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2 Download: 0

Determinants of Depression Among Korean Youth Preparing for Independence

Title
Determinants of Depression Among Korean Youth Preparing for Independence
Other Titles
자립준비청년의 우울증 결정 요인: 예술 및 문화 참여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Authors
Maratova, Merianna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Keywords
depression, youth leaving protection, health, life-satisfaction, relationships, education environment, residential environment, arts and cultural engagement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Degree
Master
Advisors
조영민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iscover the moderating effect of arts and cultural engage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life satisfaction, relationships, education setting, residential environment, and their influence on depression among Korean youth preparing for independence. This study utilized the data from “Survey on the Current Status and Human Rights Situation of Children Preparing for Independence” conducted in 2019 by the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This survey included results of 691 children preparing to leave care and 251 children who ended care. For this study, the researcher used the results of youth preparing for independence. The moderating effect analysis was tested using SPSS 28.0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ocio- ecological factors on depression moderated by arts and cultural engagement.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health and life satisfaction showed a close association with depression, which means the more serious health issues are the higher is depression level and better health conditions lead to lower depression level. Also, it proved that higher life satisfaction level is associated with the lower depression level, and lower life satisfaction level is associated with higher depression level. Second, this study proved that relationships affect depression, which indicates that higher level of relationship difficulties is associated with the higher level of depression, and lower level of relationship difficulties is associated with the lower level of depression. Third, education setting, and residential environment did not show significant results. Lastly, the results showed that arts and cultural engagement does not moder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independent variable and depression. The discussion of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results showed that health and life satisfaction affect depression. Hence, it is suggested to improve the physical, emotional, and mental health of adolescents preparing to leave care. This study also suggests a more longitudinal studies regarding life satisfaction. Second, regarding the relationships, this study found that relationships affect depression significantly. Interventions that focus on addressing social relationships are necessary. Third, the association between education setting and depression was not significant. These results seem to occur due to the lack of other components of education setting. Forth, the residential environment did not influence depression in this study. The researcher of this study interpreted that the facilities in the living area of youth preparing for independence have a good quality. Another assumption was that this variable did not include all the aspects of residential environment. Therefore, further research including different aspects of residential environment is needed. Finally, the results showed arts and cultural engagement does not play a moderating role between the relationships of health, life satisfaction, relationships, education setting, residential environment, and depression. Therefore, one can assume that non-significant results of this study are due to the low quantity of responders’ participation. Another assumption is that the arts and cultural events might have had a poor quality. The participation in arts and cultural events is only efficient when it aligns with recipient’s preferences. Therefore, further improvement of arts and cultural engagement is needed. Also, more enthusiastic effort is needed towards increasing the active participation of Korean youth preparing for independence in receptive arts and cultural engagement.;본 연구의 목적은 자립준비청년의 건강, 삶의 만족도, 인간관계, 교육 환경 및 거주지역 환경이 우울증에 미치는 영향 간의 관계에서 예술 및 문화 참여의 조절 효과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국가인권위원회에서 2019 년에 실시한 "보호종결아동의 현황 및 인권상황 실태조사, 2019 : 보호종결준비아동"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연구대상은 전국 아동양육시설, 공동생활가정, 가정위탁 등에서 생활하는 자립준비청년 571 명이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사회생태학적 요인들이 우울증에 미치는 영향과 그 관계에서 예술 및 문화 참여의 조절 효과 분석을 하기 위해 SPSS 28.0 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건강과 삶의 만족도는 우울증과 밀접한 관계가 있었으며, 이는 건강 문제가 심각할수록 우울증 수준이 높고 건강 상태가 좋을수록 우울증 수준이 낮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삶의 만족도가 높을수록 우울증 수준이 낮고 삶의 만족도가 낮을수록 우울증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인간관계가 우울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관계적 어려움이 높을수록 우울증이 높고, 관계적 어려움이 낮을수록 우울증이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교육 환경과 거주지역 환경은 유의미한 결과를 보이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예술 및 문화 참여는 독립 변수들과 우울증 간의 관계를 조절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에 따른 본 연구의 논의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건강과 삶의 만족도가 우울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자립준비청년의 신체적, 정서적, 정신적 건강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또한 삶의 만족도에 대한 보다 종단적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인간관계가 우울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사회적 관계를 다루는 데 초점을 맞춘 개입이 필요하다. 셋째, 교육 환경과 우울증의 관계가 유의미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교육 환경의 다른 구성 요소의 부족으로 나타난 것으로 해석된다. 넷째, 본 연구에서 거주 지역은 우울증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의 해석은 자립준비청년은 질 높은 거주지역에 거주하고 있거나 이 변수가 거주지역 환경의 모든 측면을 포함하지 않은 것으로 해석된다. 따라서 거주지역 환경의 다양한 측면을 포함하는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예술 및 문화 참여가 건강, 삶의 만족도, 인간관계, 교육 환경, 거주지역 환경 및 우울증 간에 조절 효과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의 해석은 응답자의 참여 수가 적기 때문이라고 가정할 수 있다. 또 다른 가정은 예술 및 문화 행사들이 청년들에게 맞지 않을 수도 있다는 것이다. 예술 및 문화 행사 참여는 수혜자의 선호도와 일치할 때만 효율적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예술 및 문화 행사의 질 향상이 필요하며 또한 자립준비청년들의 참여를 늘리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