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5 Download: 0

리듬 패턴 유형과 학령기 발달 단계에 따른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장애 아동의 리듬 지각 및 산출 수행 능력

Title
리듬 패턴 유형과 학령기 발달 단계에 따른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장애 아동의 리듬 지각 및 산출 수행 능력
Other Titles
Rhythm Perception and Production in Children with ADHD Across Rhythm Type and Developmental Stages
Authors
배현정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치료학과
Keywords
ADHD, 리듬 산출, 리듬 지각, 발달, 시간지각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은주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리듬 패턴 유형과 학령기 발달단계에 따른 주의력 결핍/과잉 행동 장애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아동과 정상발 달(Typical development, TD) 아동의 리듬 지각 및 산출 수행력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ADHD 아동 11명 ( = 9.3,  = 2.4)과 TD 아동 11명( = 8.8,  = 1.9)을 대상으로 등시성(isochronous, ISO) 및 당김성 (syncopated, SYN) 리듬에 대한 지각 및 산출 평가를 실시하였다. 리듬 지각 및 산출 수행 력은 리듬 패턴에서 제시된 음과 음 사이 간격과 대상자가 산출한 음과 음 사 이 간격 간 오차를 계산하여 산출하였으며, 리듬 패턴 유형 (등시성, 당김 성), 그룹(ADHD, TD), 학령기 (저학년, 고학년)에 따른 리듬 산출 오차의 차 이를 분석하였다. Wilcoxon 부호 순위 검정을 사용하여 ADHD 아동 그룹과 TD 아동 그룹 내 리듬 패턴 유형에 따른 수행력 차이를 분석한 결과, TD 아동은 등시성 리듬보다 당김성 리듬의 산출 수행력이 유의하게 낮았으며(=0.004), ADHD 아동은 등시성 리듬과 당김성 리듬 간 산출 수행력에 유의한 차이가 없 었다(=0.074). Mann -Whitney U 검정을 사용하여 ADHD 아동과 TD 아동 간 리 듬 패턴 유형에 따른 리듬 산출 수행력 차이를 분석한 결과, ADHD 아동과 TD 아동은 등시성과 당김성 리듬 패턴에서 리듬 산출 수행력에 유의한 차이가 없 었다(p>.05). 학령기 발달단계에 따른 리듬 패턴별 수행력 차이를 분석한 결 과, TD 아동 내 당김성 리듬 산출에서 저학년이 고학년보다 유의하게 수행력 이 낮았고(=0.018), ADHD 아동 내에서는 두 리듬 모두 저학년이 고학년보다 유의하게 수행력이 낮았다 (등시성 리듬, =0.006; 당김성 리듬, =0.006). 또한, 저학년 ADHD 아동과 저학년 TD 아동의 수행력을 비교한 결과, ADHD 아 동이 TD 아동보다 등시성 리듬 산출 수행력이 유의미하게 낮았으며(=0.037), 고학년 ADHD 아동과 고학년 TD 아동은 모든 리듬 유형에서 리듬 산출 수행력 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5). 본 연구는 학령기 ADHD아동과 TD아동의 등 시성, 당김성 리듬 산출 수행력을 비교한 것에 의의가 있으며, 이를 통해 저학년 ADHD 아동이 저학년 TD아동 보다 일정한 리듬 패턴의 시간간격을 지각하 는 데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추후 등시성 리듬패턴을 활용하여 저학년 ADHD 아동과 TD 아동의 기능을 평가하는 데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This study aimed to compare rhythmic perception and production of children with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and typically developing (TD) children. A total of 11 children with ADHD ( = 9.3, = 2.4) and 11 TD children ( = 8.8, = 1.9) were presented with isochronous and syncopated rhythm patterns and asked to reproduce them shortly after the presentation. Results indicated that TD children had significantly increased errors with more complex rhythms, while ADHD children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isochronous and syncopated rhythms. No significant overall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the ADHD and TD groups, though lower-grade ADHD and TD children differed significantly in isochronous rhythm performance. Both groups improved with age. These findings suggest that while TD children's rhythmic performance decreases with complexity, ADHD children consistently perform lower on both rhythm types. Isochronous patterns can effectively evaluate lower-grade ADHD and TD children's rhythmic abiliti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치료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