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4 Download: 0

조선 후기~근대 신선로(神仙爐) 연구

Title
조선 후기~근대 신선로(神仙爐)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Sinseollo(神仙爐) in the Late Joseon Dynasty~Modern Period
Authors
이은서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사학과
Keywords
신선로, 神仙爐, 열구자탕,悅口子湯, 음식, 공예, 궁중, 민가, 기념품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장남원
Abstract
본 논문은 신선로의 유래와 인식, 배경과 기록 속 묘사를 통해 기형을 고찰하며, 의궤, 문집 등 다양한 기록물과 음식문화의 전개를 통해 조선 후기부터 근대에 걸친 음식 기물로서 신선로의 연원과 용도에 관해 탐구한다. 전국의 박물관과 개인이 소장한 유물을 포함하면 신선로 유물은 약 150여 점 이상이 남아 있어 조선시대부터 현재까지 신선로가 음식 기물로써 사용되었음을 보여준다. 정확한 제작 연대는 추정하기 어려우나, 조선 전기의 문헌에는‘신선로’라는 용어가 차나 술을 데우는 용도로 기록되었다. 『소문사설(謏聞事說)』(1720년경)에는 신선로가 음식 기물로서 처음 기록되었으며, 신선로의 기형에 대한 설명과 음식 제조 방법이 서술되어 있다. 이후 민가 요리서나 풍속화, 연향의궤(宴享儀軌), 음식 발기 등 다양한 기록에서 신선로는 여러 이름으로 나타난다. 조선 후기부터 민가의 잔칫상에 등장한 신선로는 근대에는 외국인에게 주는 선물 또는 관광기념품으로써 활용되어 조선의 궁중 음식용 기물과 예물로 자리 잡았음을 알 수 있었다. 18세기부터 등장하는 신선로가 오늘날의 음식 및 요리 형태로 발전하게 된 역사적 배경과 그 의미를 살펴보면, 신선로는 전골류에서 시작되어 입을 즐겁게 하는 탕이라는 뜻의 ‘열구자탕(悅口子湯)’으로 발전하였다. 또 궁중과 민가의 잔칫상에서 중요한 음식으로 자리 잡으면서 열구지(悅口旨), 구자(口子), 신선로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었다. 신선로는 돌이나 금속, 유기, 은기, 곱돌 등 다양한 재질로 제작되었다. 크게 몸체, 굽다리, 뚜껑, 연통으로 구성되어있다. 가운데 연통에 재를 둘 수 있고, 주위에 다양한 재료를 담을 수 있는 둥글고 깊은 대합 아래에 화로가 함께 있는 형태로 나타난다. 냄비 혹은 솥이 화로가 함께 있는 형태는 난로, 풍로와 유사하나, 사람들이 음식을 조리하면서 바로 먹는다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신선로는 높이 9cm~25cm, 넓이 10cm~27cm로 소형부터 대형까지 다양한 크기로 제작되었으며, 뚜껑과 몸체에는 식물, 건축, 산수 등 다양한 문양과 나비·박쥐·원형 등 다양한 장식의 손잡이가 장식되었다. 근대에는 신선로가 음식을 담는 실생활 기물뿐만 아니라 혼수품, 관광기념품으로도 제작되었다. 당시 공예품 제작소와 상점인 조선미술품제작소(朝鮮美術品製作所) 및 우미이치상회(海市商會) 등에서 제작되어 포장지, 제작 물품목록에서 그 이미지와 용어가 사용되었다. 이는 신선로가 한국인뿐만 아니라 일본인들과 서양인들에게도 인기 있었음을 보여준다. 또한 조리서, 잡지의 삽화에서도 신선로는 한국 음식을 대표하는 상징으로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The purpose of study examines the origins, recognition, background and deformity of Sinseollo(神仙爐) through its description in records. By examining various documents and food culture, such as Yeonhyang Uigwe(宴享儀軌) and books, this paper explores the origins and uses of Sinseollo as a food utensil from the late Joseon Dynasty to the Modern era. Including artifacts from museums and private collections across the country, there are more than 150 artifacts of Sinseollo, showing that they were used as food utensils from the Joseon Dynasty to the present. Although the exact date of its creation is difficult to estimate, the word "Sinseollo" was recorded in the early Joseon literature as a way to heat tea or alcohol. The first recorded use of Sinseollo as a food utensil was in Somunsaseol(謏聞事說, circa 1720), which describes its deformity and how to prepare food. Later, in various records, such as Genre Paintings(風俗畵), Yeonhyang Uigwe(宴享儀軌), and Eumshik Bal’gi(飮食發記), Sinseollo appeared under different names. Since the late Joseon Dynasty, it has appeared on the table of private households, and in modern period, it has become a staple of Joseon royal’s cuisine and gifts to foreigners and tourist souvenirs. It will analyze the historical background and significance of the evolution of the dish from the 18th century to the present day. From its origins as a hotpot, the dish evolved into “Yeolgujatang(悅口子湯)”, which means "mouth-pleasing soup," and became an important part of loyal and private feasts. It has been called by various names, including Yeolgujatang, Guja(口子), and Sinseollo. They are made of stone or metal, and come in a variety of materials, including brass, silverware, and amphibole. It usually consists of a body, footed, a lid, and a pipe in the center for ashes, with a round Hap(盒, box) around which various ingredients can be placed. A pot or stove with a brazier is similar to Sinseollo, but its main characteristic is that people cook food and eat it immediately. They were made in various sizes from small to large, ranging from 9cm to 25cm in height and 10cm to 27cm in width, and the lid and body were decorated with various patterns such as plants, architecture, and landscape, and handles with various decorations such as butterflies, bats, and circles. In the modern period, the Sinseollo were used not only as practical objects to hold food, but also as wedding souvenirs and tourist souvenirs. At that time, images and terms appeared on the packaging and in the inventories of the craft workshops and shops, such as The Joseon Craftwork Manufactory(朝鮮美術品製作所) and the Heasisanghoe(海市商會). This shows that the Sinseollo was not only popular among Koreans, but also among Japanese and Westerners. In addition, illustrations in cookbooks and magazine show that Sinseollo has become a symbol of Korean foo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