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2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최남경-
dc.contributor.author최현영-
dc.creator최현영-
dc.date.accessioned2024-02-15T04:29:50Z-
dc.date.available2024-02-15T04:29:50Z-
dc.date.issued2022-
dc.identifier.otherOAK-000000191875-
dc.identifier.urihttps://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91875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67661-
dc.description.abstractBackground Hypertension is the biggest risk factor for the occurrence of diseases worldwide, and blood pressure control is important. About 40% of Korean hypertension monotherapy patients are taking CCBs. Meanwhile, gingival hyperplasia is one of the known side effects of CCBs, and can develop into gingivitis and periodontal disease. It is also known that periodontal disease can adversely affect blood pressure management. Therefore, the management of the periodontal diseases is required. Through this study, epidemiologic indicators can be provided by estimating the prevalence of gingival hyperplasia, and the association between CCBs and gingival hyperplasia can be assessed using a large database. Subjects and methods This study calculated the prevalence and annual prevalence from January 1, 2004 to December 31, 2015 using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sample cohort database (NHIS-NSC). Prevalence was estimated by dividing the number of patients with gingival hyperplasia by the number of the population during the period. Based on the estimated crude prevalence rate, the age-standardized prevalence rate was calculated using the population of the middle of the year 2009. Also, the effect of CCB on gingival hyperplasia in hypertensive patients in Korea was assessed by comparing with those taking ARB. The incidence rates in both groups were estimated, and the incidence rates of the two groups were compared using Poisson regression analysis. Kaplan-Meier survival analysis was performed, and the risk of gingival hyperplasia of CCB was estimated through Cox regression analysis. All statistical analyzes were performed using SAS 9.4 (SAS Institute Inc, Cary, NC, USA). Results As a result of estimating the prevalence and annual prevalence of gingival hyperplasia in adults aged 20-79 in 2004-2015, the overall prevalence was 18 cases per 1,000 people, and the age-standardized prevalence was 19 cases per 1,000 people. The crude prevalence rate for each year was about 19 per 1,000 people, and as a result of estimating the age-standardized prevalence, 20 patients per 1,000 had gingival hyperplasia. The annual prevalence of gingival hyperplasia increased from 20.0 per 1,000 in 2007 to 20.4 per 1,000 in 2015. The prevalence of severe gingival hyperplasia is estimated as about 6 per 10,000 people. The incidence of gingival hyperplasia was estimated from 2004 to 2015 in hypertensive patients divided into CCB and ARB groups. Before 1:1 propensity score matching, there were approximately 19 cases per 10,000 person-years in the CCB group and 18 cases per 10,000 person-years in the ARB group.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incidence rates of the two groups using Poisson regression analysis, the CCB group was 1.05 times (95% CI, 0.92-1.19) higher than the ARB group, but it was not significant. The rate ratio of gingival hyperplasia in the CCB group was 1.08 (95% CI, 0.96-1.23) compared to the ARB group. After 1:1 propensity score matching, the CCB group had 20.0 cases per 10,000 person-years, which is 1.12 times (95% CI, 0.97-1.28) more than the ARB group, but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was not significant. The hazard ratio of gingival hyperplasia in the CCB group was 1.13 (95% CI, 0.98-1.31) compared with ARB group. Conclusion This study provided epidemiological indicators by estimating the prevalence of gingival hyperplasia in adults using NHIS-NSC. In hypertensive patients, it was assessed that gingival hyperplasia occurred more frequently when taking CCBs compared to ARBs. In addition, the risk of gingival hyperplasia when taking CCBs in hypertensive patients was higher than those taking ARBs.;연구배경 고혈압은 세계 질병 발생의 가장 큰 원인이 되는 위험인자로 성인 고혈압 환자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고혈압 치료의 핵심은 혈압 조절이며, 우리나라 고혈압 단일 약제 치료자 중 약 40%가 칼슘채널차단제를 복용 중이다. 한편, 치은비대증은 칼슘채널차단제의 알려진 부작용 중 하나이다. 치은비대증은 치은염 및 치주질환으로 발전할 수 있으며, 치주질환은 혈압관리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으므로 관리가 필요하다. 본 연구를 통해 치은비대증의 역학적 지표를 제공하고, 대규모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칼슘채널차단제와 치은비대증의 연관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연구대상 및 방법 본 연구는 국민건강보험공단 표본 코호트 자료를 이용하여 2004년 1월 1일부터 2015년 12월 31일까지 치은비대증 및 중증 치은비대증의 유병률을 추정하였다. 해당 기간 동안 치은비대증의 유병 환자 수를 해당 기간의 인구 수로 나누어 조유병률을 추정하였다. 추정한 조유병률을 기반으로 각각 2009년 주민등록연앙인구자료를 이용하여 연령표준화 유병률을 산출하였다. 국내 고혈압 환자에서 칼슘채널차단제가 치은비대증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을 안지오텐신 차단제 복용 환자와 비교하였다. 두 군에서의 발생률을 추정하고, 포아송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두 군의 발생률을 비교하였다. Kaplan-Meier 생존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콕스회귀분석을 통해 칼슘채널차단제의 치은비대증 발생위험을 추정하였다. 모든 통계 분석은 SAS 9.4 (SAS Institute Inc, Cary, NC, USA)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2004-2015년 치은비대증의 유병률 및 연간 유병률을 추정한 결과 20-79세의 성인 인구 1,000명 당 18명의 치은비대증이 있으며, 연령 표준화한 유병률은 1,000명 당 19명이다. 각 연도별 조유병률은 인구 1,000명 당 약 19명이었으며, 연령표준화 유병률을 추정한 결과, 1,000명 당 20명의 환자에서 치은비대증을 가지고 있다. 치은비대증의 연간 유병률은 2007년 1,000명 당 20.0명에서 2015년 1,000명 당 20.4명으로 증가하였다. 중증 치은비대증의 유병률은 1만 명당 약 6명이다. 2004-2015년 고혈압 환자에서 CCB 복용군과 ARB 복용군으로 구분하여 치은비대증의 발생률을 확인하였다. 1:1 성향점수 매칭 전, CCB 복용군에서는 1만 인년 당 약 19명, ARB 복용군에서는 1만 인년 당 약 18명의 치은비대증 환자가 발생하였다. 포아송 회귀분석을 통해 두 군의 발생률을 비교한 결과, CCB 복용군에서 ARB 복용군에 비해 1.05배(95% CI, 0.92-1.19) 높았으나 유의하지 않았다. CCB 복용군에서 ARB 복용군에 비해 치은비대증 발생 위험은 1.08배(95% CI, 0.96-1.23) 증가하였다. 1:1 성향점수 매칭 후 CCB 복용군은 1만 인년 당 20.0명으로 ARB 복용군에 비해 1.12배(95% CI, 0.97-1.28) 많이 발생하였으나 두 군의 발생률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CCB 복용군에서 치은비대증 발생 위험은 ARB 복용군에 비해 1.13배(95% CI, 0.98-1.31) 높다. 결론 본 연구는 국민건강보험공단 표본코호트를 이용하여 성인에서 치은비대증의 유병률을 추정하여 역학적 지표를 제공하였으며, 고혈압 환자에서 칼슘채널차단제를 복용한 경우, 안지오텐신차단제를 복용한 경우보다 치은비대증이 더 많이 발생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고혈압 환자에서 칼슘채널차단제를 복용하는 경우 치은비대증의 발생 위험을 안지오텐신차단제를 복용한 경우와 비교하여 평가하였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배경 및 필요성 1 B. 연구의 목적 4 Ⅱ. 이론적 배경 5 A. 우리나라 고혈압 현황과 칼슘채널차단제 개요 5 B. 칼슘채널차단제와 치은비대증 10 Ⅲ. 연구 방법 13 A. 연구 자료 13 B. 연구 세부 목적 별 연구 방법 15 Ⅳ. 연구결과 23 A. 치은비대증 유병률 및 연간 유병률 23 B.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8 C. 고혈압 환자에서 칼슘채널차단제 복용에 따른 치은비대증의 발생률 추정 33 Ⅴ. 고찰 36 VI. 결론 41 참고문헌 42 부록1. 연구에 사용된 고혈압의 ICD-10 코드 47 부록2. 찰슨동반질환지수에 사용된 동반질환의 ICD-10 코드 49 ABSTRACT 5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92784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600-
dc.title국민건강보험공단의 표본코호트를 이용한 고혈압 환자에서 칼슘채널차단제 복용 후 치은비대증 발생 비교-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Comparison of gingival hyperplasia after taking calcium channel blocker (CCB) and anigiotensin receptor blocker (ARB) in hypertensive patients: using NHIS-NSC DB-
dc.creator.othernameChoi, HyunYoung-
dc.format.pagevii, 5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제약산업학과-
dc.date.awarded2022.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제약산업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