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은성-
dc.contributor.author최다인-
dc.creator최다인-
dc.date.accessioned2024-08-19T16:31:06Z-
dc.date.available2024-08-19T16:31:06Z-
dc.date.issued2024-
dc.identifier.otherOAK-000000232048-
dc.identifier.urihttps://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232048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68660-
dc.description.abstract담화(Discourse)는 의사소통의 언어적 결과물로 다층적인 맥락으로 이루어진 집합체이다. 본고에서는 담화의 맥락의 요소를 지시하는 기능을 본질로 지녀 맥락 의존성이 높은 언어 범주인 직시 표현에 주목하고자 한다. 담화에 사용된 직시 표현의 의미 기능을 파악하는 데 있어 표현이 결과적으로 지시하는 바가 아닌 언어 사용 주체를 중심으로 두었을 때, 화자와 대상에 대한 화자의 주관적인 위치의 설정에 주목할 수 있다. 화자는 직시 표현으로써 발화의 시공간적인 원점을 기점으로 하여 맥락상의 요소를 가리킨다. 맥락상 발화 장면상의 요소뿐만 아니라 사회적 차원의 추상적인 요소를 지시할 수 있다. 직시 표현의 이러한 다면적인 의미 작용을 고려했을 때, 교육적 측면에서 직시 표현은 화자의 대상에 대한 심리적인 거리를 반영하는 유용한 언어 자원으로 기능할 수 있다. 학습자는 화자를 중심으로 한 지시 대상의 상대적 거리감을 인식하고 화자가 세상을 바라보는 관점을 이해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나아가 학습자의 비판적 언어인식의 강화를 목적으로 하여 사회·문화적 맥락을 중심으로 직시 표현을 비판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교육을 마련하고자 한다. 기존의 형태 중심적인 언어 체계의 학습과 언어 탐구의 경험이 배제된 의미 기능의 학습에 대해 실제적 담화의 분석으로써 맥락을 적극적으로 고려한 맥락 중심적 문법교육을 실현할 수 있다. 언어적 지식의 수용자로서의 학습자는 이로써 언어를 사용하고 비판적으로 인식하는 주체로서 언어에 대한 민감성을 가지고 담화를 총체적으로 경험할 수 있다. 언어를 비판적으로 인식하기 위한 직시 표현의 교육 내용 마련을 위해 Ⅱ장에서는 직시에 대한 언어학의 이론에 대한 검토를 바탕으로 하여 화자 중심적 언어 범주인 직시의 본질을 파악하며 각 직시 체계에 화자의 심리적 태도가 어떻게 반영되는지 살펴본다. 또한 교육 내용의 입체적·누진적 구성을 위하여 직시 표현과 관련된 교육과정상의 내용을 종적, 횡적으로 검토한다. 내용의 계열성을 고려하여 교육과정의 체계 내에서 직시 체계로써 언어 형태에 대한 지식을 화자의 태도를 파악할 수 있는 교육 내용으로 효과적으로 재구성하고자 한다. Ⅲ장에서는 시사 토론 담화에 사용된 직시 표현을 분석한다. 사회적 가치의 체면을 유지하는 전략을 통해 화자는 대상과 거리를 조정할 수 있는데, 직시 표현으로 체면 위협 전략과 더불어 이에 대한 전략의 사용이 어떻게 드러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소극적 체면 유지 표현을 통해 대상과의 거리를 두고 화자의 관점을 드러낼 수 있으며, 적극적 체면 유지 표현을 통해 대상과의 거리를 가까이 하며 친밀함을 나타낼 수 있다. Ⅱ장과 Ⅲ을 바탕으로 Ⅳ장에서는 직시 표현의 교육 내용 요소를 마련하고, 국어의 총체적 이해에 이르기 위한 세 단계에 따라 내용이 심화되어 입체화될 수 있도록 배열한다. 또한 본고에서 목표로 하는 비판적 언어인식의 단계에서 실제적인 분석의 예시를 제시한다. 이 연구는 언어 사용자인 화자를 중심으로 함으로써 맥락 중심적으로 비판적 언어인식의 성취기준을 위한 교육 내용을 마련한다는 의미가 있다. 이를 통해 학습자가 언어 형태에 대한 앎을 비판적 관점에서 표현의 사용 양상을 분석할 수 있는 지식으로 활용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Discourse is the linguistic product of communication and a collection of multi-layered contexts. This study aims to shed light on deixis, which is a highly context-dependent linguistic category that functions to indicate elements of the discourse context. When identifying the semantic function of deixis in discourse, if the focus is on the linguistic subject rather than what the expressions consequently indicate, focusing on the speaker and setting the subjective position of the speaker for the referent is possible. The speaker indicates the contextual element by starting from the spatiotemporal origin of the utterance as a deixis. The speaker can indicate abstract elements at a social level as well as elements in the speech scene in context. Considering functions of deixis with multifaceted meanings, from an educational perspective, deixis can function as a useful linguistic resource that reflects the speaker’s psychological distance from the referent. The learner can recognize the relative distance between the referent and the speaker and comprehend the speaker’s perspective on the world. This study further aims to strengthen the learner’s critical linguistic awareness and provides an educational environment to critically analyze deixis, particularly in sociocultural context. Moreover, context-based grammar can also be learned and taught by analyzing discourse in reality when learning a conventional form-centered language system, as well as semantic functions without the experience of language exploration, to ensure that the context is fully considered. The learner, as a recipient of linguistic knowledge, can holistically experience discourse with sensitivity to language as a subject who employs and critically perceives language. To prepare the educational content of deixis for critical language awareness, Chapter Ⅱ is based on a review of linguistic theories on deixis, identifies the nature of deixis as a speaker-oriented linguistic category, and ascertains how the speaker’s psychological attitude is reflected in each deictic system. Furthermore, this study reviews the deixis-related curriculum content longitudinally and horizontally to construct three-dimensional and progressive educational content. In consideration of the sequence of the content, this study attempts to effectively reconstruct the knowledge of linguistic forms as a deictic system within the curriculum system into educational content, enabling the identification of the speaker’s attitude. Chapter Ⅲ analyzes the deixis employed in the discourse of current affairs discussion. The strategy of threatening and preserving one’s social honor allows the speaker to adjust the distance to the referent, and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how the strategy of using deictic expression is applied. The strategy of passively preserving one’s honor can also be used to convey the speaker’s perspective by keeping them at a distance from the referent; alternatively, they can demonstrate their friendliness by actively preserving their honor and positioning themselves closer to the referent. Based on the findings in Chapters Ⅱ and Ⅲ, Chapter Ⅳ presents educational content elements of deixis and arranges them by deepening the content with multifaceted features according to the three phases to reach a holistic understanding of Korean language. It also provides examples of practical analyses in the phase of critical awareness, which is the aim of this study. This study is meaningful as it focuses on the speaker, a language user, and provides the educational content for context-centered critical language awareness. Moreover, the learner is expected to be able to use their knowledge of language forms to critically analyze the usage patterns of deictic expression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1 B. 선행 연구 검토 4 1. 직시 표현에 관련한 연구 4 2. 맥락 중심 문법교육에 관련한 연구 6 3. 문법교육에서의 비판적 언어인식에 관련한 연구 9 C. 연구의 내용과 방법 11 Ⅱ. 직시 관련 이론적 배경 및 교육적 관점에서의 검토 14 A. 직시와 직시 표현에 대한 이론적 배경 14 1. 직시의 개념 14 2. 직시 표현의 용법 및 체계 20 가. 직시 표현의 용법 20 나. 직시 표현의 체계 23 다. 직시 표현에 반영된 화자의 태도 30 B. 담화 맥락 중심적 직시 표현 교육 내용 검토 34 1. 직시 표현 관련 교육과정 내용 34 2. 직시 표현 관련 교과서 내용 45 C. 비판적 언어인식 강화를 위한 직시 표현 교육의 필요성 50 Ⅲ. 시사 토론 담화의 직시 표현 분석 55 A. 교육적 제재로서의 시사 토론 담화의 의미 55 1. 장르적 측면에서의 교육적 제재로서의 의미 56 2. 매체 측면에서의 교육적 제재로서의 의미 61 3. 주제 측면에서의 교육적 제재로서의 의미 63 B. 시사 토론 담화의 직시 표현 분석 결과 65 1. 소극적 체면 위협 전략 70 2. 소극적 체면 유지 전략 74 3. 적극적 체면 유지 전략 77 가. 상대측과의 거리감을 조정하는 전략 77 나. 시청자와의 거리감을 조정하는 전략 79 다. 정책 대상과의 거리감을 조정하는 전략 81 Ⅳ. 직시 표현 교육 내용 구성의 실제 86 A. 교육 내용 조직의 틀 86 B. 직시 표현 교육 내용 요소 선정과 조직 88 1. 직시 표현 교육 내용 요소의 선정 88 2. 직시 표현 교육 내용 요소의 조직 92 C. 직시 표현 교육 내용의 실제 93 Ⅴ. 결론 98 참고문헌 101 ABSTRACT 11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3287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국어교육, 문법교육, 비판적 언어인식, 맥락 중심적 문법 교수, 직시 표현, 토론 담화, 체면 위협 행위, 체면 유지 전략-
dc.subject.ddc400-
dc.title비판적 언어인식 강화를 위한 맥락 중심 직시(直示) 교육 내용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f Context-Centered Deixis Teaching for Critical Language Awareness-
dc.creator.othernameChoi, Dain-
dc.format.pageⅵ, 11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국어교육학과-
dc.date.awarded2024.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