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 Download: 0

중국 대학 한국어 전공의 고전문학 교재 연구

Title
중국 대학 한국어 전공의 고전문학 교재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Korean Classical Literature Education in Korean and Literature Textbooks of Korean Language Major in Chinese University
Authors
Sun, Yufan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교육학과
Keywords
고전문학교육, 한국어 교재, 한국어 문학 교재, 중국 대학의 한국어 전공,중국인 한국어 학습자, 고전문학 작품 분포, 고전문학 작품의 현황, 문 학 능력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소연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 대학 내의 한국어학과에서 사용하는 고급한국어 교재 및 문학 전문 교재의 실태를 파악하고 교재 개선방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현재 중국 내 한국어과에서는 고전문학만을 위한 교재를 사용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연구대상 교재들의 고전문학 부분을 대상으로 논의를 진행하였다. 각 교재들의 ‘교육 목표’, ‘구성’, ‘고전문학 작품 분포’, ‘작품 제시 현황’, ‘학습활동’ 등을 분석하여 장단점 및 문제점을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어교육의 제재로서의 고전문학을 넘어 고전문학 자체에 방점을 둔 고전문학교육에 중점을 두었다. 선행연구를 통해 현재 중국 대학의 한국어학과에는 한국 문학과 관련한 과목들이 다수 개설되어 있고 한국문학의 교육적 필요성을 인정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한국 문학 교육의 필요성이나 의의를 논함에 있어 한국어 언어능력의 향상을 목표로 삼는 것이 대부분이며, 중국 대학에서 출판된 문학 전문 교재들의 ‘교육 목표’, ‘작품 수록’, ‘교재 구성’ 등에서도 아직 개선할 점들이 많은 것으로 보인다. 이에 중국 내 대학에서 개설한 한국어과의 교육 수준에 대한 교육부의 평가를 기준으로 A등급 및 그 이상의 대학 열 곳을 선정하여, 해당 대학들에서 사용하는 ‘고급한국어 교재’ 4종과 ‘(한국)문학 전문교재’ 3종을 연구대상을 설정하한 후, 각 교재의 ‘학습 목표’, ‘교재 구성’, ‘고전문학 작품 분포 양상’, ‘문학 작품 현황’, ‘학습활동’ 등의 다섯 가지 측면을 분석하였다. 제Ⅱ장에서는 교재 분석을 앞서 연구를 진행하는 이론적 기초를 다졌다. 우선 중국에서 문학교육의 위상을 한국의 경우와 비교하여 살펴본 결과, 한국 문학교육의 위상에 비해 중국의 문학교육은 아직 전통적인 이론과 방법론을 고수하고 있는 실정이고 공리적인 기능 위주의 접근, 형식주의적 구조 분석, 문학 지식 위주의 평가 방식 등으로 인해 학습자들이 문학 과목이 어렵고 건조무미하다고 여긴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고려하여 한국어교육에서의 문학교육의 적용, 그리고 중국 대학 한국어 전공자를 위한 한국고전문학 교육의 목표, 내용, 방법 등을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그 결과 교육 목표가 명확하게 제시되어 있지 않고, 현대문학에 치우쳐 있으며, 문학사 지식 습득에 집중되어 있다는 점 등이 문제점으로 나타났다. 제Ⅲ장에서는 교재의 ‘학습 목표’, ‘교재 구성’, ‘고전문학 작품 분포’, ‘문학 작품의 현황’, ‘학습활동’ 등 5가지 측면에서 고급한국어 교재와 문학 전문 교재의 현황을 분석하였다. ‘학습 목표’는 교재에서 밝힌 교육 목적을 검토하고, ‘교재 구성’은 교재의 전체적인 구성 체계, 각 단원의 구성, 교재의 언어 등을 살펴보았다. ‘고전문학 작품 분포’는 시대적 분포와 장르적 분포 두 가지 측면에서 살펴보았고, ‘문학 작품의 현황’은 작품의 제시 방식과 위계성 두 가지 측면에서 검토하였다. 이 중에 작품의 제시 방식은 기존의 ‘전문형’, ‘축약형’, ‘발췌형’, ‘통합형’에 ‘현대역’과 ‘전사’의 두 가지 방식을 추가하였다. 텍스트의 위계성은 문학 작품 어휘의 난이도, 빈도, 문장의 길이와 구조, 문체, 글의 편집 및 삽화의 유무 등 요소를 분석하였다. ‘학습활동’은 유형별 분류 및 목적별 분류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유형별 분류는 선행연구의 성과를 바탕으로 필자가 제시한 ‘어휘/문법/표현’, ‘내용적 이해’, ‘문학적 이해’, ‘추론’, ‘확장’, ‘창작’ 등 6가지 유형으로 분석하였고, 목적별 분류는 선행연구에서 제시한 ‘언어능력 신장’, ‘문학능력 함양’, ‘문화능력 증진’, ‘개인 성장’ 두 가지로 분석하였다. 위와 같은 기준으로 중국 대학 한국어학과에서 사용하는 '고급한국어 교재'를 분석한 결과, 제시된 고전문학 작품의 수가 충분하지 않으며, 문학작품의 원문 활용이 부족하다는 문제점이 나타났다. 해당 교재들에서는 고전문학 작품을 설화의 형태로 개작하여 제시하는 것이 대부분으로 실제 원문 텍스트를 접하는 것과는 많은 차이를 가질 수 있다고 보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행 한국어 교재를 통해서는 문학교육의 목표를 달성하기에 부족한 점이 있다고 보아 문학 전문 교재의 역할과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중국 대학 한국어학과에서 사용하는 '문학 전문 교재'는 문학사를 서술하는 부분이 실제 문학 텍스트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교육 시간의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는 점과 어휘나 문장 구조 등이 어렵다는 점, 문학 작품 제시 형태에 있어 작품의 원문이 부족하다는 점 등을 문제점으로 지적하였다. 학습활동 또한 문학 지식의 습득과 관련한 활동에 치우쳐 창작 등 학습자 위주의 활동이 부족하다는 점 또한 문제점으로 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이 발생한 근본적인 원인이 교재의 학습 목표의 설정에 있다고 보아 문학 교재를 개발할 때 ‘문학 능력’의 정의를 재규명하고 학습 목표를 명확하게 제시해야 함을 강조하였다. 이에 문학 지식 및 작품 분석 기능뿐만 아니라 다양한 영역을 내포한 문학 능력 양성을 위해 의사소통 능력에 대한 집착을 과감하게 버리고 문학적 가치가 높은 고전 문학작품 원문에 집중하는 교재 구성, 문학적 감수력, 문학적 사고력, 문학적 판단력, 문학 의지 지향 등 문학 능력을 기를 수 있고 개인 성장까지 이루어지는 다양한 학습활동을 설계하는 문학 전문교재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of advanced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textbooks used in Korean language programmes in Chinese universities and to suggest ways to improve them. To this end, we analysed the teaching objectives, composition, distribution of classical literature, current status of classical literature texts, and learning activities of the textbooks to identify their strengths, weaknesses and problems. On this basis, we believe that the focus of literature educa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Korean language education, but should also be extended to "classical literature education”. We wish to emphasise the importance of literature education as "classical literature education". In the introduction, the purpose and background of the study are explained and the need for the study is derived from a review of the literature. Then, the object of the study and the research methodology are introduced. At present, Korean literature courses are commonly offered in Korean departments of Chinese universities, and the educational necessity of Korean literature has been recognised, but when discussing the necessity or significance of literature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most of the discussions are aimed at improving Korean language proficiency, and although Korean literature courses are offered in Chinese universities and literature textbooks are published, there are still many problems. Against this background, this study takes advanced Korean textbooks and literature textbooks used by Korean language majors in Chinese universities as its targets, and analyses them in five aspects: learning objectives, textbook composition, distribution of classic literary works, current status of literary texts and learning activities. Chapter 2 lays the theoretical foundation for this study by examining the current situation of literature education in China, literature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objectives and contents of Korean classical literature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majors in Chinese colleges and universities, and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textbooks in Chinese colleges and universities. In the Chapter 3, analyses the current situation of advanced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textbooks in Chinese universities from five aspects: learning objectives, textbook arrangement, distribution of classical literature works, current status of literary texts and learning activities. Learning objectives are examined in terms of the pedagogical goals set out in the textbooks, and textbook arrangement is examined in terms of the overall structure of the textbooks, the arrangement of the units, and the language of the textbooks. The distribution of classical literature was examined in terms of chronological distribution and genre distribution, and the current status of literary texts was examined in terms of text presentation and hierarchical structure. In terms of text presentation, we added two new methods, modern translation and transcription, to the original "full text", "abbreviated text", "abridged text" and "comprehensive text". We analysed the hierarchical structure of the text in terms of the difficulty and frequency of the vocabulary of the literary text, the length and structure of the sentences, the writing style, the editing of the text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illustrations. Learning activities were analysed in two ways: type analysis and purpose analysis. Type analysis is the six types of vocabulary/grammar/expression, comprehension of content, literary comprehension, reasoning, extension, and creativity proposed by the authors based on a priori research. Purpose analysis is the two types of language development, literary development, cultural development, and personal growth proposed in the prior research. Based on the above criteria, an analysis of advanced Korean textbooks used by Korean language majors in Chinese colleges and universities shows that advanced Korean textbooks do not contain sufficient numbers of classic literary works and do not use sufficient portions of original literary texts. Therefore, this study emphasises the role and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professional texts on literature, as it is not enough to achieve the goal of literary education through Korean textbooks. After analysing the literature textbooks used by Korean language majors in Chinese universities, we found the following problems: the textbooks contain a large proportion of literary history; the presentation of literary texts lacks original works; and the learning activities are biased in favour of the learning of literary knowledge. We believe that the root cause of these problems lies in the setting of the learning objectives of the textbooks. Therefore, this study emphasises that when writing literature textbooks, the definition of literary competence should be clarified and the learning objectives should be clearly presented. Literary literacy includes not only literary knowledge and the ability to analyse works, but also various aspects of literacy. In order to cultivate literary literacy, this study proposes a plan for the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s, which is to abandon the obsession with communicative competence, focus on the original texts of classic literary works of high literary value, and design a variety of learning activities that can cultivate literary literacy and personal growth, such as literary sensitivity, literary thinking, literary judgement, and literary will.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