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6 Download: 0

역사 디지털 리터러시 함양을 위한 초등학교 역사 탐구 수업에 대한 실행 연구

Title
역사 디지털 리터러시 함양을 위한 초등학교 역사 탐구 수업에 대한 실행 연구
Other Titles
Action Research on Elementary School Inquiry-based history lessons for Promoting Historical Digital Literacy
Authors
이향주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과교육학과
Keywords
역사 디지털 리터러시, 초등 역사 탐구 수업, 초등 역사 수업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차미희
Abstract
본 연구는 초등학생들이 일상에서 궁금한 역사 질문을 제기하고 역사 디지털 미디어를 활용하여 이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능력에 수업 방안이 필요하다는 목적에서 시작되었다. 따라서 연구자는 역사교육 학계에서 아직 본격적으로 다루어지지 않은 ‘역사 디지털 리터러시’의 개념을 설정하고, ‘역사 디지털 리터러시’를 함양할 수 있는 초등학교 역사 탐구 수업에 대해 실행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자는 그간의 교육학계에서 논의된 ‘디지털 리터러시’와 역사교육 학계에서 다루어진 ‘역사 리터러시’ 개념을 토대로 삼아 역사 디지털 리터러시 개념을 설정하였다. 디지털 리터러시의 개념은 미디어와 기술의 변화에 따라 점차 구성 요소가 세분화되며, 그 개념이 정교화되는 양상을 보인다. 역사 리터러시라는 개념은 최근에 부상한 개념이지만, 그동안 역사교육 학계에서 학문 문식성 차원에서 논의된 ‘역사 읽기’와 ‘역사 쓰기’와 밀접한 연관이 있다. 그리고 이는 역사 디지털 미디어의 내용을 분석하고 평가하는 토대가 된다. 연구자는 그간 이루어진 학계에서의 디지털 리터러시와 역사 리터러시 논의를 토대로 역사 디지털 리터러시의 개념을 설정하였다. 연구자가 정의한 역사 디지털 리터러시의 개념은‘디지털 환경에서 학습자가 궁금한 역사 질문을 해결하기 위해 목적에 맞는 미디어에 효과적으로 접근하고 관련된 미디어를 수집하며, 역사 디지털 미디어를 읽고, 역사의 인식론적․방법적 지식을 활용하여 비판적으로 분석․평가하며, 해결한 문제를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여 다양한 양식의 미디어로 표현하고 소통하는 능력’이며, 이 정의에는 역사 탐구 과정이 포함되어 있다. 그리고 ‘역사 디지털 리터러시’의 하위 요소로 역사 디지털 미디어 접근․수집, 역사 디지털 미디어 읽기, 역사 디지털 미디어 분석․평가, 역사 디지털 미디어 생산, 역사 디지털 미디어와의 소통으로 구분하고, 차시별 수업 목표 작성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세부 하위 요소와 세부 하위 요소 설명을 제시하였다. 연구자는 2023년 서울 A 초등학교에서 연구자가 담임 학급을 맡은 초등학교 6학년 별반 학생 18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그리고 이들을 대상으로 역사 디지털 리터러시를 함양하기 위한 역사 탐구 수업을 두 차례 실행하는 실행 연구를 실시하였다. 역사 디지털 리터러시 함양을 위한 수업 방법으로 탐구 수업을 설정한 이유는 연구자가 설정한 역사 디지털 리터러시 개념에 학습자가 궁금한 역사 질문을 해결하는 역사 탐구의 과정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이다. 연구자가 역사 디지털 리터러시 함양을 위한 탐구 수업을 18차시로 계획하였지만, 18차시 수업을 실행 연구의 취지에 맞게 두 차례 시행하기에는 시수 제약이 컸다. 연구 참여자들이 직접 역사 질문에 대한 해결 과정을 다룬 디지털 미디어를 생산하는 것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1차 실행에서는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역사 디지털 미디어 제작하기 요소는 제외하고 나머지 요소들을 모두 다룰 수 있도록 6차시 수업을 계획하였다. 이러한 맥락에서 1차 실행에서는 6차시 수업을, 2차 실행에서는 18차시 수업을 계획하게 되었다. 연구자가 수업을 실행한 후, 수업 전사본, 면담 자료, 연구 참여자 수행 자료 등을 토대로 연구 참여자의 역사 디지털 리터러시 관련된 수행을 중점적으로 분석하고, 수업에서 개선해야 할 점을 생각하며 반성하는 과정을 거쳤다. 1차, 2차 실행을 통해 도출한 본 연구의 핵심적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들의 역사 디지털 리터러시는 1차, 2차 실행을 통하여 점차 발전하는 양상을 보였다. 특히, 역사 디지털 미디어 접근, 읽기, 분석․평가의 하위 요소에서 1차 실행에 비하여 2차 실행에서 더욱 발전하는 모습을 보였는데, 그중에서도 역사 디지털 미디어 분석․평가 하위 요소 중 출처 확인하기 기능이 비약적으로 진전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게다가 연구 참여자들은 탐구 질문을 해결하기 위하여 하나의 미디어만 참고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미디어와 비교하는 확증 기능도 활발하게 사용하였다. 둘째, 학생들이 역사 디지털 미디어 접근․수집, 읽기, 분석․평가의 하위 요소를 일련의 탐구 과정에서 경험했다고 해서, 학생들이 제기한 역사 질문에 대한 잠정적인 결론을 내린 과정을 미디어로 표현하는 작업을 학생 스스로 하기는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역사 디지털 미디어 생산의 ‘역사 질문을 디지털 미디어 형태의 증거에 기초하여 잠정적인 결론 내리기’ 세부 하위 요소는 역사 디지털 미디어 읽기, 분석․평가와 연계하여 지도해야 할 것이다. 셋째, 역사 디지털 리터러시 함양을 위한 탐구 수업을 설계할 때, 학습자 주도적인 질문을 토대로 삼아야 한다. 연구 참여자들이 탐구 질문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디지털 미디어 플랫폼 속에서 다양한 정보를 전달하는 미디어들을 기꺼이 찾아 읽고, 그 내용을 분석․평가하고, 평가한 결과를 바탕으로 어떤 정보를 믿을지 판단을 내리는 일련의 탐구 과정을 거쳐야 한다. 일반적으로 교사가 제시하는 사료, 텍스트의 개수가 정해져 있는 역사 탐구 수업보다 학생이 스스로 궁금한 역사 질문을 해결하기 위해 디지털 미디어를 활용하는 역사 디지털 리터러시 수업에서는 학생들이 읽어야 하는 자료의 개수가 더욱 많다. 게다가 다른 사람이 제기할 수 있는 반론까지 생각하며 치밀한 논리를 갖춘 탐구 결과물을 만들기 위해서는 탐구 과정을 끝까지 마무리할 동력이 필요한데, 학습자가 제기하는 호기심 어린 질문이 바로 이 동력으로 작용한다. 넷째, 학생들의 디지털 기기 활용, 디지털 미디어 읽기 전략 활용 수준과 역사 디지털 미디어 생산물의 질은 상관성이 높다. 연구자가 강조한 디지털 미디어 읽기 조절 전략을 적극적으로 사용한 연구 참여자의 과제 수준이 높지만, 디지털 미디어 읽기 조절 전략을 사용하지 않은 연구 참여자들은 과제를 시간 안에 끝내지 못하였으며 내용 또한 매우 부실하였다. 이는 디지털 매체를 조작하는 능력이 뛰어난 학생들이 과제의 내용에 집중할 수 있는 시간이 확보되어 과제 결과물의 질이 높다는 기존의 연구 결과와 상응한다. 본 연구에서 도출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연구자는 다음과 같이 제언하였다. 첫째, 역사 디지털 리터러시를 다양한 맥락의 학교에서 그리고 학교급에 따라 확장, 심화, 축소하여 적용하는 연구들이 진행될 필요가 있다. 둘째, 학습자가 스스로 설정하는 역사 탐구 질문을 해결하는 초등학교 역사 탐구 수업에 대한 실제적인 수업 사례 연구들이 축적될 필요가 있다. 셋째, 역사 디지털 미디어의 신뢰도를 평가할 수 있는 기준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인터넷 텍스트는 대부분 저자를 확인할 수 없거나 여러 명의 저자들이 있는 경우가 있다. 또한 디지털 미디어에도 영상, 텍스트, 사진 등 다양한 유형이 있으므로, 디지털 미디어의 유형별로 구분하여 역사 디지털 미디어 읽기 가이드라인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넷째, 역사 디지털 미디어를 읽으면서, 읽은 내용을 비교, 분석하여 내용을 정리할 수 있는 디지털 프로그램을 활용한 도해 조직자 개발이 필요하다. 기존 연구에서 초등학교 역사 수업에서 Thinking maps를 활용한 방안들이 논의된 바 있다. 그러나 아직 학생들이 역사 디지털 미디어를 읽으면서 읽은 내용을 정리할 수 있는 디지털 프로그램을 활용한 도해 조직자는 개발된 바 없다. 다섯째, 디지털 기기를 활용하는 교육을 실행하고자 하는 교사의 심리적 부담을 낮출 수 있도록 각 학교에서는 디지털 기기를 충분히 확보하고, 디지털 기기를 관리하는 인력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가 역사에 대한 궁금증을 해소하기 위해 역사 디지털 미디어를 검색하고, 이를 통해 탐구하고자 하는 초등학생들을 지원하기 위한 수업을 설계하고자 시도하는 교사들에게 미약하지만 작은 보탬이 되길 바라며, 향후 역사교육 학계에서 역사 디지털 미디어를 활용한 탐구 수업에 관한 후속 연구가 활발히 일어나길 기대한다.;This study was initiated with the objective of developing instructional methods that equip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the necessary skills to pose and resolve historical questions in their daily lives using digital media. To this end, the researcher defines the concept of "historical digital literacy," which has not yet been extensively explored in the academic field of history education and conducts action research on elementary school history inquiry lessons that can foster "historical digital literacy." Based on the previously discussed concepts of "digital literacy" in the field of educational studies and "historical literacy" in the realm of history education, the researcher establishes the concept of historical digital literacy. The notion of digital literacy has been increasingly refined and detailed as media and technology evolve. Although the concept of historical literacy is relatively recent, it is closely related to the notions of "historical reading" and "historical writing" discussed in history education, which serve as the foundation for analyzing and evaluating the content of historical digital media. Building on these discussions, the researcher defines historical digital literacy as the ability to effectively access, collect, read, critically analyze, and evaluate historical digital media to resolve historical inquiries in a digital environment, utilizing epistemological and methodological knowledge of history. Furthermore, it includes the ability to express and communicate resolved issues using various digital media formats. This definition encompasses the process of historical inquiry. The researcher categorizes the components of historical digital literacy into accessing and collecting historical digital media, reading historical digital media, analyzing and evaluating historical digital media, producing historical digital media, and communicating with historical digital media. Detailed sub-components and explanations are provided to aid in the formulation of lesson objectives. In 2023, the researcher selected 18 sixth-grade students from Class B at Elementary School A in Seoul, where the researcher served as the homeroom teacher, as participants for this action research. The research involved conducting two sessions of history inquiry lessons aimed at fostering historical digital literacy. The rationale for choosing inquiry-based lessons as the method for fostering historical digital literacy is that the concept includes the process of resolving historical questions posed by the learner. Although the researcher initially planned for 18 lessons to foster historical digital literacy, time constraints made it challenging to conduct two sessions of 18 lessons each as intended for the action research. Due to the significant time required for participants to produce digital media addressing their historical questions, the first session was planned to cover six lessons excluding the digital media production element. Consequently, the first session involved six lessons, while the second session comprised 18 lessons. After conducting the lessons, the researcher analyzed participants' performance in relation to historical digital literacy, focusing on lesson transcripts, interview data, and participant work. This process included reflecting on areas for improvement in the lessons. The core conclusions derived from the first and second ses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Development of Historical Digital Literacy: Elementary students' historical digital literacy showed gradual improvement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sessions. Notably, the sub-components of accessing, reading, and analyzing/evaluating historical digital media demonstrated significant progress in the second session compared to the first. Among these, the function of verifying sources within the sub-component of analyzing/evaluating saw remarkable advancement. Additionally, participants actively utilized the corroboration function, comparing multiple media sources rather than relying on a single medium to resolve their inquiries. Challenges in Media Production: Although students experienced the sub-components of accessing/collecting, reading, and analyzing/evaluating historical digital media through the inquiry process, they found it challenging to independently express their provisional conclusions about historical questions using media. Therefore, the detailed sub-component of "drawing provisional conclusions based on digital media evidence" in historical digital media production should be integrated with the reading and analyzing/evaluating stages of historical digital media. Learner-Centered Inquiry: When designing inquiry lessons to foster historical digital literacy, it is crucial to base the lessons on learner-driven questions. To resolve their inquiry questions, participants engaged in a comprehensive process within the digital media platform, including eagerly seeking out and reading various media, analyzing and evaluating the content, and determining which information to trust. Compared to traditional history inquiry lessons with a set number of teacher-provided sources, historical digital literacy lessons involve students reading a larger volume of materials to resolve their own questions. Furthermore, maintaining motivation to complete the inquiry process thoroughly requires the driving force of the learner's curiosity. Correlation Between Digital Skills and Media Production Quality: There is a strong correlation between students' proficiency in using digital devices, their use of digital media reading strategies, and the quality of their historical digital media outputs. Participants who actively employed digital media reading regulation strategies produced higher-quality tasks, whereas those who did not use these strategies failed to complete tasks on time and produced poor content. This finding aligns with existing research that suggests students proficient in manipulating digital media can focus more on content, resulting in higher-quality output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researcher offers the following suggestions: Extension and Application of Historical Digital Literacy: Further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to apply and expand historical digital literacy in various school contexts and across different educational levels. Accumulation of Practical Lesson Cases: There is a need to accumulate practical case studies of elementary school history inquiry lessons that resolve learner-generated historical questions. Development of Evaluation Criteria: It is necessary to develop criteria for assessing the credibility of historical digital media. Given that most internet texts lack identifiable authors or involve multiple authors, and digital media includes various types such as videos, texts, and images, guidelines for reading historical digital media by type should be developed. Utilization of Digital Programs: The development of digital organizers that help summarize and compare the content read from historical digital media using digital programs is essential. While previous studies have discussed using thinking maps in elementary history lessons, no digital program has been developed to aid students in summarizing content read from historical digital media. Support for Teachers: Schools should ensure sufficient availability of digital devices and personnel to manage them to reduce the psychological burden on teachers implementing digital device-based education. The researcher hopes that this study will be a modest contribution to teachers attempting to design lessons that support elementary students in resolving their historical inquiries through digital media. Furthermore, it is anticipated that subsequent studies on inquiry lessons utilizing historical digital media will become more active in the field of history educ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과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