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지연-
dc.contributor.author최미진-
dc.creator최미진-
dc.date.accessioned2024-08-19T16:31:10Z-
dc.date.available2024-08-19T16:31:10Z-
dc.date.issued2024-
dc.identifier.otherOAK-000000232374-
dc.identifier.urihttps://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232374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68684-
dc.description.abstract현재 국내 학교 현장에서는 많은 학생들이 정서 및 행동상의 어려움으로 인해 지원을 필요로 한다. 학교 내 학생들의 행동 문제를 예방하고 적절한 행동을 촉진하는 학교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은 점차 우리나라에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국내 학교에서는 교사의 전출입이 잦고 대규모 학교가 많이 존재하는 등의 이유로 지속적인 학교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 실행이 쉽지 않기 때문에 이에 대한 대안으로 학년 혹은 학급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을 고려할 수 있다. 많은 교사들이 학교에서 긍정적 행동지원을 실시하는 것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인식하지만 실행도가 낮은 실정이다. 모든 학생들의 학교 적응을 위한 유용한 실제인 학교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이 학교 현장에서 실질적으로 실행되지 못하고 있는 점을 고려할 때, 교사들이 학급 학생들을 대상으로 긍정적 행동지원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교사 지원이 필수적이다. 이에 본 연구는 초·중학교 특수교사 및 통합학급 담임교사에게 학급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 관련 전문성 개발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그 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A시 소재 초등학교 혹은 중학교에 재직 중인 특수교사와 통합학급 담임교사 20명(실험집단 10명, 통제집단 10명)이다. 실험집단 교사들을 대상으로 6회기 집단 연수와 4회기 개별 컨설팅이 진행되었다. 연수의 내용은 학급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 개관, 보편적 지원 관련 이론과 실제, 개별 지원 학생을 위한 구체적인 실행방법으로 구성하였고, 연수는 지식과 사례 전달 중심의 강의와 각 학급에서 적용할 수 있는 실행 연습 및 실천과제 제시로 총 60분간 실시되었다. 컨설팅은 각 연구 참여자에게 개별적으로 실시하였으며 각 학급의 특성에 알맞게 긍정적 행동지원을 실행하고 문제해결을 해나갔다. 학급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 관련 전문성 개발 프로그램이 교사들의 효능감 및 학급관리실행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기 위해 실험집단 교사들과 통제집단 교사들의 사전사후 차이점수를 두 독립표본 t 검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양적인 자료 외에 학급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 관련 전문성 개발 프로그램을 통한 교사와 학생의 변화에 대한 연구 참여 교사들의 인식은 어떠한지 질적 분석을 하기 위해 포커스 그룹 면담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이 실시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급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 관련 전문성 개발 프로그램에 참여한 교사의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실험집단 교사들의 효능감 변화 정도가 통제집단 교사들의 변화 정도보다 유의하게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교사효능감의 모든 하위영역에서도 마찬가지였다. 이를 통해 학급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 관련 전문성 개발 프로그램이 특수교사 및 통합학급 담임교사의 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학급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 관련 전문성 개발 프로그램에 참여한 교사의 학급관리실행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실험집단 교사들의 학급관리실행 변화 정도가 통제집단 교사들의 변화 정도보다 유의하게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학급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 관련 전문성 개발 프로그램이 특수교사 및 통합학급 담임교사의 학급관리실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학급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 관련 전문성 개발 프로그램을 통한 교사와 학생의 변화에 대한 연구 참여 교사들의 인식을 질적으로 분석한 결과 ‘교사의 변화’, ‘학급 및 학생의 변화’의 2가지 대주제와 그에 따른 5개의 하위주제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초·중학교 특수교사 및 통합학급 담임교사를 대상으로 학급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 관련 전문성 개발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그에 따라 교사들의 효능감 및 학급관리실행 능력이 향상되었음을 입증한 점, 교사들이 학급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을 효과적으로 실행할 수 있도록 컨설팅이라는 방법을 활용한 점, 연구 참여자로 통합학급 담임교사를 포함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Many students in schools need support due to emotional and behavioral difficulties. School-wide positive behavior support, which prevents students' behavioral problems in schools and promotes appropriate behavior, is receiving increasing attention in Korea. However, it is difficult to implement school-wide positive behavior support continuously in Korean schools, so positive behavioral support at the grade or class wide can be considered as an alternative. Many teachers recognize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providing positive behavior support in schools, but there is not much implementation. Considering that positive behavior support is a useful practice for all students' adaptation to school, but is not actually implemented in schools, it is essential to provide teacher support to enable teachers to implement positive behavior support for students in their classes. Therefore, this study conducted class-wide positive behavioral support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to general special teachers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and analyzed the effects. Twenty teachers working at elementary or middle schools(10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10 in the control group) were selected as participants in the study. Six sessions of training and four sessions of individual consulting were conducted for the experimental group teachers. The content of the training includes an overview of class-wide positive behavior support, theories and practices related to universal support, and specific support methods for individual support students. The training was conducted for a total of 60 minutes, with lectures centered on knowledge and case delivery, as well as practical practice and presentation of practical tasks that can be applied to each class. Consulting was conducted individually for each participant, and the implementation of positive behavior support was support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lass. In order to determine how class-wide positive behavior support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affects teachers' sense of efficacy and classroom management practice after completing the program, a two-independent sample t test was used to measure the pre-post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teachers and the control group teachers. In addition to quantitative data,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qualitatively analyze the perceptions of teachers participating in the study on changes in teachers and stud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ducted in this wa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of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class-wide positive behavioral support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on the efficacy of teachers, the degree of change in the efficacy of teachers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greater than that of teachers in the control group, and this was the same in all sub-areas of teacher efficacy. Through this, it was confirmed that class-wide positive behavior support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efficacy of teachers.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of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class-wide positive behavioral support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on class management practices, the degree of change in the classroom management practices of the experimental group teachers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great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teachers. Through this, it was confirmed that class-wide positive behavior support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classroom management practices of teachers. Third, as a result of a qualitative analysis of the perceptions of teachers participating in the study on the impact of class-wide positive behavior support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on teachers and students, it was derived into two main topics:‘teacher’s change’and ‘support demand for the implementation of positive behavioral support’and five sub-themes accordingly.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vides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on class-wide positive behavior support for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pecial teachers and general teachers, demonstrates that teachers' efficacy and class management implement ability have improved accordingly, uses a consulting so that teachers can effectively implement class-wide positive behavioral support, and includes inclusive class teachers as participants in the stud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 문제 4 C. 용어 정의 4 Ⅱ. 이론적 배경 6 A. 학급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 6 1. CWPBS의 개념 6 2. CWPBS에서의 보편적 지원 10 3. CWPBS에서의 개별 지원 21 4. 국내에서 실시된 CWPBS 28 B. 긍정적 행동지원에 관한 교사 지원 34 1. PBS에 관한 교사의 어려움과 지원요구 34 2. 교사 연수 및 컨설팅 35 3. 국내외 PBS 연수 및 컨설팅 선행연구 37 Ⅲ. 연구 방법 42 A. 연구 참여자 42 B. 실험 기간 및 장소 44 C. 독립변인 45 D. 학급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 관련 전문성 개발 프로그램 효과 측정 56 E. 연구설계 및 절차 59 F. 자료 분석 62 G. 중재충실도 64 H. 사회적 타당도 68 Ⅵ. 연구 결과 69 A. 학급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 관련 전문성 개발 프로그램이 교사의 효능감과 학급관리실행에 미치는 영향 69 B. 학급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 관련 전문성 개발 프로그램을 통한 교사와 학생의 변화에 대한 교사의 인식 71 Ⅴ. 논의 및 제언 85 A. 논의 85 B. 연구의 의의 93 C.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 94 참고문헌 96 부록1. 연구 참여 동의서 110 부록2. 프로그램 내용타당도 의뢰 질문지 111 부록3. 프로그램 수정 내용 113 부록4. 교사 연수 계획안 예시 114 부록5. 교사 연수 PPT 예시 116 부록6. 보편적 지원 실행충실도 점검지 119 부록7. PTR 서식 121 부록8. 개별 지원 대상학생의 특성 131 부록9. 교사효능감 질문지 133 부록10. 학급관리실행 질문지 135 부록11. 중재충실도 검사지 136 부록12. 사회적 타당도 질문지 137 ABSTRACT 13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16289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긍정적 행동지원, 학급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 전문성 개발, 효능감-
dc.subject.ddc300-
dc.title학급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 관련 전문성 개발 프로그램이 교사의 효능감과 학급관리실행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혼합연구-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A Mixed Methods Research on the Effect of Class-wide Positive Behavior Support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on Classroom Management Skill and Teacher Efficacy-
dc.creator.othernameChoi, Mijin-
dc.format.pagevi, 140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특수교육학과-
dc.date.awarded2024.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특수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