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3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연미-
dc.contributor.author고은비-
dc.creator고은비-
dc.date.accessioned2024-08-19T16:31:21Z-
dc.date.available2024-08-19T16:31:21Z-
dc.date.issued2024-
dc.identifier.otherOAK-000000232629-
dc.identifier.urihttps://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232629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68751-
dc.description.abstract본고는 1395년에 조성되어 1407년에 개금이 이루어진 영덕 장육사 건칠관음보살좌상을 총체적으로 고찰한 논문이다. 영덕 장육사 건칠관음보살좌상은 조선 건국 직후 건칠 기법을 활용하여 조성된 건칠 불상이며, 동시에 복장발원문 겸 개금중수기가 온전하게 전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단독 연구 대상으로 주목받지 못한 불상이라는 데에서 시작되었다. 여말선초기의 기년명 불상이 현격히 적은 상황에서 영덕 장육사 건칠관음보살좌상의 존재는 여말선초 불교 조각의 양식, 특정 시기에 편향되어 조성된 건칠 불상의 제작기법, 복장발원문을 통해 확인되는 여말선초기의 관직 제도 등을 규명하는 데 도움이 된다. 그렇기에 단편적으로나마 영덕 장육사 건칠관음보살좌상의 제작기법, 양식을 중점에 둔 연구가 선행되었다. 하지만 여전히 영덕 장육사 건칠관음보살좌상의 복장발원문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는 진행된 바가 없어, 본고에서 앞서 개진된 연구를 참고하는 동시에 새로이 찾아낸 바를 제시하였다. 먼저 영덕 장육사 건칠관음보살좌상의 조형적 이해를 위해 제작기법과 양식을 분석하였다. 베(布)와 옻칠을 겹겹으로 쌓는 일반적인 건칠 불상과 달리, 영덕 장육사 건칠관음보살좌상은 베와 옻칠을 하나의 반죽 덩어리로 만들어 조성한 상으로 건칠 불상 중에서도 독특한 사례임을 재확인하였다. 더불어 양식적으로는 상호 표현과 착의법, 영락 장식 및 보관 형태를 통해 고려 중·후기 불상 양식을 계승하였다고 판단했다. 본고에서는 영덕 장육사 건칠관음보살좌상의 특징을 파악하기 위해 복장발원문을 중점에 두었다. 복장발원문은 불상의 조성 시기와 조성에 참여한 사람들의 이름, 불상을 조성하는 불교적 서원 등을 종이나 직물에 쓴 것으로 불상 조성 경위를 파악할 수 있어 사료적 가치가 매우 크다. 영덕 장육사 건칠관음보살좌상의 복장발원문에서도 역시 조성 목적, 발원자, 간선비구, 조성 시기, 개금 관련 기록 등이 확인되어 장육사 상의 조성 경위를 파악할 수 있다. 장육사 상의 발원문을 통해 제기되는 의문은 크게 두 가지로, 첫째는 60~100년 정도의 주기를 두고 개금하는 불상이 어째서 12년 만에 개금 불사를 열었냐는 것이다. 둘째로는 관음보살상을 조성하면서 발원문에는 “미륵 친견”을 염원한 이유이다. 본고에서는 두 의문을 중심으로 발원문을 재분석한 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 번째, 장육사 상의 원봉안처가 영해 위장사(寧海 葦長寺)임을 제시하였다. 이 위장사는 고려시대에 나라의 도성을 비보하는 비보사사(裨補寺社)로 지정되었으며, 조선 태종 대에 들어와서 다시 비보사찰의 범주에 속하는 자복사(資福寺)에 지정되었던 사찰이다. 비록 자복사는 세종대에 철폐되지만, 고려부터 조선 태종 대에 걸쳐서 영해 위장사는 나라를 비보하는 역할을 담당했다. 영해 위장사가 자복사로 지정된 시기는 1407년으로 관음보살좌상의 개금 불사가 이루어진 시기와 일치한다. 따라서 1395년 조성 이후 겨우 12년이 지난 뒤에 개금 불사가 이루어진 배경으로 영해 위장사의 자복사 지정을 제시하고자 했다. 두 번째로는 장육사 상의 발원문에 등장하는 발원 목적이 실제 발원 동기와 일치하지 않고 통상적인 문구임을 밝혔다. 영덕 장육사 건칠관음보살좌상의 발원문 중에는 전쟁이 그치기를 바란다는 문구가 등장한다. 이에 선행된 연구에서는 당시 왜구의 침략이 끊이지 않았던 영해 지역의 사람들이 다 함께 병란(兵亂)이 그치기를 바라며 발원에 참여했다고 설명되어왔다. 하지만 전쟁이 그치기를 바라는 문구는 고려 초기부터 꾸준하게 등장하였으며 상대적으로 평화로운 시기에도 확인된다. 발원문 문구 중에는 황제나 왕, 왕비, 세자 등의 안녕을 비는 문구도 금석문을 비롯한 여러 기록에서 출현한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전쟁이 그치기를 바란다는 문구가 꼭 당시 상황과 결부되어 표기된 것이 아닌 황실 및 왕실의 안녕을 비는 문구와 마찬가지로 통상적인 구성이었음을 제시하였다. 세 번째, 장육사 상의 조성에 관여한 주요인물들이 이미 다른 불사에서 함께한 이력이 있으며, 천태종 사상과 미륵 신앙이 상의 조성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에 대해 새롭게 분석하였다. 장육사 상을 발원한 공덕주 백진(白瑨)은 간선비구(幹善比丘)로 참여한 승부(勝浮)와는 이미 경상북도 상주 공덕산(功德山)의 미륵암 중창 불사를 통해 연을 맺었다. 경상북도 상주 공덕산에는 대승사와 동백련사라는 사찰이 있었는데 이 모두 천태종의 신앙 결사인 백련결사와 깊은 관련이 있고, 이에 미륵암 역시 천태종 소속의 암자였을 것으로 짐작했다. 동시에 영덕 장육사 건칠관음보살좌상의 발원문에서 등장하는 미륵 친견과 미륵암의 마애불은 모두 미륵불이라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두 불사에 모두 참여한 간선비구 승부와 승부의 종파였을 천태종 및 백련결사의 사상에 미륵 신앙이 연관되었을 것으로 추정했다. 백련결사에서는 성립 당시부터 아미타불의 서방극락정토로 회향(廻向)을 염원했다. 그런데 여말선초기에 이르러 백련결사에서 미륵불을 중점적으로 신앙하고, 또 미륵정토로 회향을 염원하게 된 데에는 부암운묵 무기의 저술 『釋迦如來行蹟頌』과 조구의 『慈悲道場懺法集解』가 여말선초기의 천태종 사상 전반에 거대한 영향력을 미쳤기 때문이라고 추정해보았다.;This paper is a comprehensive study on the Dry-lacquered Seated Avalokitesvara Bodhisattva of Jangyuksa Temple in Yeongdeok, created in 1395 and regilded in 1407. The statue, produced using the dry lacquer technique shortly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Joseon Dynasty, has not received individual scholarly attention despite its significance, including the intact transmission of its related document detailing its creation and regilding. In the context of the scarcity of dated Buddhist statues from the late Goryeo to early Joseon period, the existence of this statue aids in elucidating the stylistic elements of Buddhist sculpture from this transitional era, the biased production techniques of dry lacquer statues during specific periods, and the bureaucratic systems of the late Goryeo to early Joseon period as evidenced through the related document, which serves as a dedicatory inscription—a letter of vow, aspiration, or invocation. Therefore, initial studies focusing on the production techniques and stylistic features of the Dry-lacquered Seated Avalokitesvara Bodhisattva of Jangyuksa Temple have been conducted. However, there has been no in-depth discussion on the related document of this statue. This paper aims to present new findings while referring to previous studies. Firstly, the production techniques and styles were analyzed to understand the formation of the statue. Unlike typical dry lacquer statues, which layer cloth and lacquer, this statue was created by forming a single mixture of cloth and lacquer, marking it as a unique example among dry lacquer statues. Stylistically, it was determined to inherit the sculptural styles of the mid-to-late Goryeo period through the expression of the face, the dressing method, the decorative ornaments, and the crown form. This paper emphasizes the related document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the Dry-lacquered Seated Avalokitesvara Bodhisattva of Jangyuksa Temple. The related document, written on paper or cloth, includes the creation period, the names of participants, and the Buddhist vows, making it a valuable historical resource. The related document of the statue also confirms the creation purpose, the initiator, the supervising monk, the creation period, and records related to regilding, providing insight into the statue's creation process. Two main questions arise from the document: firstly, why was the statue regilded only 12 years after its creation when such statues are typically regilded every 60-100 years, and secondly, why does the vow mention "Chingyeon (Having the honor of a personal and intimate encounter) with Maitreya" despite the statue being of Avalokitesvara. To address these questions, this paper presents the following analyses: First, it suggests that the original enshrinement site of the statue was Wijangsa(葦長寺) Temple in Yeonghae(寧海). This temple was designated as a protective temple for the nation's capital during the Goryeo period and later as a Jabok Temple(資福寺) under King Taejong of Joseon. Although Jabok Temples were abolished during King Sejong's reign, Wijangsa Temple played a role in protecting the nation from the Goryeo period through King Taejong's reign. Wijangsa Temple was designated as a Jabok Temple in 1407, coinciding with the regilding of the Avalokitesvara statue. Hence, the designation of Wijangsa Temple as a Jabok Temple is proposed as the background for the regilding just 12 years after its creation. Second, it is revealed that the vow's purpose in the related document does not align with the actual motivation, instead following conventional phrasing. The document includes a phrase wishing for the end of war. Previous research explained this as the participation of the people of Yeonghae, who suffered from frequent invasions by Japanese pirates, in the vow wishing for peace. However, such phrases have consistently appeared since early Goryeo, even during relatively peaceful times. Phrases wishing for the well-being of the emperor, king, queen, and crown prince also frequently appear in epigraphs and other records. Thus, this paper argues that the phrase wishing for the end of war was a conventional expression, akin to wishing for the well-being of the royal family. Third, the paper analyzes the involvement of key figures in the creation of the statue and the possible influence of Cheontae(Tiantai, 天台) Buddhism and Maitreya faith on the statue's creation. The benefactor Baek Jin, who initiated the statue's creation, had previously collaborated with the supervising monk Seungbu in the reconstruction of Mireukam Hermitage on Gongdeoksan Mountain in Sangju, Gyeongsang-do. The hermitage was associated with Cheontae Buddhism's Baekryeon(白蓮) Association. The related document of the statue mentions "Chingyeon with Maitreya," aligning with the Maitreya faith evidenced in the rock-carved Buddha at Mireukam Hermitage. Therefore, it is inferred that Cheontae Buddhism and the Baekryeon Association, to which Seungbu belonged, influenced the creation of the statue with Maitreya faith elements. The Baekryeon Association, since its inception, aspired to the Western Pure Land of Amitabha. However, during the late Goryeo to early Joseon period, the association shifted focus to the veneration of Maitreya and the aspiration for Maitreya's Pure Land. This shift is attributed to the significant influence of works like “Seockga yeorae haengjeoksong(釋迦如來行蹟頌)” by Buam-Unmuk Mugi and “Commentaries on Jabi doryang chambeop (Repentance Ritual of the Great Compassion, 慈悲道場懺法集解)” by Mugi on Cheontae Buddhism during this perio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머리말 1 Ⅱ. 영덕 장육사 건칠관음보살좌상의 제작과 양식 5 A. 장육사 건칠관음보살좌상의 현황과 제작기법 5 B. 장육사 건칠관음보살좌상의 양식 15 Ⅲ. 영덕 장육사 건칠관음보살좌상의 발원문과 원봉안처 32 A. 발원문과 발원자 검토 33 B. 원봉안처의 다각적 검토 50 Ⅳ. 천태종 사찰로써 미륵암과 미륵-관음 신앙 71 A. 공덕주 백진과 상주 공덕산(尙州 功德山)의 천태종 사찰 71 B. 천태종 저작물 속 미륵신앙의 등장 82 C. 미륵-관음의 결합과 고려 천태종으로의 이식 90 Ⅴ. 맺음말 97 참고문헌 101 삽도 목록 113 도판 목록 116 도판 119 부록 130 ABSTRACT 14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983621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영덕 장육사, 건칠불상, 천태종, 미륵신앙, 여말선초-
dc.subject.ddc700-
dc.title盈德 莊陸寺 乾漆觀音菩薩坐像 硏究-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Dry-lacquered Seated Avalokitesvara Bodhisattva of Jangyuksa Temple, Yeongdeok-
dc.creator.othernameKo, Eunbi-
dc.format.pagev, 14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미술사학과-
dc.date.awarded2024.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