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5 Download: 0

한국인 약물 유전정보에 대한 연구

Title
한국인 약물 유전정보에 대한 연구
Other Titles
Study on Pharmacogenetic Information of Koreans
Authors
김수경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임상보건융합대학원 임상약학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임상보건융합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곽혜선
Abstract
연구 배경: 약물 유전체학(pharmacogenomics)은 기능적 유전체학(functional genomics)을 합리적 치료학(rational therapeutics)으로 바꿔주는 역할을 한다. 약물대사효소, 수송체, 수용체, 그리고 약물의 target에서 유전적 다형성은 많은 약물의 효능과 독성의 개인차와 관련되어있다. 또한 신약개발을 촉진하고 사람의 유전적 체질이라는 강력한 과학적 근거로 약물치료를 최적화한다. 미국 식품의약품안전청(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이하 FDA), 유럽 (European Medicines Agency, 이하 EMA)에서도 2005년, 2006년부터 약물유전체 이용지침을 발간하였고, 이후 2015년 국내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도 약물유전체 이용지침을 발간하였다. 연구 방법: 이번 연구는 현재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의약품의 유전체 차이에 대한 연구가 실제 국내 의약품의 허가 사항에 반영되었는지를 알아보고자, 의약품안전나라 의약품통합정보시스템의 ‘한국인 약물 유전정보’ 내용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2020 년 6월 ‘한국인 약물 유전정보’에서 총 90개의 성분과 관련된 유전체자료가 존재하였다. 이중 적응증에 33개, 부작용에 45개, 적응증과 부작용 모두 9개, 용법에 관한 정보에 2개, 약물간 상호작용 1개 성분이 관련되어 있었다. 약효군 별로 항종양과 면역조절(antineoplastic and immunomodulating agents, 이하 항종양) 군은 가장 많은 45개의 성분에서 유전체 정보가 있었다. 비종양군은 45개의 성분에서 유전체 정보가 있었다. 감염성질환 (anti-infectives) 9개, 정신/행동장애(mental & behavior disorder) 9개, 호르몬 및 대사관련 질환(hormone & metabolism related diseases) 6개, 순환기계(cardiovascular system) 4개, 비뇨생식기계(genito-urinary system and sex hormones) 3개, 피부 및 피하조직 질환(skin & subcutaneous tissue disease) 3개, 혈액 및 조혈(blood and blood forming orangs) 2개, 신경계 약물(nervous system) 1개, 소화기계통과 대사(alimentary tract and metabolism) 1개, 근골격계(musculo-skeletal system) 1개, 호흡기계(respiratory system)등 기타질환 6개성분에서 있었다. 또한 주성분과 무관한 첨가제에 관한 유전적 주의사항은 30개 성분에서 있었다. 결론: 본 연구에서 항종양과 면역조절에 관련된 약물이 약물 유전체 관련 허가사항을 가진 약물의 2 분의 1을 차지하고 있음을 보였다. 또한, 비종양 약물과 달리 항종양과 면역조절 약물에서 적응증과 관련된 유전체 검사에 대한 요구 또는 권장 사항이 훨씬 더 빈번했다. 이는 약물 처방시 유전체 검사가 필수적인 표적항암제의 증가 때문으로 볼 수 있다. 비종양 약물에서는 부작용과 관련된 약물 유전체 허가사항이 많았지만 유전체형 또는 효능 연관성이 표적 약물에 비해 적고 의약품 사용의 정보 제공 측면에서 이용되는 사례가 많기 때문에 유전체 검사에 대한 요구 또는 권장사항이 적었고 용량조절에 대해 구체적으로 언급한 성분수도 적었다. ;Background: Pharmacogenomics is the study of how genetic mutations of patients affect treatment response to drugs by investigating the association between gene expression or genotypes and drug-related outcomes. The goal of pharmacogenomics study is to maximize drug effects and minimize the adverse drug events. The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and the European Medicine Agency (EMA) published the pharmacogenetic guidelines in 2005 and 2006, respectively, and the Korean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also issued the National Food and Drug guidelines in 2015. Methods: This study analyzed the contents of Korean drug genetic information from integrated drug information system (NeDrug) to evaluate whether the current research on the pharmacogenomic differences are actually reflected in the domestic pharmaceutical products. Results: In June 2020, the Korean drug genetic information contained genomic data on 90 ingredients. Of these, 33 were related to indications, 45 were related to adverse reactions, and nine were included in both criteria. Two were about drug administration and one was about drug interactions. Antineoplastic and immunomodulating agents had 45 genomic information. The other 45 non-antineoplastic agents were as follows: nine anti-infectives, nine mental and behavior disorder, six hormone & metabolism related diseases, six cardiovascular system, four genito-urinary system and sex hormones, three skin and subcutaneous tissue disease, two blood and blood forming organs, one nervous system, one alimentary tract and metabolism, one musculoskeletal system, and six other diseases including respiratory system. In addition, the genetic precautions for additives unrelated to the main ingredient were 30.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at antineoplastic and immunomodulating agents accounted for one-half of drugs with pharmacogenetics information. Unlike non-antineoplastic medications, recommendations for genomic tests in antitumor and immunomodulatory drugs were mostly about indication. This was possibly due to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targeted anticancer drugs that require genomic testing for drug prescriptions. On the other hand, there were few requests or recommendations for genomic tests in non-antineoplastic medications because these drugs have relatively less relationship between genotypes and efficac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임상보건융합대학원 > 임상약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