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운경-
dc.contributor.author이온유-
dc.creator이온유-
dc.date.accessioned2024-08-19T16:31:24Z-
dc.date.available2024-08-19T16:31:24Z-
dc.date.issued2024-
dc.identifier.otherOAK-000000232482-
dc.identifier.urihttps://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232482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68770-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부모공동양육이 유아 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 그리고 어머니의 온정적 양육태도와 유아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어머니 반응을 통한 간접적인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만 3~5세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 230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법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부모공동양육을 측정하기 위해서 Van Egeren과 Hawkins(2004)가 개발한 ‘부모공동양육(Coparenting Scale) 도구’를 박재진(2015)이 번안하고 김수진(2023)이 일부 문항의 번역을 원문에 가깝게 수정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어머니의 온정적 양육태도는 이선희(2012)가 개발한 학령기 자녀를 둔 부모의 양육행동 척도를 나지혜(2012)가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용으로 수정한 척도를 사용하였고, 유아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어머니 반응은 Fabes 등이(1990) 개발한 아동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대처척도(Coping With Children’s Negative Emotions Scale [CCNES])를 김희정(1995)이 번안, 수정한 척도의 문항들 중 일부를 연구자가 원문에 가깝게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유아 정서조절능력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Shields와 Cicchetti(1997)가 개발한 정서조절 체크리스트(The Emotion Regulation Checklist [ERC])를 박서정(2004)이 번안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 분석을 위해 SPSS 22.0(IBM Co., Armonk, NY)과 AMOS 22.0(IBM Co., Armonk, NY)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Pearson의 적률상관관계 분석, 경로분석(path analysis)을 실시하였으며,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 방법을 실시하여 간접효과의 유의성을 확인하였고, 사용자 정의 추정(user-defined estimand)을 통해 개별 간접경로의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공동양육은 유아 정서조절능력에 직접적으로 정적 영향을 미쳤다. 즉, 부모공동양육 수준이 높을수록 유아 정서조절능력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부모공동양육이 어머니의 온정적 양육태도를 매개로 유아 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간접적인 영향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공동양육은 어머니의 온정적 양육태도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으나, 어머니의 온정적 양육태도는 유아 정서조절능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셋째, 부모공동양육은 유아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어머니 지지적 반응을 매개로 유아 정서조절능력에 간접적인 정적 영향을 미쳤다. 즉, 부모공동양육 수준이 높을수록 유아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어머니의 지지적 반응 수준은 높아지며 이는 높은 수준의 유아 정서조절능력으로 이어졌다. 또한 부모공동양육은 유아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어머니 비지지적 반응을 매개로 유아 정서조절능력에 간접적인 부적 영향을 미쳤다. 즉, 부모공동양육 수준이 높을수록 유아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어머니의 비지지적 반응 수준은 낮아지며 이는 높은 수준의 유아 정서조절능력으로 이어졌다. 종합하면, 부모공동양육은 유아 정서조절능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유아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어머니 반응을 통해 유아 정서조절능력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유아 정서조절능력에 관해 상대적으로 연구가 적은 부모공동양육에 주목하여 부모공동양육과 어머니의 온정적 양육태도, 유아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어머니 반응이 정서조절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구체적 경로를 살펴보았다는 데 의의가 있다. 특히 유아 정서조절능력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부모공동양육과 양육태도에 해당하는 온정적 양육태도, 양육의 실제에 해당하는 유아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어머니 반응을 함께 살펴봄으로 가정 내 양육의 다양한 차원이 유아 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이는 유아 정서조절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가정 내 양육특성들 간 구조적 관계를 이해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며 유아 정서조절능력을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부모공동양육에 주목하여 부모가 균형 있게 함께 양육을 협력할 수 있도록 개입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유아의 정서조절능력 발달 촉진을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적용할 수 있는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direct effect of the coparenting on preschooler’s emotion regulation and the indirect effect through maternal warm parenting behaviors and maternal reactions to preschoolers’ negative emotions. Data were collected from 230 mothers with children aged 3 to 5. To assess copareting, the ‘coparenting scale’ developed by Van Egeren and Hawkins (2004) was used with this scale translated by Park Jae-Jin (2015), then modified by Kim Su-jin (2023). The maternal warm parenting behaviors was measured using the parenting behaviors scale developed by Rhee, Sun-he (2012), which was modified by Na Ji-hye (2012) to suit preschoolers’parents. Coping With Children’s Negative Emotions Scale [CCNES] developed by Fabes et al. (1990), which was translated and modified by Kim Hee-jeong (1995) was used to measure maternal reactions to preschoolers’ negative emotions. Preschooler’s emotion regulation was measured using the Emotion Regulation Checklist [ERC] developed by Shields and Cicchetti (1997) and translated by Park Seo-jung (2004) was used in this study. The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path analysis. The bootstrapping method was also performed to confirm the significance of indirect effects as well as individual indirect pathways using User-defined Estim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coparenting had a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preschooler’s emotion regulation. Second, the indirect effect of coparenting on preschooler’s emotion regulation through maternal warm parenting behaviors was not significant. The relation between coparenting and maternal warm parenting was significant, but the relation between maternal warm parenting and preschooler’s emotion regulation was not significant. Third, coparenting had an indirect positive impact on preschooler’s Emotion Regulation, mediated by maternal supportive reactions to preschoolers’ negative Emotions. This result reveals that higher levels of coparenting were associated with higher levels of maternal supportive reactions to preschoolers’ negative emotions, which subsequently linked to higher level of preschooler’s emotion. Additionally, coparenting had an indirect negative impact on preschooler’s emotion regulation, mediated by maternal unsupportive reactions to preschoolers’ negative emotions. That is, higher levels of coparenting were associated with decreased levels of maternal unsupportive reactions to preschoolers’negative emotions, which also led to higher levels of preschooler’s emotion regulation. In summary, coparenting had a direct impact on preschooler’s emotion regulation and an indirect impact through maternal reactions to preschoolers’ negative emotions. This study is significant as it focuses on coparenting, an area with relatively limited research about preschooler’s emotion regulation. It examines the specific pathways through which coparenting, maternal warm parenting behaviors, and maternal reactions to preschoolers’ negative emotions affect preschooler’s emotion regulation. The study's importance lies in its consideration of various dimensions of parenting within a home setting that affect development of preschooler’s emotion regulation. By investigating coparenting, parenting attitudes with maternal warm parenting behaviors, and actual parenting practices—specifically, maternal reactions to preschoolers’ negative emotion—it provides a comprehensive viewpoint of how these factors collectively influence development of preschooler’s emotion regulation. This research offers foundational data for understanding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parenting characteristics within home settings that affect preschooler’s emotion regulation. It highlights the need for interventions that promote balanced and cooperative coparenting to enhance preschooler’s emotion regulation. Additionally, it suggests that the findings can be utilized to develop parent education programs aimed at fostering preschooler’s emotion regulat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Ⅱ. 이론적 배경 6 A. 이론적 틀 6 B. 유아 정서조절능력 9 C. 부모공동양육과 유아 정서조절능력 11 D. 부모공동양육, 어머니의 온정적 양육태도 및 유아 정서조절능력 14 E. 부모공동양육, 유아 부정적 정서에 대한 어머니 반응 및 유아 정서조절능력 18 Ⅲ. 연구문제 및 용어 정의 24 A. 연구문제 및 연구모형 24 B. 용어정의 25 Ⅳ. 연구방법 27 A. 연구대상 27 B. 조사도구 29 C. 조사절차 33 D. 자료분석 33 Ⅴ. 연구결과 35 A. 예비분석 35 B. 경로분석 37 Ⅵ. 결론 및 논의 43 A. 부모공동양육이 유아 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직접적 영향 43 B. 부모공동양육이 어머니의 온정적 양육태도와 유아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어머니 반응을 매개로 유아 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간접적 영향 45 참고문헌 53 부록. 설문지 69 ABSTRACT 8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8171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부모공동양육, 유아 정서조절능력, 어머니 온정적 양육태도, 유아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어머니 반응-
dc.subject.ddc600-
dc.title부모공동양육이 유아 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어머니의 온정적 양육태도, 유아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어머니 반응의 매개효과-
dc.title.translatedThe Effects of Coparenting on Preschooler’s Emotion Regulation: The Mediating Role of Maternal Warm Parenting Behaviors and Maternal Reactions to Preschoolers’ Negative Emotions-
dc.creator.othernameLee, Onyou-
dc.format.pagevi, 9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아동학과-
dc.date.awarded2024.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아동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