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 Download: 0

청소년의 온라인 성폭력 피해가 온라인 성폭력 가해에 미치는 영향

Title
청소년의 온라인 성폭력 피해가 온라인 성폭력 가해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impact of online sexual violence victimization on adolescent online sexual violence perpetration: the moderating effects of parental and peer relationships
Authors
정희선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Keywords
청소년, 온라인성폭력피해, 온라인성폭력가해, 부모관계, 또래관계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익중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온라인 성폭력 피해가 온라인 성폭력 가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확인하고, 그 관계에서 부모관계와 또래관계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의 온라인 성폭력 피해가 온라인 성폭력 가해로 이어지지 않도록 부모관계와 또래관계의 수준을 높이기 위한 사회복지적 개입방안을 제언하였다. 본 연구는 2021년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아동·청소년 대상 디지털 성범죄 현황 및 대응방안 연구에서 활용한「아동·청소년 대상 디지털 생활 실태조사」데이터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중학생과 인문계 고등학생의 자료 가운데 본 연구의 주요변수와 관련한 응답 중 무응답과 결측 응답을 제외한 1,192명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는 IBM SPSS Statistics 29.0 프로그램과 PROCESS MACRO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이에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온라인 성폭력 피해경험, 온라인 성폭력 가해경험, 부모관계, 또래관계 변인의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온라인 성폭력 피해경험과 온라인 성폭력 가해경험은 p<.001 수준에서 서로 정적(+)으로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온라인 성폭력 피해경험은 부모관계와 p<.001 수준에서 서로 부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래관계와 p<.05 수준에서 서로 부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온라인 성폭력 가해경험은 부모관계와 p<.001 수준에서 서로 부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래관계와 p<.001 수준에서 서로 부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온라인 성폭력 피해경험과 온라인 성폭력 가해경험 간의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청소년의 온라인 성폭력 피해경험이 증가할수록 온라인 성폭력 가해경험이 증가한다는 것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확인하였다. 셋째,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온라인 성폭력 피해경험과 온라인 성폭력 가해경험의 관계에 있어 부모관계의 조절효과를 확인하였으며, 부모관계의 상호작용항에서 유의미한 조절효과를 나타냈다. 온라인 성폭력 피해경험이 낮은 경우에는 부모관계가 온라인 성폭력 가해경험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온라인 성폭력 피해경험이 증가하면 부모관계의 수준이 낮을수록 온라인 성폭력 가해경험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온라인 성폭력 피해경험과 온라인 성폭력 가해경험의 관계에 있어 또래관계의 조절효과를 확인하였으며, 또래관계의 상호작용항에서 유의미한 조절효과를 나타냈다. 온라인 성폭력 피해경험이 낮은 경우에는 또래관계가 온라인 성폭력 가해경험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온라인 성폭력 피해경험이 증가하면 또래관계의 수준이 낮을수록 온라인 성폭력 가해경험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한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온라인 성폭력 피해경험은 온라인 성폭력 가해경험에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온라인 성폭력 피해경험이 최소화 될 수 있도록 안전한 온라인 안전망 구축과 함께 온라인 성범죄 관련 중앙 전담기구의 설치의 필요성이 강조된다. 둘째, 청소년의 온라인 성폭력 피해경험이 감소될 수 있도록 청소년과 밀접 접촉하는 대상 및 기관을 대상으로 성인지 교육,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을 포함한 온라인 성범죄 예방교육 및 프로그램이 수행되어야 한다. 셋째, 부모관계가 온라인 성폭력 피해경험과 온라인 성폭력 가해경험과의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갖는다는 점에서 부모관계의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의 개발 및 활성화가 필요하다. 특히 온라인 성폭력 피해경험이 있는 청소년 중 가족 구조의 변화 또는 위기 상황으로 인하여 부모관계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 가족상담, 개인상담, 사례관리를 통한 주기적인 점검을 통해 부모관계의 회복을 지원해야한다. 넷째, 또래관계가 온라인 성폭력 피해경험과 온라인 성폭력 가해경험과의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갖는다는 점에서 학교 사회복지차원에서는 집단적 차원의 개입을 바탕으로 또래관계 증진에 중점을 둔 프로그램이 운영이 필요하며, 특히 온라인 성폭력 피해경험이 있으며 또래관계에 어려움을 겪는 청소년에 대해서는 사례관리를 통해 모니터링을 실시하고. 또래와의 갈등해소 방법 교육, 공감능력 향상 프로그램, 또래 상담운영 등을 통한 적극적인 개입이 강조된다. 지역사회의 실천현장에서는 다양한 문화프로그램이나 체육활동 등 여가의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긍정적인 또래관계 형성을 위한 기회의 장을 마련해야 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mpact of online sexual violence victimization on online sexual violence perpetration among adolescents and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s of parental and peer relationships in this relationship. This study was conducted using IBM SPSS Statistics 29.0 program and PROCESS MACRO program to analyze 1,192 respondents, excluding non-response and missing responses, from the data of the 「Survey on Digital Life of Children and Adolescents」, which was used in ‘A Study on of Digital Sex Crimes Against Child and Youth in Korea : Status and Countermeasures' by the Korea Youth Policy Research Institute in 2021, and the data of junior high school students and high school students in the humanitie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online sexual violence victimization was positively and significantly related to online sexual violence perpetration. Online sexual violence victimization was negatively and significantly related to parental and peer relationships. Online sexual violence perpetration is negatively and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parental relationships and peer relationships. Second, online sexual violence perpetration increases as online sexual violence victimization increases. Third, parental relationship has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nline sexual violence victimization and online sexual violence perpetration. When online sexual violence victimization was low, parental relationship had little effect on online sexual violence perpetration, but when online sexual violence victimization increased, lower levels of parental relationship were associated with increased online sexual violence perpetration. Fourth, peer relationships have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nline sexual violence victimization and online sexual violence perpetration. When online sexual violence victimization was low, peer relationships had little effect on online sexual violence perpetration, but when online sexual violence victimization increased, lower levels of peer relationships were associated with increased online sexual violence perpetration.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recommend social interventions to increase the quality of parental and peer relationships to prevent adolescents' online sexual violence victimization from leading to online sexual violence perpetr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