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9 Download: 0

막스 에른스트의 초현실주의 콜라주 오브제를 활용한 패션디자인 연구

Title
막스 에른스트의 초현실주의 콜라주 오브제를 활용한 패션디자인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Fashion Design Using Surrealism Collage Objects by Max Ernst : Focusing on Objective Coincidence
Authors
최윤희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디자인학부패션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박선희
Abstract
The culture of modern society in the 21st century is increasing the value of a virtual world that does not exist due to the coexistence of virtual and reality on the Internet amid instability from diversity and the environment. This phenomenon also shows a similar aspect to the social environment in which surrealists began to work in the early 20th century. At that time, the world war, which was caused by human desire and ideology, continued to decline in society and economy, but it shows the continuous development of culture and technology. Currently, our society is facing the fear that all humans around the world feel life-threatening due to the COVID-19 pandemic caused by an environment different from war. These global challenges in the past and present bring about another development in human efforts to overcome a given environment. In this respect, the development of virtual reality in the present era expands time and space in the current situation suppressed by the pandemic. As such, the virtual world is freely expressing the needs and desires of the mind that cannot be achieved in the real world, and is being activated as a tool that can communicate beyond time and space. Accordingly, the unrealistic expression characteristic of surrealism is being re-examined as a new expression for virtual reality online. This concept has a similar context to the daily life, space, object, and flow of time that takes place in the unconsciousness of surrealism. This paper is a study on the expression and expression of unconscious virtual reality through analysis of surrealist works, and through this, a collage image is presented along with fashion design. This research on surrealism collage uses the objectification of objects seen in surrealism works, that is, the diversity of shapes and functions, and the extreme heterogeneity of objective images beyond time and space, and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development of creative fashion design.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surrealist writer Max Ernst's collage work and present a creative fashion design method that applies the development of collage objects by objective coincidence. Accordingly,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tif selected from the works of surrealist artist Max Ernst were analyzed as a consideration of the design motif. In addition, through this, it aims to pursue its artistic value by developing fashion design through a case analysis of modern fashion design on surrealism. The method of this study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surrealism expression techniques and Max Ernst collage objects through literature research. To this end, various related books, papers, and Internet websites were studied and case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this analysis, a total of six designs are actually produced and presented to verify their value and artistic potential. The conclusions obtained from the research and production of works applied to fashion design after analyzing the works of surrealist artist Max Ernst from the perspective of objective coincidence according to the type of expression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laid the foundation for creative design applying surrealist ideas by analyzing the background of surrealist artists' ideas and work activities through unconsciousness through a concept and theoretical review of surrealism. Second, we looked at the expression techniques of surrealist works and classified them into abstract, realistic, and symbolic expressions, and looked at objective coincidence, unrealistic expressions, unconscious symbolic expressions, and black humor as types of expressions. In addition, the concept of collage objects for fashion design was presented through the analysis of surrealist works, and the characteristics were classified into coincidental encounters, juxtaposition of objects, symbolic potential, and ambivalence, which served as a theoretical basis for presenting fashion design using collage objects. Third, the characteristics of collage objects according to the expression type of surrealism were classified into potential, illogical, synesthesia, and transcendental temporality, which became the analysis data for the motif selected by Max Ernst's collage work. Fourth, the design of this study expresses omission, exaggeration, oppression, and pressure as if the human body's existence communicates with the unconscious world based on the derivation of sexual expression suppressed by the psychological analysis of surrealism. These designs were applied with minimal cutting and segmentation in consideration of the produced collage image, and the use of structural patterns considering practicality and the human body was excluded as an expression of unconsciousness. Fifth, the color of this study means that the expression of dreams and unconsciousness from the world to reality is connected, and six designs were divided into three stages and produced from achromatic to chromatic expression. It is an expression of the unrealistic state of dream and unconsciousness, of human desires and oppression, and also shows a world of synesthetic and transcendent view of time. As a color scheme for this, works I and II produced an achromatic colors with only brightness control, and works III and IV expressed nature's unique colors against the backdrop of soil and stones, which mean the real world. The third steps, Works IV and IV, are expressions of the transcendental timeliness of unconsciousness, and use fire and water, which are intangible substances, as sources of life and energy, for the entire background of the work. The avant-garde achromatic human body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entire work is an expression of an unrealistic and illogical form of suppressed unconscious world. With these color changes, the work of this paper could emphasize the collage image as if looking at the unconscious world and the shape of a dream. Sixth, the 3D virtual program was used in the process of applying the collage image for this paper to fashion design. In order to place the collage image at the intended location in an accurate size, it goes through a large number of sample DTPs and gabal steps. Therefore, this paper presents a production process using efficient 3D virtual that can reduce the waste of a lot of time and fabric by producing real works. In this study, the concept and type of surrealism were analyzed through visual expressions of transcendental timeliness and non-realism in the unconscious world, and the analysis of Max Ernst's work presented the image production and fashion design work of collage objects according to objective coincidence. In addition, the use of digital programs for future fashion design production methods was able to present expanded methods that can be applied to derive various and creative fashion designs.;21세기 현대 사회의 문화는 다양성과 환경으로부터 오는 불안정 속에 인터넷상의 가상과 현실의 공존으로 실재하지 않는 가상 세계의 가치가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20세기초 초현실주의자들이 활동하기 시작하는 사회적 환경과 유사한 면을 보이기도 한다. 그 시기는 인간의 욕망과 이데올로기로 발생한 세계 전쟁으로 사회, 경제는 퇴보를 거듭하였으나 문화와 기술의 지속적인 발전을 보여준다. 현재 우리 사회는 전쟁과는 다른 환경에 의한 코로나 팬데믹으로 전 세계의 인류가 모두 생명에 위협을 느끼는 공포와 마주하고 있다. 과거와 현재의 이러한 전 세계적 난관은 주어진 환경을 극복하기 위한 인간의 노력으로 또 다른 발전을 가져온다. 이런면에서 현시대의 가상 현실의 발전은 팬데믹으로 억압된 현재의 상황에서 시간과 공간을 확장 시킨다. 이렇듯 가상 세계는 현실 세계에서 이루어질 수 없는 정신의 욕구와 욕망에 대한 표현이 자유롭게 이루어지며, 시공간을 초월하여 소통할 수 있는 도구로 활성화되고 있다. 그에 따라 초현실주의의 비현실적 표현특성은 온라인 상에서의 가상 현실에 대한 새로운 표현으로 재조명 되고 있다. 이러한 개념은 초현실주의의 무의식 속에서 벌어지는 일상과 공간, 오브제 그리고 시간의 흐름과 유사한 맥락을 가진다. 본 논문은 초현실주의 작품에 대한 분석을 통해 무의식적 가상현실의 표출과 표현 방법에 관한 연구이며 이를 통한 콜라주 이미지를 패션디자인과 함께 제시한다. 이러한 초현실주의의 콜라주에 관한 연구는 초현실주의 작품에서 볼 수 있는 사물의 오브제화 즉, 형태와 기능의 다원화와 시공간을 초월한 객관적 이미지의 극단적 이질성을 이용한 것이며, 창의적 패션디자인 개발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고 본다. 이에 본 연구는 초현실주의의 작가 막스 에른스트의 콜라주 작품의 고찰을 통해 그 조형적 특징을 분석하고 객관적 우연에 의한 콜라주 오브제의 전개를 응용한 창의적 패션디자인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에 디자인 모티브에 대한 고찰로 초현실주의 작가 막스 에른스트의 작품에서 선정된 모티브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이를 통해 초현실주의에 대한 현대 패션디자인의 사례 분석으로 패션디자인의 전개하여 그 예술적 가치를 추구하는 데 목적을 둔다. 본 연구의 방법은 문헌 연구를 통해 초현실주의 표현기법과 막스 에른스트 콜라주 오브제의 특성을 고찰한다. 이를 위해 관련된 각종 서적, 논문, 인터넷 웹사이트를 연구하고 사례 분석을 진행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총 6벌의 디자인을 실제 제작하여 제시함으로써 그 가치와 예술적 가능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초현실주의 작가 막스 에른스트의 작품을 표현 유형에 따른 객관적 우연의 관점에서 분석하고 패션디자인에 적용한 작품 연구와 제작에서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초현실주의의 개념과 이론적 고찰을 통해 초현실주의 작가들의 사상과 무의식을 통한 작품 활동의 배경을 분석하여 초현실주의 사상을 적용한 창의적 디자인의 토대를 마련하였다. 둘째, 초현실주의 작품의 표현기법을 살펴보고 추상적, 사실적, 상징적 표현으로 분류하였으며, 표현 유형으로 객관적 우연, 비현실의 사실적 표현, 무의식의 상징적 표현 그리고 검은 유머에 대해 살펴 보았다. 또한 초현실주의 작품의 분석으로 패션디자인을 위한 콜라주 오브제의 개념을 제시하였으며 이에 특징으로는 우연한 만남과 오브제의 병치, 상징적 전위 그리고 양가성의 표현으로 분류 하였으며, 이것은 콜라주 오브제를 활용한 패션디자인을 제시하는데 이론적 근거가 되었다. 셋째, 초현실주의의 표현 유형에 따른 콜라주 오브제의 특성을 전위성, 비논리성, 공감각성 그리고 초월적 시간성으로 분류하였으며 이것은 막스 에른스트의 콜라주 작품에서 선정한 모타브의 분석 자료가 되었다. 넷째, 본 연구의 디자인은 초현실주의의 정신적 분석으로 억압된 성적 표현의 도출을 기본으로 인체의 존재가 무의식 세계와 소통하는 듯한 생략과 과장 그리고 억압과 압박을 표현하였다. 이러한 디자인은 제작된 콜라주 이미지를 고려하여 최소한의 커팅과 분할이 적용되었으며, 비현실의 무의식의 표현으로 실용성과 인체를 고려한 구조적 패턴의 사용을 배제하였다. 다섯째, 본 연구 작품의 색채는 꿈과 무의식 세계에서 현실로의 발현에 대한 이어짐을 의미하며, 6벌의 디자인을 세 단계로 나누어 무채색에서 유채색의 발현으로 제작 하였다. 이것은 꿈과 무의식의 세계, 인간의 욕망과 억압에 대한 탈현실의 비논리적 상태의 표현이며 또한 공감각적이며 초월적 시간관의 세계를 보여준다. 이에 대한 색채 기획으로 작품 Ⅰ과 Ⅱ에서는 모든 오브제와 배경을 명도 조절만 들어간 무채색으로 제작 하였으며, 작품Ⅲ과 Ⅵ은 현실 세계를 의미하는 흙과 돌을 배경으로 자연 고유의 색을 그대로 표현하였다. 세 번째 단계인 작품Ⅴ와 Ⅵ은 무의식의 초월적 시간성에 대한 표현으로 무형의 물질인 불과 물을 생명과 에너지의 근원으로 의미를 두며 작품의 전체 배경에 사용하였다. 전체 작품의 중심에 위치한 전위된 무채색의 인체는 비현실적이며 비논리적인 형태의 억압된 무의식 세계에 대한 발현이다. 이러한 색채 변화로 본 논문의 작품은 마치 무의식 세계와 꿈속의 형상을 보는 듯한 콜라주 이미지를 강조할 수 있었다. 여섯째, 본 논문을 위한 콜라주 이미지를 패션디자인에 적용하는 과정에서 3D 버츄얼(virtual) 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콜라주 이미지를 의도한 위치에 정확한 크기로 배치하기 위해서는 많은 횟수의 샘플 DTP와 가봉 단계를 거친다. 이에 본 논문은 실물 작품 제작으로 많은 시간과 원단의 낭비를 줄일 수 있는 효율적인 3D 버츄얼(virtual)을 활용한 제작 프로세스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무의식 세계의 초월적 시간성과 비현실에 대한 시각적 표현으로 초현실주의의 개념과 유형을 분석하였으며 막스 에른스트 작품의 분석으로객관적 우연의에 따른 콜라주 오브제의 이미지 제작과 패션디자인 작품을 제시하였다. 또한 미래의 패션디자인 제작 방식을 위한 디지털 프로그램의 활용으로 다양하고 창의적인 패션디자인 도출에 적용할 수 있는 확장된 방법을 제시할 수 있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