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양옥경-
dc.contributor.authorJin, Kexin-
dc.creatorJin, Kexin-
dc.date.accessioned2024-08-19T16:31:20Z-
dc.date.available2024-08-19T16:31:20Z-
dc.date.issued2024-
dc.identifier.otherOAK-000000232198-
dc.identifier.urihttps://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232198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68745-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기혼여성의 일-가정 양립 갈등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일-가정 양립 갈등과 우울 간의 관계에서 부부관계에 따른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도출된 연구 결과를 토대로 기혼여성의 일-가정 양립 갈등으로 인하여 우울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사회복지 분야의 개입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기혼여성의 일-가정 양립 갈등이 우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부부관계는 일-가정 양립 갈등과 우울 관계에사 조절효과가 있는지는 것이라는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실시한 한국복지패널 2021년 16차년도 페널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최종 기혼여성 1766명을 대상으로 추출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변수 간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SPSS26.0 통계 프로그램과 PROCESS Marco 4.2 이용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분석한 결과, 기혼여성의 일-가정 양립 갈등은 우울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혼여성의 일-가정 양립 갈등과 우울 간의 관계에서 부부관계가 긍정적인 영향을 완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거시적 측면에서는 성평등 정책과 제도를 통해 성평등 문화홍보를 강화하고 사회의 성 포용성을 높이는 것이 필요하다. 중시적 측면에서 부부관계 증진에 도움이 되는 것에 관한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미시적 측면에서 부부간에 서로 지지하고 합리적으로 분업할 필요가 있다. 후속 연구에서는 연령대별 기혼여성을 대상으로 분석할 뿐만 아니라 기혼여성 중 배우 사별과 별거의 경우, 한부모여성의 경우도 분석 및 검증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본 연구는 한국복자패널 2021년의 데이터를 활용함으로써 코로나19 전후 기혼여성의 우울 변화에 대한 종단적 분석 및 검증도 중요하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effect of work-family balance conflict on depression of married women and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according to the marital relationship i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family balance conflict and depression. Based on the derived research results, we would like to propose an intervention plan in the field of social welfare to prevent married women from negatively affecting depression due to work-family balance conflict. Based on previous studies, a research question was established on how married women's work-family balance conflict affects depression, and whether marital relationships have a moderating effect on work-family balance conflicts and depression relationships. To this end, this study used panel data from the 16th year of the Korean Welfare Panel 2021 conducted by th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It was extracted and analyzed from 1766 final married women. In order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in variables of this study, we will analyze using the SPSS 26.0 statistical program and PROCESS Marco 4.2.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work-family balance conflict of married women had a negative effect on depression.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marital relationships alleviated the positive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family balance conflict and depression of married women. Based on these results,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On the macroscopic level,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promotion of gender equality culture and to increase gender inclusion in society through gender equality policies and institution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program about what is helpful in promoting marital relations in an important aspect. From a micro perspective, it is necessary to support each other and reasonably divide the labor between couples. In the follow-up study, it is necessary not only to analyze married women by age group, but also to analyze and verify the case of single-parent women in the case of bereavement and separation among married women. In addition, this study is important to analyze and verify the longitudinal changes in depression of married women before and after COVID-19 by using data from the Korean Welfare Panel 2021.-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문제제기 및 연구필요성 1 B. 연구의 목적 4 Ⅱ. 선행연구 고찰 5 A. 우울 5 1. 우울의 개념 5 2. 기혼여성의 우울 7 B. 일-가정 양립 갈등 9 1. 일-가정 양립 갈등의 개념 9 2. 기혼여성의 일-가정 양립 갈등 10 3. 기혼여성의 일-가정 양립 갈등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12 C. 부부관계 14 1. 부부관계의 개념 14 2. 일-가정 양립 갈등과 우울 관계에서 부부관계 조절효과 16 D.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기타 요인 19 Ⅲ. 연구방법 21 A. 연구모형 21 B. 분석자료 및 분석대상 22 C. 주요변수의 선정 23 D. 분석방법 26 Ⅳ. 연구결과 27 A. 인구사회학적 특성 27 B. 일-가정 양립 갈등, 우울, 부부관계의 특성 29 C. 일-가정 양립 갈등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31 D. 일-가정 양립 갈등과 우울의 관계에서 부부관계의 조절효과 33 Ⅴ. 결론 36 A. 요약 및 논의 36 B. 연구의 함의 38 C.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 41 참고문헌 42 ABSTRACT 5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7193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기혼여성, 일-가정 양립 갈등, 우울, 부부관계-
dc.subject.ddc300-
dc.title기혼여성의 일-가정 양립 갈등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부부관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Effects of Work-Family Balance Conflict on Depression of Married Women: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marital relationships-
dc.format.pagev, 5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회복지학과-
dc.date.awarded2024.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