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운경-
dc.contributor.author강하늘-
dc.creator강하늘-
dc.date.accessioned2024-08-19T16:31:23Z-
dc.date.available2024-08-19T16:31:23Z-
dc.date.issued2024-
dc.identifier.otherOAK-000000232633-
dc.identifier.urihttps://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232633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68767-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rect effects of paternal gender role attitudes and family-supportive organizational culture at fathers’ workplaces on parental role satisfaction, as well as the indirect effects mediated through involvement in parenting. Data were collected via a questionnaire from 228 fathers with children aged 3 to 5 years, who are employed in small, medium, and large companies, public enterprise, and public institutions in Korea. Paternal gender role attitudes were measured using the ‘Married Men's Gender Role Perceptions' scale, developed by Kim, Hye-Young et al. (2008), and family-supportive organizational culture at fathers' workplaces was measured using the ‘Work-Family Culture' scale, developed by Thompson et al. (1999), which was translated and modified by Bang, Myo-Jin (2005). Additionally, involvement in parenting was measured using the ‘Parental Involvement of Fathers' subscale of the ‘Development of the Generative Fathering' scale, developed by Lee Young-Hwan et al. (1999). Parental role satisfaction was measured using the ‘Parent Satisfaction Scale (PSS)', developed by Duke et al. (1997), and translated and modified by Seo, Hye-Young (1998). For this study, Further modifications were made to the translated items to more closely match the original items, ensuring clearer understanding for the participants. The data in this study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analysis,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through SPSS 22.0 and AMOS 23.0. The bootstrapping method was also performed to confirm the significance of indirect effects.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paternal gender role attitudes did not directly influence parental role satisfaction. Second, family-supportive organizational culture at fathers' workplaces had a direct positive effect on parental role satisfaction. Third, paternal gender role attitudes had an indirect negative effect on parental role satisfaction through involvement in parenting. Fourth, the family-supportive organizational culture of fathers' workplace had no indirect effect on parental role satisfaction through involvement in parenting. In essence, Fathers with more egalitarian gender role attitudes reported greater satisfaction in their parental roles by actively engaging in parenting. Similarly, fathers employed in workplaces with a supportive family culture expressed higher levels of parental role satisfaction. With the recent emphasis on paternal involvement in parenting, coparenting, and personal well-being in Korea,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focused on parental role satisfaction, which is the psychological satisfaction that fathers feel in the process of performing parental roles, and examined the effects of personal and environmental factors on parental role satisfaction among fathers with preschool age children. In other words, It is confirmed the specific pathways through which paternal gender role attitudes, family-supportive organizational culture at fathers' workplace, and involvement in parenting influence parental role satisfa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n order to promote parental role satisfaction, it is necessary to consider personal and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paternal gender role attitudes and family-supportive organizational culture at fathers' workplace for policy approaches. It is believed that the findings of this study serve as a basis for developing policies to promote happy and satisfying lives as a father, ways to encourage their active involvement in parenting, and parenting education programs for fathers with preschool-aged children.;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성역할태도, 직장의 가족친화적 조직문화가 부모역할만족도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과 양육참여를 통해 미치는 간접적인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전국에 거주하는 만 3~5세 유아기 자녀를 둔, 중소·중견·대기업 및 공기업, 공공기관에 재직 중인 아버지 228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법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아버지 성역할태도는 김혜영 등(2008)이 개발한 ‘기혼남성의 성역할의식’ 척도를, 아버지 직장의 가족친화적 조직문화는 Thompson 등(1999)의 ‘가족친화적 조직문화(Work-Family Culture)’를 방묘진(2005)이 번안·수정한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아버지 양육참여는 이영환 등(1999)이 개발한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생산적 아버지노릇’ 척도 중 ‘양육참여’ 하위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마지막으로 아버지 부모역할만족도는 Duke 등(1997)이 개발한 ‘Parent Satisfaction Scale(PSS)’을 서혜영(1998)이 번안·수정한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나 연구대상자들이 문항을 보다 명확히 이해할 수 있도록 기존에 번역된 문항들의 일부를 원문과 더욱 가깝게 수정한 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분석을 위하여 SPSS 22.0(IBM Co., Armonk, NY)와 AMOS 23.0(IBM Co., Armonk, NY)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고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를 산출하였으며, 구조방정식 모형(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분석을 실시한 후 부트스트랩핑(Bootstrapping) 방법을 통해 간접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아버지 성역할태도는 부모역할만족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아버지 직장의 가족친화적 조직문화는 부모역할만족도에 직접적인 정적 영향을 미쳤다. 즉, 아버지 직장의 가족친화적 조직문화 수준이 높을수록 부모역할만족도는 더 높았다. 셋째, 아버지 성역할태도는 양육참여를 통해 부모역할만족도에 간접적인 부적 영향을 미쳤다. 즉, 아버지 성역할태도가 평등할수록 양육에 더욱 적극적으로 참여하였고, 이를 통해 부모역할만족도는 더 높아졌다. 넷째, 아버지 직장의 가족친화적 조직문화는 양육참여를 통해 부모역할만족도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종합하면, 아버지 성역할태도는 부모역할만족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양육참여를 통해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또한, 아버지 직장의 가족친화적 조직문화는 부모역할만족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고 양육참여를 통한 간접적인 영향은 미치지 않았다. 즉, 아버지가 평등한 성역할태도를 가질수록 자녀양육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부모역할에 대한 만족을 더 많이 느꼈고, 아버지 직장이 가족친화적인 조직문화를 가질수록 부모역할에 대한 만족을 더 많이 느꼈다. 최근 국내에서 아버지 양육참여, 부부의 공동양육 및 개인의 행복감이 강조되는 가운데, 본 연구는 부모역할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아버지가 느끼는 심리적 만족인 ‘부모역할만족도’에 주목하여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개인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이 부모역할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다각적으로 살펴보았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즉, 아버지 성역할태도, 직장의 가족친화적 조직문화 및 양육참여가 부모역할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구체적인 경로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아버지 부모역할만족도를 증진하기 위한 정책적인 접근에 있어 성역할태도, 직장의 가족친화적인 조직문화와 같은 아버지의 개인적·환경적 요인을 고려해야 할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가 향후 아버지들의 부모로서 행복하고 만족스러운 삶을 위한 정책이나 적극적인 양육참여를 장려하기 위한 방안 및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를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도움이 되는 기초 자료로도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Ⅱ. 이론적 배경 8 A. 아버지 부모역할만족도 8 B. 아버지 성역할태도와 부모역할만족도 10 C. 아버지 직장의 가족친화적 조직문화와 부모역할만족도 14 D. 아버지 양육참여와 부모역할만족도 18 E. 아버지 성역할태도, 양육참여 및 부모역할만족도 24 F. 아버지 직장의 가족친화적 조직문화, 양육참여 및 부모역할만족도 28 Ⅲ. 연구문제 및 용어정의 32 A. 연구문제 및 연구모형 32 B. 용어정의 33 Ⅳ. 연구방법 35 A. 연구대상 35 B. 조사도구 36 C. 조사절차 40 D. 자료분석 41 Ⅴ. 연구결과 42 A. 예비분석 42 B. 측정모형분석 43 C. 구조모형분석 45 Ⅵ. 논의 및 결론 50 A. 아버지 성역할태도, 직장의 가족친화적 조직문화가 부모역할만족도에 미치는 직접적 영향 50 B. 아버지 성역할태도, 직장의 가족친화적 조직문화가 양육참여를 매개로 부모역할만족도에 미치는 간접적 영향 53 참고문헌 62 부록. 설문지 78 ABSTRACT 8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8069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 성역할태도, 직장의 가족친화적 조직문화, 양육참여, 부모역할만족도-
dc.subject.ddc600-
dc.title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성역할태도, 직장의 가족친화적 조직문화 및 양육참여가 부모역할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s of Gender Role Attitude, Family-Supportive Organizational Culture and Involvement in Parenting on Fathers’ Parental Role Satisfaction with Preschool-aged Children-
dc.creator.othernameKang, Haneul-
dc.format.pageⅵ, 8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아동학과-
dc.date.awarded2024.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아동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