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7 Download: 0

국내 우울증 환자에서 급성기 비약물치료가 항우울제 투약 순응도와 지속기 재발 발생에 미치는 영향

Title
국내 우울증 환자에서 급성기 비약물치료가 항우울제 투약 순응도와 지속기 재발 발생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impact of acute-phase non-pharmacological interventions on adherence to antidepressant medication and the occurrence of relapse in Korean depression patients
Authors
남승희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융합보건학과
Keywords
우울증, 비약물치료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안정훈
Abstract
코로나19 대유행 이후 전세계 우울증 환자 수는 크게 증가하였고, 우리나라에서 우울증은 특히 그 규모와 심각성이 커 우울증의 예방과 치료가 중요한 상황이다. 우울증 임상진료지침에 따르면 약물 치료와 함께 비약물치료인 정신사회적 중재법의 병합이 권고되고 있으나, 과밀화된 의료 서비스 환경의 특성 상 우리나라는 여전히 약물치료가 주를 이루고 있다. 국내에도 비약물치료의 현황 및 비약물치료와 항우울제 투약 순응도의 관계 등에 대한 선행 연구가 일부 존재하나, 실제 임상 현장에서 국내 우울증 환자 대상 비약물치료의 효과를 살펴본 연구는 극히 적고 특히 비약물치료 시작 시기에 따른 우울증 치료 효과를 직접적으로 살펴본 연구는 전무하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청구자료를 활용하여 건강보험 내 비약물치료 처방 양상을 파악하고, 급성기 비약물치료가 항우울제 투약 순응도와 지속기 재발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맞춤형 의료빅데이터를 이용하여 국내 우울증 환자들의 인구학적 특성 및 치료 관련 특성을 파악하였고, 급성기 비약물치료 외에 결과변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성별, 연령, 동반질환지수, 복용한 항우울제 계열을 교란요인으로 선정하여 성향 점수 매칭을 시행한 뒤 급성기 비약물치료 처방 양상과 급성기 비약물치료가 항우울제 투약 순응도와 지속기 재발 발생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SAS Enterprise Guide 7.14를 분석 도구로 사용하여 기술통계량을 산출하고 t검정, 일원분산분석, 카이제곱 검정,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 전체 분석 대상자 중 약 4분의 1에 해당하는 환자들만이 급성기에 비약물치료를 경험한 것으로 확인되었고 개인정신치료를 제외한 기타 비약물치료의 처방 빈도가 현저히 낮은 것으로 나타나 우울증 환자 대상 비약물치료는 아직까지 활성화되지 않았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매칭 후 급성기 비약물치료 횟수에 따라 항우울제 투약 순응도를 비교한 결과 횟수가 높을수록 항우울제 투약 순응도 평균이 지속적으로 유의하게 높아졌고, 높은 투약 순응도와 낮은 지속기 재발 발생률의 유의한 연관성을 확인하였다. 급성기 비약물치료를 경험한 환자군이 경험하지 않은 환자군에 비해 지속기 재발 발생률이 유의하게 낮았으나, 급성기 비약물치료의 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그 발생률이 지속적으로 낮아지지는 않았다. 성별, 연령, 동반질환지수, 항우울제 계열 등의 기타 요인들을 통제하여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한 결과 급성기 비약물치료 횟수가 한 단위 증가할 경우 순응군이 될 확률이 높아지고 지속기 재발이 발생할 확률이 낮아짐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건강보험 청구자료에 근거하였다는 점에서 몇 가지 한계점을 갖고 있으나, 아직 국내에서 활성화되지 않은 비약물치료의 처방 현황을 비약물치료 종류별로 파악하고, 장기간의 치료가 필요한 우울증 치료에서 초기에 해당하는 급성기로 한정하여 비약물치료가 항우울제 투약 순응도와 지속기 재발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추후 본 연구의 한계점들을 보완하여 우울증 환자 대상 비약물치료의 효과를 확인하는 연구가 지속된다면 향후 우울증 환자의 치료 성과를 높일 수 있는 근거들이 마련될 수 있을 것이다.;According to clinical treatment guidelines for depression, a combination of pharmacotherapy and non-pharmacological treatments (NPT), such as psychosocial interventions, is recommended. However,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an overloaded healthcare service environment, pharmacotherapy still predominates in South Korea. While there are some existing preliminary studies on the status of NPT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NPT and adherence to antidepressant medication among depression patients in the country, there is a lack of research directly examining the effectiveness of NPT for depression and particularly investigating the impact of the timing of NPT on treatment outcomes. Thus,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prescription patterns of NPT within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system and assess the impact of acute-phase NPT on adherence to antidepressant medication and the occurrence of relapse. Using tailored medical big data from the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emographic and treatment-related characteristics of depression patients in South Korea. Gender, age, comorbidity index, and the type of antidepressant medication were selected as confounding factors that could affect the outcome variables. Propensity score matching was conducted, followed by an analysis of the prescription patterns of acute-phase NPT and their effects on adherence to antidepressant medication and the occurrence of relapse. Calculation of descriptive statistics, t-tests, one-way ANOVA, chi-square tests, an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SAS Enterprise Guide 7.14. The results showed that only about a quarter of the total study population had experienced NPT during the acute phase, and the prescription frequency of NPT other than individual psychotherapy was significantly low, indicating that NPT for depression patients have not yet been widely adopted. After matching, it was observed that a higher frequency of acute-phase NPT was associated with a significantly higher average adherence to antidepressant medication and a lower occurrence rate of relapse. Although the group that received acute-phase NPT had a significantly lower occurrence rate of relapse compared to the group that did not receive such treatments, the occurrence rate did not consistently decrease as the frequency of acute-phase NPT increase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controlling for gender, age, comorbidity index, and the type of antidepressant medication, revealed that a higher frequency of acute-phase NPT was associated with a higher probability of becoming adherent to medication and a lower probability of experiencing relapse. This study has several limitations, mainly relying on health insurance claim data. However, it is meaningful as it provides insights into the current status of NPT by type and their impact on adherence to antidepressant medication and the occurrence of relapse during the acute phase of depression treatment, which requires long-term management. If future studies address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continue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NPT for depression patients, it could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of evidence-based approaches to improve treatment outcomes for patients with depress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융합보건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