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소연*
dc.contributor.author심유빈*
dc.creator심유빈*
dc.date.accessioned2024-08-19T16:31:22Z-
dc.date.available2024-08-19T16:31:22Z-
dc.date.issued2024*
dc.identifier.otherOAK-000000232665*
dc.identifier.urihttps://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232665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68755-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aims to comprehensively examine the life and artistic endeavors of Cheol-ma Kim Junghyun (1901-1953), tracing his trajectory in forming a multifaceted identity within the context of Korean modern art history. Born in Seoul, Kim Junghyun was unable to receive formal art education, due to financial constraints, leading him to enter the workforce at an early age. Despite these challenges, Kim taught himself Western-style paintings while simultaneously working at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GCK) as an assistant draughtsman. He regularly participated in notable group exhibitions such as the Joseon Art Exhibition, and established his reputation as a painter through repeated selections and honorable awards. He primarily developed his artistic domain around genre paintings depicting everyday life and figures, skillfully crossing genres by incorporating both Western and Eastern painting techniques. Starting in 1939, Kim began working in the Insurance Supervision Division of the Postal Bureau, where he was responsible for producing various propaganda mediums to advertise life insurance issued by the GCK. Especially his works were featured on insurance postcards and magazine covers issued by the Postal Bureau, and he participated as a judge for the poster design competition. This experience significantly impacted the expansion of his artistic activities. After the Korean liberation in 1945, Kim continued his artistic endeavors while also organizing the Joseon Commercial Artists Association. Paving the way as a commercial artist, he produced various illustrations and visual materials, including stamps, postcards, posters, and educational publications such as textbooks and storybooks. He also worked at Daedong Commercial School to train future commercial artists and served as a judge in the Crafts and Propaganda Art Department of influential exhibitions. As such, Kim Junghyun was an artist who traversed the boundaries of Western and Eastern painting and expanded his artistic activities beyond fine art to commercial and applied arts. However, due to the limitations of existing works and materials, academic research has focused primarily on his figure paintings as representing ‘Chosun local color’. Therefore, this study also considers his landscapes and still life paintings to observe the process through which he developed his unique artistic oeuvre over time. It also aims to uncover his extensive artistic activities and to shed light on his aspect as a commercial artist, which has been largely overlooked. This paper comprehensively reviews Kim Junghyun's life, tracing the process by which he managed to balance his professional career and his activities as an artist. Despite limited avenues for formal art education available in Korea at the time, Kim self-taught and developed his own artistic style, progressing through landscapes, still-lifes, and figure paintings while steadily participating in exhibitions. As he gradually focused on figure paintings, he sought to establish a unique style featuring daily life and incorporating both Western and Eastern painting techniques. Additionally, this study delves into the background and aspects of Kim's extensive artistic activities as a painter, draftsman, designer, and educator before and after liberation. By examining related newspaper articles and publications of the GCK, it fills gaps in the understanding of his later artistic endeavors. His experience in the Postal Bureau had a significant impact on expanding into the fields of commercial and popular art. Following liberation, Kim expanded his scope of activities, as evidenced by newly discovered visual materials produced by Kim, illustrating his efforts to integrate art into everyday lif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can be found that it highlights Kim’s unique background and his journey across various boundaries to establish an independent identity.;본 연구는 철마 김중현(鐵馬 金重鉉, 1901-1953)의 생애와 미술 활동을 종합적으로 고찰하여, 한국 근대미술사와 호흡하며 폭넓은 정체성을 형성해온 그의 궤적을 추적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서울에서 태어난 김중현은 전문적인 미술 교육을 받지 못하고 독학으로 서양화를 학습했다. 중학교 과정까지 마친 그는 조선총독부 토목과 하천계에서 근무하기 시작했고,《조선미술전람회》와 《서화협회전람회》에 꾸준히 출품하여 작품 활동을 게을리 하지 않았다. 입선과 특선을 거듭하며 화가로서 명성을 쌓으면서, 서양화뿐 아니라 동양화에도 두각을 드러내 《조선미술전람회》 1부와 2부에서 동시 특선이라는 쾌거를 이루기도 했다. 한편 김중현은 체신국 보험감리과 보전계에 근무하게 되면서 상업미술에도 관심을 두기 시작했다. 해방 이후 그는 조선상업미술가협회를 조직하고 우표, 괘도, 미술교본 등 다양한 시각물을 제작하며 생활미술가로서의 길을 모색하였다. 아울러 대동상업학교에서도 근무하며 예비 상업미술가들을 양성하였고, 대규모 전람회의 공예부 및 선전미술부 심사위원으로도 참여하였다. 이처럼 그의 생애 전반을 살펴보면 그가 서양화와 동양화, 순수미술과 상업미술이라는 장르 간의 경계를 자유롭게 넘나들었던 화가였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학계에서는 전람회 출품작과 현존작을 중심으로 그의 향토색 화풍을 조망하는데 주력해왔다. 특히 해방을 전후로 확장된 미술 활동을 보여주었음에도 불구하고, 생애 후기의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김중현의 작품세계를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당시 근대 화단의 흐름에 민감하게 반응하며 화가로 성장했던 과정을 고찰하고자 했다. 또한 그의 폭넓은 미술 활동을 최대한 복원하여, 자신의 작품세계를 상업미술의 영역까지 확장하고자 했던 생활미술가로서의 면모를 부각하는 데에 목표를 두었다. 이에 따라 본고는 김중현의 생애 전반을 검토하기 위해 그가 직장 생활과 작품활동을 병행하게 되었던 과정을 추적했다. 신문 기사와 조선총독부 관련 자료를 교차 검토하여 그가 조선총독부에서 토목과 하천계와 체신국 보험감리과 보전계에서 근무했음을 확인했다. 뿐만 아니라 전람회 출품작과 이에 대한 비평문, 삽화 등을 수집하여 당시 화단의 흐름과 호흡했던 그의 작품세계 전반을 고찰했다. 그 결과 풍경화와 정물화를 통해 조형적인 실험을 이어갔고, 점차 인물화를 중심으로 풍속적인 주제를 다루거나 서양화와 동양화를 동시에 구사하며 김중현이 자신만의 독자적인 화풍을 다듬어나가는 과정을 읽어낼 수 있었다. 아울러 해방 전후로 김중현이 화가로서 뿐만 아니라 도안가, 생활미술가, 교육자로서 폭넓은 미술 활동을 펼치게 된 배경과 그 양상에 주목하였다. 먼저 조선총독부 발행 자료와 관련 사료 등을 검토하여 그의 후기 미술 활동의 공백을 메울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체신국에서의 근무 경험이 상업미술, 대중미술 영역으로 확장하는 데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쳤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또한 본 연구 과정에서 그가 제작한 다양한 장르의 시각물을 새롭게 발굴하였다. 이는 그의 폭넓은 미술 활동을 보충해주는 동시에 그가 미술의 생활화와 대중화를 실천하고자 했던 시각자료라는 점에서 중요성을 지닌다. 이와 같이 본고는 자료의 한계로 인해 주목받지 못했던 김중현의 생애와 미술 활동을 최대한 복원하여, 근현대미술사에서 김중현의 위상을 재고해보고자 했다. 독학, 직장 생활과의 병행이라는 측면에서 동료화가들과 그 출발점은 동일하지 않았으나 다양한 경계를 넘나들며 독자적인 정체성을 형성한 화가로서 김중현을 조명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겠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머리말 1 Ⅱ. 생애 및 미술계 입문 4 A. 직장 생활과 화가 활동의 병행 4 B. 서양화의 기초 학습 15 Ⅲ. 전람회 활동과 작품세계의 형성 20 A. 풍경화 및 정물화의 조형적 탐구 22 B. 독자적 풍속인물화풍의 모색 29 1. 제재와 형식의 실험 29 2. 동양화, 서양화의 동시적 전개 40 3. 집단군상화의 제작 57 Ⅳ. 해방 전후 미술 활동의 확장 64 A. 해방 이전 보험감리과의 도안 활동 64 1. 체신국의 보험사업과 선전매체 64 2. 보전계에서의 행적 75 B. 해방 이후 생활미술가로서의 궤적 84 1. 조선상업미술가협회 및 단체 활동 84 2. 다양한 시각물의 제작 95 3. 교육계에서의 행보 101 Ⅴ. 맺음말 106 참고문헌 109 도판목록 122 도판 127 부록 143 ABSTRACT 14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44356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김중현, 근대회화, 조선미술전람회, 향토색, 조선총독부, 체신국, 간이보험, 선전미술, 상업미술, 생활미술, 근대미술*
dc.subject.ddc700*
dc.title鐵馬 金重鉉(1901-1953)의 생애와 미술 활동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Life and Artistic Activities of Cheol-ma Kim Junghyun (1901-1953)*
dc.creator.othernameShim, Ubeen*
dc.format.pagevi, 14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미술사학과*
dc.date.awarded2024.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