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33 Download: 0

최재덕(崔載德, 1916-?)의 作品世界 硏究

Title
최재덕(崔載德, 1916-?)의 作品世界 硏究
Other Titles
A study on the Artistic world of Choi Jaideok(1916-?)
Authors
박예은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사학과
Keywords
최재덕, 근대미술, 근대미술사, 신미술가협회, 월북 미술가, 북한미술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소연
Abstract
최재덕은 서양화가이자 장정가(裝幀家) 및 삽화가로서 일제강점기와 해방기에 활발히 활동했던 미술가이다. 그는 기초 교육과정을 거쳐 일본의 미술 전문 대학에서 심화된 미술교육을 받았고, 귀국 후에는 다양한 전람회에 참여하며, 자신만의 화풍을 모색해 나갔다. 또한 동료 미술가들과 함께 조선신미술가협회(朝鮮新美術家協會)를 결성하고, 서양의 다양한 미술 양식과 조선의 향토적 정서를 융합한 독창적인 예술 영역을 구축했다. 광복 이후에는 중도주의 계열의 미술 단체에서 중직을 맡을 만큼 화단의 중역으로 성장했다. 문학인들과도 교우하며 장정과 삽화까지 영역을 확장했는데, 이를 미술의 대중화와 계몽을 위한 사회적 역할로 인식했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중도주의 계열의 예술인에 대한 탄압이 거세지면서 최재덕은 일련의 과정을 거치며 월북하게 되었다. 이후 북한에서 그는 뚜렷한 직책을 맡지 않았으나, 북한 미술계에 적응하는 작품 양상을 보였다. 실제 전쟁과 분단이라는 특수한 상황은 월북 예술인에 관한 연구를 오랫동안 불가능하게 만들었고, 최재덕의 뛰어난 작품세계는 미술계에서 점차 잊혀 갔다. 1988년 월북 예술인에 대한 해금 조치가 시행된 이후로는, 월북 미술가 가운데 한 명으로 거론되기 시작했으나 본격적인 작가론 연구로는 진행되지 못했다. 이러한 가운데 최근 들어 미술비평가와 문학계 인사들이 최재덕의 작품세계를 호평하기 시작하면서, 점차 그는 한국 근대 화단의 주역 중 한 명으로 인식되기 시작했다. 이에 따라 미술계에서는 남북 분단으로 인한 한국 미술사의 공백을 채우기 위해 그의 삶을 조명하는 작업을 점진적으로 진행하고 있는데, 특히 주요 근대미술·북한미술 관련 전시를 통해 월북 전후 최재덕의 작품이 소개되기 시작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의 선행 연구에 기초하고, 1차 사료의 추가적 발굴에 중점을 두면서 최재덕의 생애와 작품세계 전반을 복원하고자 시도했다. 전쟁으로 인해 국내 자료와 작품 상당수가 소실되었으며, 현재 북한 자료에 대한 접근이 극히 제한적이라는 한계는 여전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산재해 있는 최재덕의 기록과 작품을 가능한 만큼 최대한 수집·정리했으며, 전쟁으로 인해 소실된 작품의 공백은 당시 발행된 간행물과 신문에 기고된 평론, 주변 인물들의 회고를 활용해 대체하고자 했다. 또한 장정과 삽화 등의 인쇄매체 작업물도 독립된 작품으로 간주함으로써, 그의 작품세계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혔다. 그리고 북한에서 발행된 문예계 간행물이나 서적 등, 최대한 신빙성을 갖춘 자료들을 선별해 최재덕의 삶과 작품세계를 논했다. 본 연구는 최재덕의 생애와 작품 경향성을 시기별로 분석하였다. 먼저, 최재덕은 일본에서 미술을 공부했는데, 이 과정에서 그는 서양의 모더니즘 양식에 큰 관심을 보였다. 최재덕은 이를 순박한 동심으로 구현해 내면서 조선적 미와 융합하고자 꾸준히 노력했으며, 해방을 맞이한 최재덕은 중견 미술가로서 미술의 대중화에 관심을 보였다. 특히 유화 작업을 지속하여 자신만의 작품세계를 더욱 공고하게 구축하는 동시에 장정·삽화 작업을 병행하며 다양한 시도를 계속했다. 그렇지만 월북 이후로는 북한에서 현역 미술가로 활동하며 변화하는 사회 체제에 반응하며 또 한 번의 전환기를 맞이한다. 이처럼 본고는 최재덕의 생애와 작품세계를 상세하게 복원하고, 월북 미술가로만 기억되었던 최재덕을 우리 근대미술의 역사 속에 새롭게 위치하는데 일조하고자 했다. 이는 미술가 최재덕의 개인적인 위상을 다시 정립하는 작업이면서, 한국 근대 화단의 공백을 메워 미술사를 더욱 풍요롭게 한다는 측면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This study is about the artistic world of Choi Jaideok(崔載德, 1916-?), who is Korea’s modern Western artist and a North Korean defector. Choi Jaideok received an art education under sufficient financial support and a well-constructed educational system. Receiving a strong foundational educational system since primary school, he continued his education at an art college in Japan. At this Pacific Art School that did not insist on a method but allowed students to use various style of paintings, he studied Western painting and officially debuted as a painter through 《Joseon Art Exhibition》 held in 1936. After graduation and upon returning to Korea, he took part in several exhibitions, both private and public. When the Joseon New Artists Association was formed in 1941, he established a unique world of work that infused Western modern art with Joseon’s aesthetics. As his works left a great impression on the art society, he became one of the important individuals in Korean modern Painters. After liberation, expressing his claims to advocate centrism, he carried out activities in various art organizations to popularize art. Also, interacting with writers, he expanded his artistic world to include bindings and illustrations. However, as social oppression against centralist artists intensified, Choi Jaideok defected to North Korea during the Korean War. After defecting, as a North Korean artist, he carried out his artwork following the North Korean government’s demand. In the beginning, he cross-sectionally presented how South Korean artists adapt to North Korean society. His artistic achievements in North Korea have been recognized by the Korean Artists Alliance’s official organ and re-evaluated with the process of publishing a revised edition of A Guide to Korean Artists through the Ages in 1999. As discussed, Choi Jaideok’s whereabouts that penetrate Korean modern history make him an important part of Korean modern art. This study’s objective is to comprehensively overview Choi Jaideok’s artistic activities and works to provide an in-depth analysis of his artistic world. Also, making an effort to place an artist who has been overlooked because of a lack of information and being a defective artist in the narrative of modern Korean art history. With increasing public and academic interest in Choi Jaideok, this study contributes to providing a foundation for understanding his artistic contribution in a more comprehensive way. Increasing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