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7 Download: 0

김구림의 초기 작업(1958-1970)에 나타난 전위의식 연구

Title
김구림의 초기 작업(1958-1970)에 나타난 전위의식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Avant-Garde Consciousness in Ku-Lim Kim's Early Works(1958-1970)
Authors
김민지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사학과
Keywords
김구림, 전위의식, 아방가르드, 실험미술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은영
Abstract
본 논문은 김구림(金丘林, 1936-)의 초기 작업(1958-1970)에 나타난 전위의식을 분석한 연구이다. 1960년대 중후반 한국 미술계는 동시대 국제적 동향에 상응하여 실험적 욕구가 분출하고 있었고, 이 시기 김구림은 오브제(object) 미술, 옵티컬 아트(optical art), 신체 미술(body art)을 비롯하여 대지미술(land art)과 해프닝(happening), 실험영화, 연극 등과 같은 탈(脫)평면적인 작업을 전개하였다. 또한 김구림은 1960년대 결성된 단체인 ‘회화68’을 비롯해 ‘AG’와 ‘제4집단’에서 활동하면서 실험적인 미술을 발전시켰으며, 이를 통해 전통적인 미술계의 관습과 체제에 도전하고자 했다. 1960년대 한국은 4.19혁명과 5.16군사정변이 발발하고, 반공과 민주주의 이데올로기가 공존하던 시기로 사회 문화적 저항 담론이 사회 각 영역에서 표출되고, 대규모 투쟁이 촉발하던 격변의 시기였다. 이는 미술계에도 영향을 끼쳐 사회현실로부터 괴리된 앵포르멜에 반발하는 움직임이 등장하기 시작하였고, 그 결과 1960년대 중후반 한국 실험미술이 태동하게 되었다. 한국 실험미술은 1960-70년대 나타난 오브제와 설치, 해프닝과 행위예술, 영화 등을 포괄하는 탈(脫)회화적인 작업을 의미했으며, 여러 단체들이 등장해 전위적인 실천을 모색하며 발전하였다. 1960년대 젊은 미술가들이 연합한 다양한 단체들은 대항문화적 미술 경향을 추구하며, 반(反)예술적이면서 현실 인식과 연관된 실천 방안들을 전개해 나갔다. 이와 같은 시대적 상황 속에서 김구림은 동시대의 아방가르드 미술 경향을 국내 상황에 맞게 수용하고 재해석하는 시도를 보여주었다. 나아가 그는 실험적인 작업을 통해 제도권 내의 기성 미술계와 당대 한국 사회의 부조리에 대해 비판적 메시지를 표명하고자 했다. 따라서 김구림의 초기 작업은 외부 세계와 단절된 추상회화에 저항하는 반(反)형식주의적 실천이자 나아가 한국의 특수한 정치 사회적 상황 속에서 표출된 기성 관습과 제도에 대한 비판의식의 발현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김구림이 그의 초기 작업에 형식상의 실험과 더불어 기성 미술계와 사회현실에 대한 시대적 발언을 표명했다는 점에 주목하고, 그의 작업에 나타난 전위의식을 여러 측면에서 규명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본고는 김구림의 초기 작업을 세 가지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먼저, 김구림은 산업 재료를 비롯하여 전기, 빛, 신체 등을 작품에 활용함으로써 재료와 매체의 영역을 확장하였는데, 이는 형식주의 모더니즘을 탈피하고자 한 시도였다. 다음으로 김구림은 제도 공간을 벗어나 특정 장소와 환경 속에서 대지미술과 제도비판 미술을 전개함으로써 예술과 일상의 경계를 해체하고자 했다. 더불어 작가는 메일아트를 비롯한 관객 참여 중심의 행위예술을 제작하여 세상과 분리된 채 미적 가치만을 추구하는 엘리트주의에 도전하고자 했다. 마지막으로 김구림은 실험영화를 제작하고 다양한 예술 분야가 결합된 총체예술을 추구함으로써 각 예술 장르의 경계를 허물고자 했으며, 이를 통해 급격한 산업화로 인한 사회문제와 전위예술을 탄압하는 문화 전반에 대해 시대적 담론을 형성하고자 했다. 이와 같은 분석을 통해 본 연구는 김구림의 초기 작업이 동시대 아방가르드 경향의 미술을 한국의 사회 문화적 상황에 맞게 수용하고 발전시킨 전위미술임을 밝히고자 했다. 더 나아가 본고는 김구림의 작업에 나타난 조형적 실험과 더불어 미술계 내외부에 표명한 비판적 담론의 형성 과정을 분석함으로써 그의 초기 작업에 드러난 전위의식의 양가적인 측면, 즉 형식적인 측면과 내용적인 측면을 포괄하여 규명하고자 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김구림의 작업에 드러난 전위의식을 실험적인 형식과 더불어 기성 미술계와 사회현실에 대한 비판의식까지 포함하여 다각적으로 조망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This study analyzes the avant-garde consciousness manifested in the early works(1958-1970) of Ku-Lim Kim(1936-). In the mid-to-late 1960s, the Korean art scene experienced a surge of experimentation in response to contemporary international trends. During this period, Ku-Lim Kim developed works that transcended traditional two-dimensional planes, including object art, optical art, body art, land art, happenings, experimental films, and theater. In addition, Ku-Lim Kim actively engaged in experimental art groups such as "Painting 68," "AG," and "The Fourth Group" formed in the 1960s, challenging the conventions and systems of the traditional art world. Korea in the 1960s was a period of profound upheaval marked by the April 19 Revolution and the May 16 military coup. The coexistence of anti-communist and democratic ideologies fueled socio-cultural resistance across various sectors and widespread protests. These influences inevitably impacted the art world, as movements against the socially detached Informel style gained momentum. Consequently, Korean experimental art was born in the mid-to-late 1960s. This movement encompassed works that moved beyond the canvas, including objects, installations, happenings, performance art, and films. Numerous groups emerged, exploring and developing avant-garde practices. Various young artists’ collectives formed in the 1960s pursued counter-cultural art trends, engaging in anti-art practices connected to social awareness. In this context, Ku-Lim Kim demonstrated attempts to adapt and reinterpret contemporary avant-garde trends to fit the domestic situation. Moreover, through his experimental works, he sought to express critical messages against the established art world and the injustices of Korean society at the time. Therefore, Ku-Lim Kim's early works can be seen as anti-formalist practices that challenged abstract painting's detachment from reality and, furthermore, as manifestations of a critical consciousness against established norms and institutions expressed within the specific political and social context of Korea. This study focuses on the formal experimentation in Ku-Lim Kim's early works, along with statements about the established art world and social realities, and aims to elucidate the avant-garde consciousness manifested in his works from various perspectives. In particular, this study analyzes Ku-Lim Kim's early works by dividing them into three aspects. First, Ku-Lim Kim expanded the realm of materials and mediums by utilizing industrial materials, electricity, light, and the body in his works, which was an attempt to break away from formalist modernism. Second, Ku-Lim Kim sought to dismantle the boundaries between art and everyday life by developing land art and institutional critique art outside of institutional spaces, within specific locations and environments. Additionally, the artist created mail art and participatory performance art to challenge elitism, which pursued aesthetic value in isolation from the world. Lastly, Ku-Lim Kim sought to break down the boundaries between art genres by producing experimental films and pursuing a total work of art that combines various artistic disciplines. Through these endeavors, he aimed to form a discourse on social issues arising from rapid industrialization and the cultural suppression of avant-garde art. Based on this analysis,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Ku-Lim Kim's early works are avant-garde art that adapted and developed contemporary avant-garde trends in accordance with the Korean socio-cultural context. Moreover, this study examines the formation process of critical discourse expressed both within and outside the art world, along with the formal experimentation in Ku-Lim Kim's works. The goal is to comprehensively identify the dual aspects of his avant-garde consciousness manifested in his early works, encompassing both form and content. Therefor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its multifaceted examination of the avant-garde consciousness revealed in Ku-Lim Kim's works, including not only experimental forms but also his critical awareness of the established art world and social realiti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