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1 Download: 0

정서적 학대경험이 내면화된 수치심을 통해 청소년의 학습된 무기력에 미치는 영향

Title
정서적 학대경험이 내면화된 수치심을 통해 청소년의 학습된 무기력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Emotional Abuse Experience on Learned Helplessness in Adolescents : Mediating Effect of Internalized Shame and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Mindfulness
Authors
이다솜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대학원 아동학과
Keywords
정서적 학대경험, 학습된 무기력, 마음챙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한세영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정서적 학대경험과 청소년의 학습된 무기력의 관계에서 내면화된 수치심의 간접효과와 마음챙김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고등학교 1, 2학년 총 341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법을 사용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정서적 학대경험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고성혜(1992)가 개발한 아동학대척도에서 정서적 학대경험을 측정하는 척도만을 사용하였다. 내면화된 수치심은 Cook(1988)이 제작하고 이인숙과 최해림(2005)이 번안 및 타당화한 척도(Internalized Shame Scale [ISS])를 사용하였다. 학습된 무기력은 신기명(1990)이 개발한 학습된 무기력에 대한 판단 척도를 김아영과 주지은(1999)이 수정 및 보완한 후 배정희(2008)가 수정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마음챙김은 박성현(2006)이 개발 및 타당화한 마음챙김 척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 분석을 위해 SPSS 22.0(IBM Co., Armonk, NY)프로그램 및 SPSS PROCESS macro 4.2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분석, 상관분석, Model 4를 통한 매개효과분석, Model 7을 통한 조절효과 및 조절된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정서적 학대경험이 내면화된 수치심을 통해 청소년의 학습된 무기력에 미치는 간접 경로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즉, 정서적 학대경험이 많을수록 내면화된 수치심이 높아졌고, 이는 청소년의 학습된 무기력 수준을 높였다. 둘째, 정서적 학대경험이 청소년의 학습된 무기력에 미치는 영향에서 내면화된 수치심의 매개효과가 마음챙김의 수준에 따라 변화하는 조절된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즉, 정서적 학대경험과 내면화된 수치심의 관계가 마음챙김의 수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데, 마음챙김 수준이 낮을수록 정서적 학대경험이 내면화된 수치심에 미치는 영향이 더 컸고, 마음챙김 수준이 높을수록 정서적 학대경험이 내면화된 수치심에 미치는 영향의 증가폭이 다소 적게 나타났다. 또한, 마음챙김이 정서적 학대경험의 영향력을 조절하여 완화된 내면화된 수치심의 수준은 결국 청소년의 학습된 무기력에 미치는 영향도 달라지게 하였다. 종합하면, 본 연구는 청소년의 학습된 무기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환경적 요인인 정서적 학대경험과 개인 내적 요인인 내면화된 수치심을 함께 살펴봄으로써 청소년의 학습된 무기력의 원인에 복합적으로 접근하였다. 또한, 정서적 학대 경험과 내면화된 수치심의 관계에서 마음챙김의 보호요인을 살펴봄으로써 매개효과와 조절효과를 통합적으로 살펴보는 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 결과가 학습된 무기력의 어려움을 겪는 청소년들을 지원하기 위해 마음챙김의 실제적 개입 방안의 필요성을 제시함으로써 향후 이와 관련된 상담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는 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direct effects of internalized shame and themoderated mediation of mindfulnes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abuse experiences and learned helplessness in adolescents. Data were collected from a total of 341 first-year and second-year high school students using a questionnaire method. To measure emotional abuse experiences, we used the emotional abuse experiences scale from the Child Abuse Scale by Ko (1992). Internalized shame was measured using the Internalized Shame Scale (ISS) by Cook (1988) and adapted and validated by Lee, In-Sook, and Hae-Rim Choi (2005). Learned helplessness was measured using the Judgment of Learned Helplessness Scale by Shin, Ki-Myung (1990), modified and supplemented by Kim, A-Young and Ju, Ji-Eun (1999), then revised by Choi, Ji-Hee (2008). Mindfulness was measured using the mindfulness scale developed and validated by Park, Sung-Hyun (2006).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mediation effect analysis through Model 4, and controlled mediation effect analysis through Model 7 were conducted using SPSS 22.0 and SPSS PROCESS macro 4.2 to analyze the data of this study.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indirect effect of emotional abuse experiences on adolescents' learned helplessness through internalized shame was significant. Specifically, higher levels of emotional abuse experiences were associated with increased internalized shame, which in turn elevated levels of learned helplessness. Second, the mediating effect of internalized sham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abuse experiences and learned helplessness was significant and the mediating effect was moderated by adolescent midfulness. T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abuse experiences and internalized shame varied by level of mindfulness, with lower levels of mindfulness having a greater effect of emotional abuse experiences on internalized shame, and higher levels of mindfulness having a somewhat smaller increase in the effect of emotional abuse experiences on internalized shame. Furthermore, the level of internalized shame that mindfulness moderated the effect of emotional abuse experiences on internalized shame, in turn, had a different effect on adolescents' learned helplessness. Findings of this study provides a multifacetedl approach to understanding the etiology of learned helplessness in adolescents by examining both environmental factor and psychological factor, emotional abuse experiences, and internalized shame as factors that influence learned helplessness in adolescents. Furtherm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integrates the mediating and moderating effects of mindfuln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abuse experiences and internalized shame.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used for future counseling interventions by suggesting the need for practical mindfulness interventions to support adolescents with learned helplessnes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아동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