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2 Download: 0

자기애의 3요인 모델을 활용한 내현적 자기애와 대인신뢰의 관계

Title
자기애의 3요인 모델을 활용한 내현적 자기애와 대인신뢰의 관계
Other Titles
Why Covert Narcissist Distrust? : the mediating role of social comparison and authenticity
Authors
김하은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Keywords
자기애 3요인 모델, 내현적 자기애, 사회비교경향성, 진정성, 대인신뢰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설경옥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plore ways to enhance interpersonal trust among individuals exhibiting narcissistic traits by investigating the process through which narcissistic tendencies lead to low interpersonal trust. Based on object relations theory, individuals with narcissistic tendencies fails to integrate “good” and “bad” states, resulting in a split mechanism that impairs self-esteem regulation. The hypothesis posits that the driven by the split state of self and object relation, it leads to high frequency of social comparison and low authenticity, ultimately resulting in low interpersonal trust. To address the limitations of dual model that divides narcissism into covert and overt narcissism, an alternative trifurcated model was employed, explaining narcissism through three personality factors.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of covert narcissism,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and interpersonal trust were examined. A self-reported survey was conducted with 353 adults aged 19 and over residing in South Korea.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SPSS 21.0, and verification of measurement model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conducted using Mplus 8.0. The significance of indirect effect was assessed using percentile bootstrap with a 95% confidence interval. The main findings of the research model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identified the protective effect of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While covert narcissism and trust displayed a negative path,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mediation. This finding contradicts previous research linking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to negative psychological states, suggesting that when narcissistic tendencies are controlled,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may have an adaptive aspect. Second, the study confirmed the mediating role of authenticity. Authenticity exhibited a significant negative mediation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trust. This finding indicates that individuals with low authenticity tend to have low trust on others, suggesting that acknowledging their low authenticity influences the formation of cynical beliefs about the world by projecting their low authenticity onto others. Third, the study identified sequential mediation effect of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and authenticity.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and authenticity exhibited significant and positive sequential mediation in the path from covert narcissism to trust. Controlling for neuroticism and antatonism,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positively predicted authenticity, which subsequently positively predicted interpersonal trust. Despite the negative mediating effect of authenticity, the positive mediating effect of social comparison prevailed, highlighting the strong protective role of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본 연구는 자기애 성향이 낮은 대인신뢰로 이어지는 과정을 분석함으로써 자기애 성향을 보이는 사람들의 대인신뢰를 높일 방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관계 이론을 바탕으로 ‘좋고’, ‘나쁜’ 상태를 통합하지 못함으로 인해 스스로 자존감을 조절하지 못하는 분열적 기제를 바탕으로 가설을 설정하였다. 자기애 성향의 분열에 따른 자기 및 대상을 향한 이상화와 평가절하는 높은 사회비교경향성 및 낮은 진정성을 거쳐 낮은 대인신뢰로 이어질 것이라는 가설을 설정하였다. 또한 자기애를 내현적 자기애와 외현적 자기애로 구분하는 2요인 모델이 지니는 통합적인 해석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자기애를 성격적인 3요인을 통해 설명하는 자기애의 3요인 모델을 바탕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따라서 자기애의 3요인 모델 중 신경성과 적대감을 측정변수로 사용하여 내현적 자기애를 구성하였으며, 내현적 자기애와 사회비교경향성, 대인신뢰의 순차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에 거주하는 만 19세 이상의 성인 353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을 진행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SPSS 21.0을 사용하여 기술통계분석 및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Mplus 8.0을 활용하여 측정모형의 적합도와 구조모형의 경로계수 및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이때 간접효과는 부스트래핑 방식을 이용하여 95% 신뢰구간에서의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연구모형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비교경향성의 보호효과를 확인하였다. 내현적 자기애 성향과 대인신뢰의 관계는 부적이었던 반면, 사회비교경향성은 이를 정적으로 유의하게 매개하였다. 이는 사회비교경향성이 부정적인 심리적 상태로 연결된다는 선행연구들과 불일치하는 결과로, 내현적 자기애의 요인이 통제된 사회비교경향성은 오히려 자기애성 성격의 보호요인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둘째, 진정성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내현적 자기애와 대인신뢰의 관계를 진정성이 부적으로 유의하게 매개하였다. 이는 본인의 낮은 진정성이 타인 및 세상에 대한 낮은 신뢰를 예측한다. 자기애 성향을 지닌 사람들의 낮은 진정성이 세상에 대한 불신을 형성하는 과정에 영향을 미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사회비교경향성과 진정성이 내현적 자기애와 대인 신뢰의 경로에 정적으로 유의한 순차매개효과를 보였다. 내현적 자기애의 신경성 및 적대감 요인이 통제된 상태에서 사회비교경향성은 진정성과 정적으로 유의한 경로를 보였으며, 진정성은 대인 신뢰와 정적으로 유의한 경로를 보였다. 정적인 순차매개효과는 진정성의 부적 매개효과에도 불구하고 사회비교경향성의 정적 매개효과가 더 강함을 의미하는 것으로 사회비교경향성의 강한 보호효과를 뒷받침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