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5 Download: 0

건강보험 청구자료를 이용한 국내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제균요법의 처방 양상

Title
건강보험 청구자료를 이용한 국내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제균요법의 처방 양상
Other Titles
Real-world prescribing patterns of Helicobacter pylori eradication therapy in Korea using the Korea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
Authors
김은경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제약산업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배승진
Abstract
헬리코박터 파일로리(Helicobacter pylori, 이하 H. pylori) 감염은 전 세계적으로 흔한 감염성 질환 중 하나이며, H. pylori는 만성 위염이나 위축성 위염, 소화성 궤양, 장상피화생, 위암까지 여러 위장 질환을 유발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제균치료를 위한 급여 및 보험기준이 확대된 2018년을 전후하여 국내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제균요법의 처방 양상을 질환 대상자의 연령, 성별, 진단명별, 처방일수 및 의료기관 종별로 확인하고자 하였다. 또한 연도별 전체 표준 삼제요법 처방 건수 중 비스무스 사제요법의 처방 건수의 비율 변화를 통해 1차 치료인 표준 삼제요법의 치료 실패에 따른 2차 비스무스 사제요법의 처방 경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2016년 1월 1일부터 2018년 12월 31일까지의 건강보험 심사평가원의 환자표본자료를 활용하였다. 해당 표본자료에서 20대 이상을 대상으로 하여 이 중 외래로 방문한 경우만을 선별하였으며, 이 중 표준 삼제요법의 약물을 7일 또는 10일 또는 14일 중 같은 일수로 동시처방 받거나 비스무스 사제요법의 약물을 7일 또는 10일 또는 14일 중 같은 일수로 동시처방 받은 처방 건 중에서 헬리코박터 제균 치료 급여기준에 해당하는 질환을 주상병 혹은 부상병으로 포함한 경우만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통계 분석 시 SAS for window version 9.4을 이용하였으며, 각 제균요법 처방 건의 성별, 연령별, 진단명별 등 처방양상 차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카이제곱검정을 실시하였다. 또한, 전체 표준 삼제요법 처방 건수 대비 비스무스 사제요법의 처방 건수에 대한 변화 양상을 확인하기 위하여 Cochran–Armitage trend test를 시행하였다. 연도별로 표준 삼제요법과 비스무스 사제요법의 처방 특성을 살펴본 결과, 본 연구의 분류에 따라 표준 삼제요법을 처방받은 건수는 2016년, 2017년, 2018년 각각 7,934건, 8,090건, 8,183건으로 확인되었으며, 이 중 연령, 진단명, 처방 일수, 의료기관 종별 분류에서 연도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진단명에 따른 구분에서는 표준 삼제요법 처방 건 중 소화성궤양을 진단받은 경우는 해마다 처방 건수 및 비율이 줄어드는 양상을 보였으며, 위축성 위염 및 기타 항목은 점점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처방 일수에 따른 구분에서는 7일 처방의 경우 처방 건수 및 비율이 줄어들고 있으나, 14일 처방의 경우 처방 건수 및 비율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의료기관 종별에 따른 분류에서도 3차 및 2차 의료기관에서는 처방 건수 및 비율이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으나, 1차 의료기관에서는 처방 건수 및 비율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비스무스 사제요법을 처방받은 건수는 2016년, 2017년, 2018년 각각 710건, 750건, 916건으로 확인되었으며, 이 중 진단명 및 의료기관 종별 분류에서 연도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진단명에 따른 연도별 처방에서는 제균 치료에 대한 급여기준이 확대된 2018년도에 급여 상병으로 포함된 위축성 위염과 기타 항목에 대한 처방 건수 및 비율이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소화성궤양도 2018년도에서 처방 건수는 증가하였으나 전체 진단명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감소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의료기관 종별에 따른 분류에서는 전체 의료기관에서 1차 의료기관의 처방 비율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H. pylori 감염의 1차 제균치료법으로 알려진 표준 삼제요법의 최근 제균 치료 실패율 증가에 따라 표준 삼제요법 치료 후 2차 치료로서 시행되는 비스무스 사제요법을 처방받는 건수가 늘어날 것으로 예측하였으며, 이를 연도별로 전체 표준 삼제요법 처방 건수 중 비스무스 사제요법을 처방받은 건수의 비율을 통해 그 변화 양상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전체 표준 삼제요법 처방 건수에서 비스무스 사제요법을 처방받은 건수의 비율은 해마다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이는 1차 치료인 표준 삼제요법의 치료 실패에 따라 2차 치료인 비스무스 사제요법의 처방 건수가 해마다 증가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겠다. 현재까지 H. pylori 제균요법에 따른 제균율 비교나 Clarithromycin 내성률을 직접적으로 다룬 연구는 많지만, 실제 청구 자료를 바탕으로 한 국내 제균요법의 처방 양상을 확인한 연구는 전무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최초로 국내 건강보험 청구자료를 바탕으로 한 제균요법의 처방 양상과 그 인구학적 특성을 확인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현재 계속해서 Clarithromycin 내성률이 증가하고 1차 치료로서 표준 삼제요법의 제균율이 감소함에 따라 다양한 연구를 지속하여 헬리코박터 제균치료의 임상적 효과 및 처방 양상에 따른 의미를 해석하기 위한 노력이 계속해서 요구되며, 그 결과를 통해 더욱 효과적인 제균치료의 대안 및 치료법이 표준 치료로서 고안되어야 할 것이다.;Background: Helicobacter pylori could cause various gastrointestinal diseases, including chronic gastritis, peptic ulcer, atrophic gastritis, intestinal metaplasia, and gastric cancer. Therefore, successful eradication treatment is important. In recent years, the failure rate of Standard triple therapy is increasing because of increase in resistance to clarithromycin. Therefore, this study review the prescribing patterns of Helicobacter pylori eradication therapy in Korea. Objective: To review the Real-world prescribing patterns of Helicobacter pylori eradication therapy in Korea. Also, this study aimed to review the number of prescriptions for Bistmuth quadruple therapy from the total number of standard triple therapy prescriptions by year. Methods: The study was conducted retrospectively of Helicobacter pylori eradication therapy using the Korea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 (HIRA) database from January 2016 to December 2018. Analysis was performed with the chi-square test and Cochran–Armitage trend test of the SAS 9.4 version. Results: As a result of reviewing the eradication treatment by dividing it into Standard triple therapy and Bistmuth quadruple therapy, the Standard triple therap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y year in age, diagnosis, number of days of prescription, and classification of medical institutions. In the case of Bistmuth quadruple therap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y year in diagnosis and classification by medical institution.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ratio of the number of prescriptions for bismuth quadruple therapy to the total number of prescriptions for standard triple therapy increased year by year. Conclusion: As health insurance expand in eradication therapy, it is necessary to continue further expanded study. In addition, as the eradication therapy in primary medical institutions increases, the importance of treating and managing the eradication treatment properly in primary medical institutions is emphasized. Finally, according to the proportion of bismuth quadruple therapy is increasing in the total standard triple therapy, more studies and efforts are required to develope the effective standard primary therapy in eradication therap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제약산업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