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37 Download: 0

한국 근대 만문만화 연구

Title
한국 근대 만문만화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Modern Manmun Manhwa (unrefined facetious writing and a cut of cartoon, 漫文漫畵) in Korea
Authors
손보라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사학과
Keywords
만문만화, 만화만문, 만문(漫文), 만화(漫話), 안석주, 이갑기, 김규택, 최영수, 이주홍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소연
Abstract
본 연구는 일제강점기 ‘만문만화(漫文漫畵)’의 주제와 형식적 특징을 고찰하여, 이를 통해 근대 시각문화의 발전과정을 폭넓게 조망하려는 목적을 가진다. 만문만화는 우스운 글[漫文]과 만화그림[漫畵]이 결합된 장르로, 주로 세태를 풍자하는 내용을 담는다. 일본과 한국에서만 제작된 특수한 유형의 만화이며, 국내에서는 1920년대부터 1940년대까지 비교적 짧은 기간 동안 왕성하게 제작되었다. 이에 먼저 만문만화에서 나타나는 특징을 토대로 장르적 정의를 고찰하고, 일본에서 비롯한 만화만문을 분석했다. 그리고 국내로 유입되어 만문만화로 정착하는 과정에서, 만문만화를 대하는 일본과 국내의 태도에 차이가 존재했음을 확인했다. 다음으로는 국내 만문만화의 전개 과정을 고찰하기 위해, 대표적인 작가 및 작품을 선별하고 주요 화풍을 분석했다. 1920년대에는 안석주를 중심으로 우리 만문만화의 초기 발전과정을 살펴보았는데, 국내 만문만화의 형식과 화풍 형성에 영향을 미친 재조선일본인의 만화만문과 근대 신문 광고 등을 아울러 고찰했다. 1930년대는 만문만화가 가장 왕성하게 제작되던 시기로, 이갑기, 김규택, 최영수, 안경 등 다양한 작가들의 활동 및 작품세계를 살펴보았다. 특히 근대 사회의 정치적·경제적 상황과 결부되며 에로 그로 넌센스 문화가 만문만화에 미친 영향을 파악했다. 그리고 1940년대에는 전쟁의 분위기가 팽배했던 사회 분위기 아래 만문만화의 주제가 크게 변모되었음을 논하고, 만문만화를 통해 대일협력을 표방한 이주홍을 중점적으로 분석했다. 또한, 이 시기에는 신문과 잡지에 게재되는 만문만화의 형태가 확연히 다른 양상을 보이는 현상을 서술했다. 만문만화는 사진이나 기록보다 상징적·대중적이면서, 동시에 문학적 요소를 겸비한 장르였다. 따라서 사회문제를 대면하는 대중의 심리를 세밀하게 담아낼 수 있다는 차별성을 가진다. 이와 같은 만문만화의 특성에 기초해, 본고는 당시 작가들이 공통적으로 다루었던 정치·경제, 신문화, 대일협력이라는 주제를 차례로 살펴보며, 일제강점기의 사회상을 재고했다. 그리고 만문만화의 기술적, 형식적 측면을 분석함으로써, 신흥미술사조와 영화 촬영기법이라는 인접 분야의 특징이 만화 화면에 어떻게 적용되었는지를 밝혔다. 각별히 만문만화에서는 화면의 크기가 확보되면서 기호가 더욱 적극적으로 사용되었음을 지적하기도 했다. 이와 같이 본 연구는 시대적 변화에 따른 만문만화 주제와 근대 문화·기술의 유입으로 발생한 형식적 변화를 아울러 탐구하고자 했다. 이를 통해 한국 근대 만문만화를 미술사적 관점에서 분류 및 분석함으로써 장르의 특성을 재조명하고, 근대 시각문화의 동향을 파악할 수 있는 새로운 자료로 제시해 보았다. 더하여 만문만화가 당시 사회적 맥락과 어떻게 상호작용하며 전개되었는지, 보다 깊이 있는 시각으로 이해하는 데 다소나마 공헌하고자 한다.;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thematic and formal characteristics of ‘Manmun Manhwa’ introduce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through this, to gain a new understanding of the development of modern art history. Manmun Manhwa is a genre that combines funny texts and drawings to satirize social situations. It is a genre that appears only in Japan and Korea, and was actively produced in Korea for a short time from the 1920s to the 1940s. This study explored the diversification of Manmun's themes over time and the formal changes that occurred due to the introduction of modern culture and technology. In doing so, this study aims to determine the art historical position of Manmun Manhwa and to present them as a new source for identifying trends in modern art scholarship. To this end, this study first examined the genre's definition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Manmun Manhwa and conducted background research on how the Manmun Manhwa form from Japan spread to Korea. Furthermore, in the process of entering Korea in the 1920s and settling into a cartoon,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attitude of Japan and modern Korea toward Manmun Manhwa. Next, in order to examine the development process of Manmun Manhwa in Korea, Manmun Manhwa artists were tracked and their painting style was analyzed by dividing them by period. The 1920s examines the early development of Manmun Manhwa in Korea, focusing on Ahn Seok-ju. To this end, this paper explored the Manhwa Manmun and modern newspaper advertisements of the Japanese residents in Korea, which influenced the formation of the form and style of Korean Manmun Manhwa. The 1930s was the most active period of Manmun Manhwa production, and the activities of various artists such as Lee Gap-gi, Kim Kyu-taek, Choi Young-soo, and Ahn Gyeong were considered. In particular, this paper looked at the impact of the ‘eroticism grotesque, and nonsense’ culture on Manmun Manhwa, which emerged by the political and economic situation in Korea in the modern era. The 1940s focused on Lee Ju-hong, who advocated for pro-Japanese collaboration in the theme, focusing on the influence of the background of the war period on the development of Manmun Manhwa. The study also examined the phenomenon that the forms of Manmun Manhwa published in newspapers and magazines differed significantly. In the process, the study was able to discover and analyze new artists and works in addition to previously known Manmun Manhwa cartoonists. Manmun Manhwa was a genre with more symbolic, popular, and had literary elements than photographs or records at the time. Therefore, it has the distinction of being able to capture the psychology of the public facing social problems in detail. Accordingly, This paper examines the social situation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by selecting topics that were common to artists of the time and dividing them into political-economic, new culture, and pro-Japanese collaboration. Then, by analyzing the technical aspects of Manmun Manhwa, it reveals how new art styles and film production techniques were applied, paying particular attention to the semiotic use of comics. Unlike the early comics, the study analyzed that symbols were utilized more actively in Manmun Manhwa as the size of the screen was secured. In conclusion, This study attempted to contribute to the study of modern art history by rethink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genre by classifying and analyzing modern Korean Manmun Manhwa from an art historical perspective. Beyond evaluating the artistic value of Manmun Manhwa, this study aims to contribute to a deeper understanding of how Manmun Manhwa interacted with the social context of the time and develop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