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정소연-
dc.contributor.authorZhang, Wanchen-
dc.creatorZhang, Wanchen-
dc.date.accessioned2024-08-19T16:31:27Z-
dc.date.available2024-08-19T16:31:27Z-
dc.date.issued2024-
dc.identifier.otherOAK-000000232342-
dc.identifier.urihttps://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232342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68787-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속담교육에 대한 인식과 수요를 조사하고 한국에서 출판된 4종 한국어 교재와 중국에서 출판된 5종 한국어 교재에 있는 속담을 비교하되, 기초 속담의 수록 상황, 수록 방식 및 문화적 관점에서 해석의 차이 세 가지 측면을 비교하여 현재 속담교육의 문제점을 분석한다. 둘째, 학습자의 실제적인 요구, 인식상황 및 비교 결과를 종합하여 현 단계에서 속담교육이 학습자의 한국어 능력과 문화 이해 능력을 향상하는 데 효과와 역할을 하도록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속담교육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아래와 같은 절차로 진행한다. 제Ⅰ장은 속담교육 연구의 필요성과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속담교육이 여전히 부족한 점을 확인하여 본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선행연구의 논의를 통해 한·중 양국의 한국어 속담을 비교하는 것을 중심으로 한 속담 연구에서 여전히 연구해야 할 내용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즉, 첫째, 교재에 속담이 수록되는 방식이나 수록된 속담 의미 해석의 차이에 대한 관심이 높지 않다는 것이다. 둘째, 비교 연구의 내용은 한국어 교재 비교에서의 한국어 속담과 중국어 속담의 비교에 집중되어 있고, 관심사는 중국에서 출판된 한국어 교재에서의 한국어 속담에서 중국어 속담으로 자연스럽게 옮겨가고 있으며, 중국에서 출판된 한국어 교재의 한국어 속담에 대한 연구는 여전히 부족하다. 셋째, 한국과 교재의 속담 수록 개선 및 속담교육을 통한 한국어 능력 향상을 위한 방안이 많지 않다. 제Ⅱ장은 예비적 고찰로서 한·중 양국의 속담의 특성과 범위, 속담교육이 중국인 학습자에게 주는 가치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한국어 교재에서 속담의 수록 상왕, 수록 방식과 문화적 해석 차이라는 세 가지 관점에서 교재의 비교 연구 방향을 심층적으로 분석해야 한다는 것을 설문조사를 통해 제시하였다. 먼저 한·중 속담의 특성과 범위를 살펴보았는데, 양국 속담의 개념이 유사점을 가지면서도 개념에서 강조하는 구성 요소가 다르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비교해 보면, 한국어 속담은 표현구로 사용하는 경향이 있고, 중국에서는 속담이 노동자의 생활 경험을 바탕으로 구성된 생명력 있는 언어를 강조한다. 둘째, 속담교육이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에게 주는 교육적 가치를 명확히 하기 위해 속담 자체가 가지고 있는 언어적 및 문화적 특성에서 출발하여 속담교육이 학습자의 문화적 이해력 향상과 의사소통을 통한 표현력 향상이라는 교육적 가치를 각각 파악하였다. 셋째,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 50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해 현재의 속담교육은 학습자의 속담 학습에 대한 요구, 학습자의 실제 학습 목표 및 습득한 속담의 이해와 인식 수준에 부합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실제적인 문제에서 출발하여 Ⅲ장의 방향을 확정하였다. 제Ⅲ장은 Ⅱ장의 분석 방향에 따라 양국의 교재에 실린 속담의 수, 등급별 분포, 빈도수의 차이를 수록 방식의 관점에서 비교하였다. 수록 방식은 교재에 실린 속담의 내용 영역, 속담의 나오는 위치와 속담의 제시 방식의 세 가지 구체적인 비교 기준으로 양국 속담의 수록 상황을 살펴보았다. 문화적 해석 차이의 관점에서, 수록 방식 중 가장 많은 어휘 영역에서 영감을 받아, 속담의 어휘적 요소가 양국 속담의 출현 횟수에 차이가 있는 속담의 배경이 되는 문화를 분석하여 어휘적 요소에 의한 양국 속담의 문화적 해석 차이를 관찰하였다. 제Ⅳ장은 Ⅲ장 결과와 학습자의 요구를 결합하여 학습자의 한국어 능력과 문화 이해 능력 향상이라는 두 가지 측면에서 교재의 속담 수록 개선과 시대의 요구에 맞는 속담교육이라는 두 가지 방향의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연구 의의와 가치를 가지고 있다. 먼저 본 연구에서는 속담교육에 대한 학습자의 실제적인 인식과 요구를 바탕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학습자의 목소리를 직접 경청하였다. 둘째, 한국과 중국의 많이 보는 양국의 한국어 교재를 비교하고 분석하여 한국과 중국의 속담에 대한 인식 차이가 크다는 걸 발견하였다. 한국어 교재에 여러 각도의 속담이 수록 상황과 교재에 반영될 수 있는 가장 흔한 문화적 차이를 만드는 요인을 비교하고, 양국의 차이점을 목록화함으로써 정확하게 드러냈다. 그리고 선행연구 검토 과정에서 발견된 현재 연구 중 중국에서 출판된 한국어 교재의 한국어 속담에 관한 연구의 부족, 비교 연구에서 한국어 교재 선택 수량의 부족, 그리고 속담교육에 대한 양국의 인식 차이 관점의 부족을 최대한 고려하였다. 셋째, 학습자의 요구와 결합하여 한국어 능력과 문화적 이해력에서 속담교육의 가치를 발휘할 수 있는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속담의 수록 기준을 설정하거나 어느 한 부분을 선정하여 속담을 교육하는 방안과 달리, 교재에 대한 비교 상황과 학습자의 속담 학습 능력 향상을 바라는 요구에 기초하여 교재 개발의 목적을 변경하지 않고 한국어 교재의 속담 수록 현황을 바꾸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현재 본 연구에서는 문제점을 상응하는 개선방안을 제시하고 있지만, 교재에 해당하는 각 분야의 전반적인 방안은 여전히 서술적 수준에 머물러 있어 구체적이지 못하여 실제 교재 개선을 적용하기에는 여전히 한계가 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o investigate the awareness and the requirement of Chinese Korean Language learners on proverb education. Comparing of Korean proverbs in 4 Korean textbooks and 5 Chinese textbooks, this paper tries to find out the existing problems in proverb education from three aspects, namely, comparing the basic situation, the ways of collecting proverbs and analyzing the differences from the perspective of culture. Second, based on the actual requirements of learners in China, their understanding of proverbs and the results of textbook comparison, it is found that the current proverb education plays an effective role in improving learners' Korean language ability and cultural understanding ability. Based on this, this paper proposes a plan to improve Korean proverbs education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in China. The first chapter confirms the necessity of proverb education research and the shortcomings of proverb education carried out by Chinese learners, so it shows the purpose and necessity of this study. Through the discussion of the current research, it is found that there are still some contents that need to be studied in the research of Korean proverbs, which is centered on the comparison of Korean proverbs between Korea and China. First, there is little attention paid to the ways in which proverbs are included in textbooks or the differences in the interpretation of proverbs. Secondly, the content of comparative study mainly focuses on the comparison between Korean proverbs and Chinese proverbs in Korean textbooks. The attention of Korean proverbs in Korean textbooks published in China has naturally shifted to Chinese proverbs, and the study of Korean proverbs in Chinese textbooks is still insufficient. Third, there are not many programs to improve the inclusion of proverbs in Korean textbooks or to improve Korean proficiency through proverb education. The second chapter, as a preliminary study, provides the theoretical basis for the necessity of proverb education for the first chapter and determines the core direction of comparative research and the content that needs to be further sorted out and analyzed for the third chapter. Firstly, the characteristics and scope of proverbs in Korea and China are studied. It is found that while the definitions of proverbs in the two countries are similar, the fact that the constitutive factors emphasized in the concept are different. In contrast, Korean proverbs tend to take proverbs as a kind of expression language and emphasize the common sense obtained through proverbs. But Chinese proverbs emphasize more that they are a kind of living language composed by working people according to life experience. Secondly, in order to clarify the educational value of proverb education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in China, from the linguistic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of proverbs themselves, the educational value of proverb education in improving learners' cultural understanding ability and improving their performance ability through communication is respectively grasped. Thirdly, through the survey of 50 Korean language learners in China, it is found that the current proverb education is not compatible with the learners' needs for learning proverbs, their actual learning goals, and their understanding and cognitive level of the mastered proverbs. Starting from these practical issues, Chapter 3 will include proverbs based on Korean language textbooks, and identify three research directions of inclusion methods and cultural interpretation differences, and conduct in-depth analysis. The third chapter compares the differences in the number, rank distribution and frequency of proverbs in the textbooks of the two countries from the perspective of basic collection, following the analytical direction of the second chapter. From the perspective of collection methods, this paper observes the collection of proverbs in the two countries by three specific comparison standards: the content field of proverbs, the location of proverbs and the way of proverb presentation. From the point of view of cultural interpretation differences, inspired by the most common lexical fields in the collection methods, this paper analyzes the influence of the lexical elements of proverbs on the colloquial culture of the two countries with different occurrence times of proverbs, and observes the differences in the cultural interpretation of the lexical elements of the two countries. The fourth chapter combines the above problems and the requirements of learners in China, from the two aspects of improving learners 'Korean language ability and cultural understanding ability, puts forward two directions to improve the level of proverbs in the textbooks and the proverb education in line with the requirements of The Times.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research significance and value. First of all, according to the learners' actual cognition and demand for proverb education, this study directly listens to the learners' voices through a questionnaire survey. Second, a comparison and analysis of Korean textbooks frequently read by Korea and China shows that there is a great difference in the understanding of proverbs between Korea and China. Korean textbooks include idioms from various perspectives, compare the most common cultural differences reflected in the textbooks, and catalog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countries so as to accurately show them. In the previous research, it was found that the current study considered the lack of research on Korean proverbs in Korean textbooks published in China, and made a comparative study on the lack of selection of Korean and Chinese textbooks, as well as the lack of differences in understanding of proverb education between the two countries. Third, according to the requirements of learners, this paper puts forward a plan to improve the educational value of proverbs in Korean language ability and cultural understanding. Instead of setting the standard for the inclusion of colloquial sayings or selecting a certain part for the education of colloquial sayings, based on the comparison of the textbooks and the requirement to improve learners' ability of learning colloquial sayings, this paper proposes a method to change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inclusion of colloquial sayings in Korean textbooks without changing the development purpose of the textbooks. At present, this study has put forward corresponding improvement measures to solve the existing problems, but the overall plan of each subject corresponding to the textbook is still at the narrative level, not specific enough, and there are some limitations in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the textbook improvement.-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목적 1 B. 선행연구 검토 5 C.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11 Ⅱ. 예비적 고찰 21 A. 한중 속담의 개념과 범위 비교 21 1. 한중 속담의 개념 비교 21 2. 한중 속담의 범위 비교 29 B.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 속담교육의 필요성과 가치 36 1. 문화 이해 능력 향상 기능 37 2. 의사소통적 기능 38 C.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 속담교육 인식 조사 39 1. 설문조사를 통해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인식 조사 39 1.1. 속담교육에 대한 기본적 현황 조사 39 1.2. 한국 속담에 대한 이해의 난이도 인식 조사 44 2. 속담교육의 문제점 50 Ⅲ. 한중 한국어 교재에 수록된 속담 현황 비교 54 A. 한중 한국어 교재에 수록된 속담 비교 54 1. 한국에서 출판된 한국어 교재에 수록된 속담 54 1.1. 서울대 한국어(서울대 교재) 54 1.2. 경희대 한국어(경희대 교재) 57 1.3. 연세 한국어(연세대 교재) 59 1.4. 이화 한국어(이화여대 교재) 61 2. 중국에서 출판된 한국어 교재에 수록된 속담 64 2.1. 기초/고급 한국어(연변대 교재) 64 2.2. 한국어 교정(외국어대 교재) 69 2.3. 대학 한국어(우림걸 교재) 72 2.4. 표준 한국어(대학 교재) 74 2.5. 한국어(북경대 교재) 77 3. 한중 한국어 교재에 수록된 속담 목록화 비교 78 3.1. 등급별 한중 속담 개수와 분포 상황 비교 78 3.2. 중국 출판 초급 교재 속담의 한국 교재 분포 비교 82 3.3. 한중 속담의 빈도수 비교 85 B. 한중 한국어 교재에 수록된 속담의 수록 방식 비교 93 1. 한중 속담의 수록 방식 비교 기준 93 2. 한국에서 출판된 한국어 교재에 수록된 속담의 수록 방식 95 2.1. 서울대 한국어(서울대 교재) 95 2.2. 경희대 한국어(경희대 교재) 97 2.3. 연세 한국어(연세대 교재) 100 2.4. 이화 한국어(이화여대 교재) 103 3. 중국에서 출판된 한국어 교재에 수록된 속담의 수록 방식 105 3.1. 기초/고급 한국어(연변대 교재) 105 3.2. 한국어 교정(외국어대 교재) 107 3.3. 대학 한국어(우림걸 교재) 109 3.4. 표준 한국어(대학 교재) 111 3.5. 한국어(북경대 교재) 112 4. 한중 한국어 교재에서 수록된 속담의 수록 방식 비교 113 4.1. 한중 한국어 교재의 수록 영역 114 4.2. 한중 한국어 교재의 속담이 나오는 위치 115 4.3. 한중 한국어 교재의 속담 제시 방식 117 C. 한중 한국어 교재에 수록된 속담의 문화적 해석 비교 119 1. 한중 속담의 문화적 해석 비교 기준 119 2. 어휘를 통한 속담의 문화적 해석 차이 비교 120 Ⅳ. 교재 비교 및 학습자의 요구를 종합한 한국어 속담교육 개선방안 131 A. 교재 비교 및 학습자의 요구를 고려한 종합 분석 131 1. 한국어 교재 수록과 관련된 문제 분석 131 2. 문화 인식 차이와 관련된 문제 분석 133 B.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속담교육 개선방안 135 1. 속담의 교육적 가치 제고를 위한 속담교육 개선방안 135 1.1. 한국어 교재의 속담 선정 기준 136 1.2. 한국어 교재의 속담 실제 수록 방식 138 2. 시대변화에 맞는 속담교육의 개선방안 142 Ⅴ. 결론 144 참고문헌 147 부록1 설문지 154 ABSTRACT 15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40037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속담, 속담교육, 교재 비교, 학습자의 요구,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 한국 출판 한국어 교재, 중국 출판 한국어 교재-
dc.subject.ddc400-
dc.title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속담 교육 개선방안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한·중 한국어 교재 비교 및 학습자의 요구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Korean proverb education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in China : Comparison of Korea-China Textbooks and the requirement of Korean Language learners in China-
dc.format.pagex, 16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국어교육학과-
dc.date.awarded2024.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