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3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혜경-
dc.contributor.author김가현-
dc.creator김가현-
dc.date.accessioned2024-08-19T16:31:25Z-
dc.date.available2024-08-19T16:31:25Z-
dc.date.issued2024-
dc.identifier.otherOAK-000000232512-
dc.identifier.urihttps://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232512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68775-
dc.description.abstractSmoiking and drinking cause a lot of health risks, and as a risk factor for Non-communicable disease, Korea aims to smoking cessation and alcohol reduction through the Health Plan 2030. The overall smoking rate is gradually decreasing, but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smoking and drinking rates are still high. Smoking and drinking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can cause harm to health due to the negative effects of harmful substances in the workplace, and there is a risk of industrial accidents when working at high place such as scaffolding, so special managements of the smoking and drinking behavior of constructio workers is requir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work characteristics factors associated with smoking and drinking rates, concurrent smoking and drinking of construction workers to provide evidence and basic data for developing customized smoking and drinking intervention programs suited to work characteristics to reduce health gap and the smoking and drinking rates of construction workers. This study made use of data from the 25th 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y. Of the 23,275 individual participants, 1,023 respondents whose the 10th(2017) Korean Standard Industrial Classification code was 41(General construction) or 42(Specialized construction activities) were selected. The final study subjects were 837, excluding 186 people whose non-wage workers, employers, self-employed, unpaid family workers, missing values. The research instruments wer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gender, age, education level, marital status), work characteristics(regular workers or temporary workers, office workers or non-office workers, length of service, regular working hours or irregular working hours, weekly working hours, average monthly wages, job satisfaction scores), smoking and drinking behavior(current smoking, current drinking, concurrent smoking and drinking).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t, percentages, chi-square test, hierarchial logistic regression using SPSS 22.0.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factors related to the current smoking rates were regular workers of temporary workers, length of service, job satisfaction scores. There were no factors related to the current drinking. The factors related to the concurrent smoking and drinking were length of service, job satisfaction scores. Based on these findings, it is necessary to diversify the size and region to select workplaces and workers, add work environment factors, smoking amount, consumed amount of alcohol and classify the job satisfaction score variable for each question to analyze which factors are related to smoking and drinking behavior.;흡연과 음주는 많은 건강 위험을 초래하며 비감염성 질환의 위험요인으로서 우리나라에서는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을 통해 금연과 절주를 목표로 하고 있다. 전체적인 흡연율은 점차 감소하고 있는 추세이나, 건설업에서는 여전히 높은 비율의 흡연율과 음주율이 보고되고 있다. 건설업에서의 흡연과 음주는 작업장의 유해물질과의 상승효과로 인해 건강에 위해를 불러올 수 있으며 비계 등 고소 작업 시 산업재해의 위험이 있어 건설업 근로자의 흡연과 음주 행태에 대해 각별한 관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건설 근로자의 근로 특성과 현재 흡연 여부, 현재 음주 여부, 흡연 및 음주 복합사용의 관련 요인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건설 근로자의 흡연율과 음주율을 감소시키고 나아가 건강 격차를 줄이기 위한 근로 특성에 따른 맞춤형 흡연 및 음주 중재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근거 및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25차 한국노동패널조사 자료를 사용하여 개인 참여자 23,275명 중 한국표준산업분류(KSIC) 10차(2017) 코드가 41_(종합 건설업), 42_(전문직별 공사업)에 해당하는 응답자 1,023명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고, 임금근로자가 아닌 고용주/자영업자, 무급가족종사자 176명을 제외하고, 응답에 결측값이 있는 10명을 제외하여 최종 연구대상자를 837명으로 선정하였다. 연구도구는 인구사회학적 특성(성별, 연령, 교육수준, 결혼상태), 근로 특성(정규직 여부, 사무직 여부, 근속년수, 근로시간 규칙성, 주당 근로시간, 월 평균 임금액, 직무만족도 점수), 흡연 및 음주 행태(현재 흡연 여부, 현재 음주 여부, 흡연 및 음주 모두 사용 여부)로 이루어져 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 프로그램을 통해 기술통계, 교차분석, 위계적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건설 근로자에서 현재 흡연 여부와 관련이 있는 근로특성 요인은 정규직 여부, 근속년수, 직무만족도 점수로 나타났다. 현재 음주 여부와 관련이 있는 근로 특성 요인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수가 나타나지 않았다. 흡연 및 음주 모두 사용 여부와 관련이 있는 근로 특성 요인은 근속년수, 직무만족도 점수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규모와 지역을 다양화하여 사업장과 근로자를 선정하고, 근로 환경 요인 및 흡연량, 음주량을 변수에 추가하여 다양한 결과가 도출될 수 있도록 하고, 직무만족도 변수를 각 항목별로 구분하여 직무만족도 중 어떠한 요인이 흡연 및 음주 행태와 관련이 있는지 분석하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1 B. 연구의 목적 3 C. 용어의 정의 4 D. 연구의 제한점 5 Ⅱ. 이론적 배경 6 A. 근로특성에 따른 흡연과 음주 행태 6 B. 건설업에서의 흡연과 음주 행태 10 Ⅲ. 연구방법 14 A. 연구설계 14 B. 연구 대상 및 자료 수집 15 C. 측정도구 및 주요변수 16 D. 자료 분석 방법 19 Ⅳ. 연구결과 20 A. 연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20 B. 연구대상자의 근로특성 21 C. 연구대상자의 흡연 및 음주 행태 22 D.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흡연 및 음주 행태의 관련성 23 E. 근로 특성과 흡연 및 음주 행태의 관련성 25 F. 근로특성 간 상관관계 29 G. 흡연 및 음주 행태와 관련있는 근로특성 요인 분석 30 Ⅴ. 논의 39 Ⅵ. 결론 및 제언 41 참고문헌 42 부록 1. 설문지 50 ABSTRACT 6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15630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건설업, 흡연, 음주-
dc.subject.ddc600-
dc.title건설업 근로자의 근로 특성에 따른 흡연 및 음주 행태 관련 요인 분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nalyzing factors associated with construction worker’s smoking and drinking behavior as work characteristics-
dc.creator.othernameKim, Gahyun-
dc.format.pageⅴ, 6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융합보건학과-
dc.date.awarded2024.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융합보건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