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31 Download: 0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와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

Title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와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
Other Titles
The Relationship Between Job-Seeking Stress and SNS Addiction Proneness in College Students:The Mediating Effect of Avoidant Coping Moderated by Goal Pursuit and Impulse Control of Self-regulation
Authors
백상희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Keywords
취업스트레스, SNS 중독경향성, 자기조절, 회피중심대처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양수진
Abstract
본 연구는 대학생들이 진로를 고민하고 취업을 준비하는 환경에서 적응해야 하는 시기를 겪으며 경험하는 높은 수준의 취업스트레스와 이에 회피하는 수단으로 대학생들에게 빈번하게 나타나는 SNS 중독문제에 주목하였다. 더불어, 취업스트레스에 적절히 대처하며 SNS 중독경향성을 완화하고 재발을 예방하는데 자기조절의 목표추구와 충동통제 하위요인이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변별적으로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의 취업스트레스가 SNS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과 이러한 관계에서 자기조절의 목표추구와 충동통제로 조절된 회피중심 대처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알아보고자 졸업을 앞두고 진로 결정 및 취업 준비를 시작하는 시기인 3학년 이상의 대학생 3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 중 275명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에는 SPSS 25.0 및 SPSS PROCESS macro 4.2를 활용하였다. 먼저 주요 변인들의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고, 주요 변인들 간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음으로 취업스트레스와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를 회피중심 대처가 매개하는지 알아보았고 이러한 관계가 자기조절의 목표추구와 충동통제의 수준에 따라 달라지는지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변인 간 상관관계 분석 결과, 모든 주요한 변인 간에 유의한 상관이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취업스트레스는 회피중심 대처 및 SNS 중독경향성과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자기조절의 목표추구와 충동통제와는 유의한 부적 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취업스트레스는 회피중심 대처를 매개하여 SNS 중독경향성에 영향을 미쳤다. 즉, 취업스트레스는 직접적으로 SNS중독경향성을 증가시키지만 회피중심 대처를 통해 간접적으로도 SNS 중독경향성을 증가시켰다. 셋째, 취업스트레스, 회피중심 대처,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에서 목표추구와 충동통제의 조절된 조절된 매개효과가 유의하였다. 취업스트레스가 회피중심 대처를 증가시키는 효과는 목표추구의 수준이 높을수록 감소하였다. 그리고 회피중심 대처가 SNS 중독경향성을 증가시키는 효과는 충동통제 수준이 높을수록 감소하였는데, 충동통제 수준이 높은 경우 회피중심 대처는 SNS 중독경향성으로 이어지지 않았다. 또한 취업스트레스가 회피중심 대처를 매개로 하여 SNS 중독경향성으로 이어질 때 목표추구의 수준에 따른 조절된 매개효과는 충동통제 수준이 중간이거나 낮은 경우에만 유의하였다. 충동통제가 높은 수준인 경우 목표추구의 수준과 상관없이 취업스트레스가 회피중심 대처를 통해 SNS 중독경향성을 예측하는 간접효과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대학생의 SNS 중독경향성에 있어 부정적인 심리적 요인인 스트레스와 회피중심 대처뿐만 아니라 자기조절과 같이 목표를 중심으로 하여 생각, 감정을 조절하고, 설정된 목표를 향해 꾸준하게 실행하는 능력도 같이 고려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가 SNS 중독경향성에 다다르는 기제에 대한 이해를 밝히고, 보호 요인으로서 자기조절의 목표추구와 충동통제 각각의 요인들의 차별적인 역할을 밝혔다. 따라서 스트레스를 보다 건강하게 관리하는 방법과 SNS 중독경향성의 개입 및 예방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공하였다는 의의를 지닌다.;This study focuses on the job-seeking stress experienced by university students as they navigate career decisions and prepare for employment, and the frequent issue of SNS addiction that arises as a coping mechanism. In this context, the research aims to explore how the sub-factors of self-regulation, namely goal pursuit and impulse control, can effectively help students manage job-seeking stress, mitigate SNS addiction proneness, and prevent relapse. This study examines the impact of job-seeking stress on SNS addiction proneness among college students,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avoidant coping strategies and the moderating roles of goal pursuit and impulse control of self-regulation.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with 300 university students in their third year or above, who are at the stage of making career decisions and preparing for employment. Out of the collected data, responses from 275 participants were used for analysis.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25.0 and SPSS PROCESS macro 4.2. Initially, descriptive statistics of the key variables were analyzed, followed by correlation analyses to explor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main variables. The study further examined whether avoidant coping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job-seeking stress and SNS addiction proneness, and how this relationship varies depending on the levels of goal pursuit and impulse control.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showed that job-seeking stress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avoidant coping and SNS addiction proneness, an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goal pursuit and impulse control. Second, Job-seeking stress influenced SNS addiction proneness through avoidant coping, both directly and indirectly. Third, the moderated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goal pursuit and impulse control was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seeking stress, avoidant coping, and SNS addiction proneness. Specifically, the effect of job-seeking stress on increasing avoidant coping decreased as the level of goal pursuit increased, while the effect of avoidant coping on increasing SNS addiction proneness decreased as the level of impulse control increased. Indirect effect of job-seeking stress on SNS addiction proneness through avoidant coping was significant only when the impulse control level was average or lower, and the indirect effect was weakened as goal pursuit rose. However, when the impulse control level was high, the indirect effect of job-seeking stress on SNS addiction proneness was not significant regardless of the level of goal pursuit. These findings suggest the importance of considering both negative psychological factors and self-regulation abilities, such as goal pursuit and impulse control, in understanding SNS addiction proneness among college students. The study enhances our understanding of the mechanisms linking job-seeking stress to SNS addiction proneness and highlights the distinct roles of self-regulation sub-factors as protective factors, providing insights into healthier stress management and new perspectives for the prevention and intervention of SNS addiction pronenes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