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2 Download: 0

의약품 사용에서의 유전체 차이에 대한 연구

Title
의약품 사용에서의 유전체 차이에 대한 연구
Other Titles
Study on Pharmacogenetic Differences in Medication Use
Authors
김영옥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임상보건융합대학원 임상약학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임상보건융합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곽혜선
Abstract
연구 배경 : 약물 유전체학(Pharmacogenomics: PGx)이란 DNA 및 RNA 특성의 변이와 관련된 약물의 노출-반응에 대한 연구를 광범위하게 지칭한다. 개인간의 유전적 차이는 질병 발생률, 질병의 진행 혹은 재발의 위험, 가장 효과가 있는 약물, 치료용량, 효과적인 치료반응 양상과 정도 및 약물의 독성에 이르기까지 질병과 치료의 거의 모든 측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미국 식품의약품안전청(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이하 FDA)과 유럽 의약품기구(European Medicines Agency, 이하 EMA)에서도 2005년과 2006년 각각 약물유전체 이용지침을 발간하였고, 이후 2015년 국내 식품의약품안전처 (KFDA)에서도 약물유전체 이용지침을 발간하였다. 연구 방법 : 이번 연구는 현재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의약품의 유전체 차이에 대한 연구가 실제 의약품의 허가 사항에 반영되었는지를 알아보고자, FDA ‘Pharmacogenomics Biomarkers in Drug Labels’ 내용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국내 의약품 허가사항에도 적용되고 있는지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 2019년 6월 ‘Pharmacogenomics Biomarkers in Drug Labels’에서 총 269개의 성분과 관련된 유전체자료가 존재하였다. 이중 적응증에 69개, 부작용에 162개, 적응증과 부작용 모두 4개, 임상시험 과정 중 환자의 특성을 나타내는 정보에 34개 성분이 관련되어 있었다. FDA에 의해 발행될 수 있는 가장 강한 경고인 블랙박스경고(black box warnings)는 9개의 성분에서 나타났다. 약효군 별로 항종양과 면역조절(Antineoplastic and immunomodulating agents, 이하 항종양)군은 가장 많은 95개의 성분에서 유전체 정보가 있었다. 비종양군은 174개의 성분에서 유전체 정보가 있었다. 신경계(Nervous system) 71개, 항감염(Antiinfectives for systemic use) 31개, 소화기계통과 대사(Alimentary tract and metabolism) 25개, 심혈관계(Cardiovascular system) 11개, 혈액 및 조혈(Blood and blood forming orangs) 9개, 비뇨생식기계(Genito-urinary system and sex hormones) 9개, 근골격계(Musculo-skeletal system) 8개, 호흡기계(Respiratory system)&기타(Various) 10개 성분에서 있었다. 결론 : 본 연구에서 항종양과 면역조절에 관련된 약물이 약물 유전체 관련 허가사항을 가진 약물의 1/3을 차지하고 있음을 보였다. 또한, 비종양 약물과 달리 항종양과 면역조절 약물에서 적응증과 관련된 유전체 검사에 대한 요구 또는 권장 사항이 훨씬 더 빈번했다 이는 약물 처방시 유전형 검사가 필수적인 표적항암제의 증가 때문으로 볼 수 있다. ;Pharmacogenomics (PGx), the study of variations of DNA and RNA characteristics as related to drug response. Genetic differences between individuals can affect almost every aspect of disease and treatment, including incidence of disease, the risk of progression or recurrence of disease, the dosage, usage, side-effects, and toxicity of medicines. The US FDA and European EMA have published guidelines for the use of Pharmacogenomics since 2005 and 2006. In Korean,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KFDA) issued guidelines in 2015. The article analyzes the FDA Table of Pharmacogenomic Biomarkers in Drug Labels to show the number of drugs with PGx biomarker information in their labels at June 2019. There were descriptions related to the PGx in the product directions of 269 medicines. 69 were involved in indication, 162 in side-effects, 4 in both indication and side-effects, and 34 in information that represented the characteristics of patients during clinical research process. Black box warnings, the strongest warning that could be issued by the FDA, appeared in 9 medicines. In the order of the medicine category showing the PGx-based differences most, there were 95 antineoplastic and immunodulating agents, 71 nervous system, 31 antiinfectives for systemic use, 25 alimentary tract and metabolism, 11 cardiovascular system, 9 blood and blood forming orangs, 9 genito-urinary system, 8 musculo-skeletal system, and 10 respiratory system & various. In this study, it was shown that antitumor and immunomodulatory drugs accounted for about one third of drugs with drug genome permission. And the requirement or recommendation for genetic biomarker testing in the label were much more frequen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임상보건융합대학원 > 임상약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