차이 39 4. 잠재 프로파일 유형에 대한 성별, 상실 경과 기간 및 상실 유형의 영향 40 Ⅴ. 결론 및 제언 41 A. 요약 및 논의 41 1. 침습적 반추, 의도적 반추, 사회적 지지, 정서적 반응성 및 감내력에 따른 잠재 프로파일 유형 41 2. 잠재 프로파일 유형에 따른 애도의 차이 43 3. 잠재 프로파일 유형에 대한 성별, 상실 경과 기간 및 상실 유형의 영향 45 B. 연구의 의의 및 제언 46 참고문헌 50 부록1. 상실 경험 체크리스트 63 부록2. 성인용 애도 척도 66 부록3. 한국판 사건 관련 반추 척도 69 부록4. 다차원적 지각된 사회적 지지 척도 71 부록5. 한국판 행동 특성 기질 검사 수정판 73 ABSTRACT 7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3913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상실, 애도, 반추, 사회적 지지, 기질-
dc.subject.ddc100-
dc.title상실 경험 대학생의 반추, 사회적 지지 및 기질에 따른 잠재 프로파일 분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영향요인 탐색 및 애도 차이 검증-
dc.title.translatedLatent Profile Analysis of Rumination, Social Support, and Temperament in University Students with Loss Experiences: Exploring Covariate and Verifying Differences in Grief-
dc.creator.othernamePark, Soyeong-
dc.format.pagevii, 7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심리학과-
dc.date.awarded2024.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