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8 Download: 0

논증활동의 화용-대화론(Pragma-Dialectics) 연구

Title
논증활동의 화용-대화론(Pragma-Dialectics)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Pragma-Dialectical Argumentation
Authors
박지희
Issue Date
2012
Department/Major
대학원 철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김혜숙
Abstract
This dissertation deals with argumentation as a human speech act that is performed within discourse. Usually, argumentation, by which it means ‘everyday argument’, has been dismissed just as a simple technique used in an ordinary life but it has not been incorporated into a domain of academic research. While logic has directed its academic attention to argument, it has offered the minimum meaning to argument, referred to as a relationship between premise and conclusion, and between claim and reason. 'Argumentation' is a concept that is come up with in order to be distinguished from a narrow meaning of argument that is addressed by logic as well as to put emphasis on everyday argument. With an increasing interest in argumentation well into the 20th century, there have appeared a variety of theories of identification, analysis and evaluation of argumentation. However, it is difficult to see theories that can provide a whole and comprehensive picture of argumentation and deal with related important issues with satisfaction. This can naturally yield some necessity to come up with a key theory to deal appropriately with argumentation and pose a question of what such a theory should look like. The quest for argumentation is not irrelevant to the criticism of logic. Therefore, in view of this criticism, the central theory may well set its direction of argumentation. Argumentation theorists raise questions of an abstraction process and the validity of logic, criticizing it in that the quest is limited only to an argument form. From this, the theory in pursuit of argumentation should be able to show the more expanded process and activity of argumentation than logic does and show the influence of pragmatic factors excluded from the abstraction process on argumentation, their mechanism, and a tool by which to use it. In addition, the theory of argumentation needs to provide a standard and norm for evaluation of argumentation in consideration of pragmatic factors at the level of argumentative discourse, not limiting it only to the formal inference of the premise and conclusion. This means that it should be led on a quest for reasonableness at a level of argumentative discourse or dialectics, instead of limiting appealing rationality to the formal relationship between claim and reason that is depended on for evaluation of argumentation. Consequently, the theory of argumentation should be able to set a criterion for judging on the reasonableness of argumentation and lay the theoretical basis for its judgment. From this comprehensive prospect, the theory should be a systematic combination of a descriptive quest for pragmatic factors with a normative quest for a norm and criterion that should serve as the basis of argumentation. The theories that try to search for argumentation include Pragma-dialectics put forth by van Eemeren and Grootendorst, a theory that both provides a description of pragmatic factors that influence argumentation at the argumentative discourse level and makes an evaluation of argumentation. This dissertation takes a look at factors related to argumentation and specific evaluations, based on Pragma-dialectics as its central theory. The Pragma-dialectics relies on a combination of the pragmatic and dialectic perspectives of argumentation to make a quest for descriptive and normative argumentation. In the pragmatic perspective, argumentation is defined as communicative act. This definition regulates argumentative discourse as the domain of communication and includes the situations and contexts around the hearer and the speaker in the linguistic activity of argumentation. Accordingly, it includes a lot of issues, ranging from a process of argumentation at the discourse level to the resulting products, in the quest, and has the theoretic foundations for systematically dealing with pragmatic factors necessary for argumentation. On the other hand, in dialectic perspective, argumentation is still regarded as a part of critical discussion with the purpose of solving a difference of opinion. The critical discussion, as an ideal model for discourse, plays a role in analysis and evaluation as a point of reference. The Pragma-dialectics analyzes and evaluates real discourse on the basis of critical discussion. It does not deal with discourse as such but analyzes and evaluates it through reconstruction of it based on a normative model. At a descriptive level, it suffices that the critical discussion describes how the pragmatic factors influence argumentation. However, at a normal level, it is necessary to reconstruct the critical discussion by making it fitting with conditions for evaluation of real discourse. Unless real discourse is evaluated as such, without the process of reconstruction, it means that the evaluation depends on pragmatic factors that influence argumentation, which presents a problem of extreme relativism. The reconstruction of real discourse according to a normative model is selected as a method of combining a normative task with a descriptive task, along with avoiding the problem of relativism. The Pragma-dialectics provides the rules for critical discussion as a criterion for evaluation of argumentative discourse. The rules are justified since they have the problem validity that contributes to dissolving differences of opinion and intersubjective validity that is accepted by the discussion participants who wish to solve differences of opinion. The rules of critical discussion that realize pragmatic and dialectic reasonableness regulate, or determine, the activity of discussion by the critical discussion participants and further play a role as an evaluator of argumentative discourse. The existing normative approaches conduct an evaluation based on objective rationality. However, too much attention to this rationality leads to the exclusion of subjective factors such as a context from the evaluation, which presents a problem of formalism. In the meanwhile, the rhetorical approaches base the evaluation of argumentation on anthropological rationality that commits it to the individual standards of the audience. Too much attention to this rationality leads to extreme relativism in which different standards have different evaluations of argumentation. As a result, the Pragma-dialectics is methodology that tries to set a standard and norm for evaluation of argumentation on borders on which to avoid both formalism and relativism. Pragma-dialectics proposes a view which be taken of argumentation in terms of communication and interaction, which opens a door to a deep understanding and wide pursuit of a variety of meanings argumentation has. The everyday argumentation, as dialectics that are exchanged between people, takes on forms of discussion or debate. It is ‘reasonable’ discussion or debate that becomes topical in discussion or debate. The rational discussion about the existing argument focuses on claim and reason and on proving that a claim is true based on reasons. The Pragma-dialectics no longer limits itself to the formal relationship between claim and reason; but it tries to understand who argues to whom, and how he or she argues in certain situations and contexts, at the dialectic level of argumentative discourse. Accordingly, the rationality of argumentation is dealt with at the level of dialectic reasonableness at which to depend on argumentation to dissolve differences of opinion. In the Pragma-dialectics, dialectic reasonableness is embodied as the dialectic procedures and rules for preventing arbitrary disputes. It is critical discussion that serves as reasonable dialectics in order to dissolve differences of opinion based on these rules. The impetus for leading critical discussion is from those who participate in the discussion. The participants in the critical discussion form a relationship by which they can dissolve differences of opinion based on a mutual understanding of conflicted opinions. And they divide themselves into two pros-or-cons groups and accept difference and diversity in the processes of agreement- or disagreement-based criticism, holding open-minded attitudes of admitting another possibility of criticism about agreed opinions. Mutual understanding and respect, critical attitudes, and open-mindedness are the spirit of critical discussion. The Pragma-dialectics very sufficiently proves its value in any context of discussion or debate, which is a necessary element for democratic social lives. Democratic society in which there coexist a variety of opinions and views, and which ensures free expression of opinions is a social system that naturally includes disagreement and conflict. The conflict of opinions inevitable in democratic society can reach a consensus through reasonable discussion, which can function as the impetus for social development. What is necessary at this point is the spirit of critical discussion such as mutual understanding and respect, and open-mindedness to criticism. In this light, Pragma-dialectics can lay the theoretical foundations for a reasonable communicative system and the dialectic reasonableness derived from critical discussion can play a role as a practical guideline for desirable discussions required of our society.;본 논문이 다루고자 하는 것은 대화 안에서 수행되는 인간의 언어행위로서의 논증활동이다. 보통 ‘일상의 논증’이라는 의미로 논증활동은 인간의 일상적 삶에서 사용되는 단순한 기술로 취급될 뿐, 학문적 대상으로서 인정받지 못했다. 반면 논리학을 중심으로 논증은 학문적으로 탐구되어 왔으나, 이때의 논증은 전제와 결론 혹은 주장과 근거의 관계를 나타내는 최소한의 의미로 다뤄진다. 논증활동은 일상적 논증의 의미를 강조하는 한편 논리학에서 다뤄지는 좁은 의미의 논증과 구분하기 위해서 제시된 개념이다. 20C 이후에 논증활동에 대한 관심이 증대하면서 논증활동의 확인, 분석, 평가에 관한 다양한 이론들이 등장한다. 그러나 기존의 이론들 가운데 논증활동에 대한 전체적인 조망을 제시하고 관련된 중요 문제들을 만족스럽게 다루는 이론은 찾아보기 어렵다. 이로부터 논증활동을 적절하게 다루는 중심된 이론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그러한 이론은 과연 어떠한 것인가? 라는 문제를 제기할 수 있다. 논증활동의 탐구는 논리학에 대한 비판과 무관하지 않다. 따라서 이러한 비판에 비추어서 논증활동에 대한 중심된 이론의 방향을 모색해 볼 수 있다. 논증활동론자들은 논리학의 추상화 작업과 타당성 기준에 문제를 제기하고, 논증 형식에 제한된 탐구라는 점에서 논리학을 비판한다. 이로부터 논증활동을 탐구하는 이론에서는 논리학의 관심 영역보다 확장된 논증하는 과정과 활동의 영역을 보이고, 추상화 작업으로 배제시킨 화용적 요소들이 논증활동에 미치는 영향과 작동 기제 및 그것을 다루는 방법을 제시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논증활동 이론에서는 전제와 결론의 형식적 추론 관계에 한정하지 않고 논증적 담화 차원에서 화용적 요소들을 고려한 논증활동의 평가 기준과 규범을 제시해야 한다. 이것은 논증활동의 평가에서 호소하는 합리성을 주장과 근거의 형식적 관계에 한정시키지 않고, 논증적 담화 또는 대화 차원에서 합리성을 모색하고 대화의 합리성에 따라서 논증활동의 합리성을 평가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대화의 합리성, 논증활동의 합리성을 판단하는 기준과 그 이론적 토대가 논증활동 이론에서 마련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내용을 종합해 볼 때, 논증활동 이론은 화용적 요소들에 대한 기술적 탐구와 논증활동이 따라야 할 규범과 기준에 대한 규범적 탐구가 체계적으로 결합된 것이어야 한다. 이것은 논증적 담화에서 논증활동을 기술하고 평가하는 것을 의미한다. 논증활동을 탐구한 이론들 가운데 반 에머렌과 그루텐도르스트가 제시한 화용-대화론은 논증적 담화 차원에서 논증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화용적 요소들에 대한 기술과 논증활동에 대한 평가의 작업이 체계적으로 결합된 이론이다. 본 논문에서는 화용-대화론을 논증활동에 대한 중심된 이론으로 삼고 논증활동에 관계된 요소들과 그 평가의 작업을 구체적으로 고찰한다. 화용-대화론은 논증활동에 대한 화용적 관점과 대화적 관점이 결합되어 기술적이고 규범적인 논증활동에 대한 탐구 작업이 이루어진다. 화용적 관점에서 논증활동은 의사소통 행위로 정의된다. 이러한 정의는 논증적인 담화를 의사소통의 영역으로 규정하여 화자와 청자 그리고 이들을 둘러싼 상황과 맥락을 논증활동이라는 언어행위 안에 포함시킨다. 이에 따라 담화 차원에서 논증하는 과정과 이로부터 결과된 산물에 이르는 전반의 문제들이 탐구의 대상이 되며, 논증활동에 필수적인 화용적 요소들을 체계적으로 다룰 수 있는 이론적 근간이 마련된다. 한편 대화적 관점에서 논증활동은 의견 차이 해결의 목적을 갖는 비판적 토의의 일부로 간주된다. 비판적 토의는 논증활동이 제시된 논증적 담화의 이상적 모델로서 분석과 평가에서 준거틀의 역할을 한다. 화용-대화론에서는 비판적 토의에 근거하여 실제 담화를 분석하고 평가한다. 이것은 실제 담화 그대로를 다루는 것이 아니라, 규범적 모델에 맞춰 재구성하여 분석하고 평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기술적 차원에 머문다면, 경험을 통해 화용적 요소들이 논증활동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충실하게 기술하면 된다. 그러나 규범적 차원의 논의가 결합되려면, 실제 담화를 평가하기 위한 조건에 맞춰 재구성할 필요가 있다. 만일 재구성의 절차 없이 실제 담화 그대로를 평가한다면, 그 평가는 논증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화용적 요소들에 맡겨지게 되며, 이것은 극심한 상대주의의 문제를 일으킨다. 상대주의의 문제를 피하면서 규범적 작업과 기술적 작업을 결합하는 방법으로 선택한 것이 실제 담화를 규범적 모델에 맞춰 재구성하는 것이다. 화용-대화론에서는 논증적 담화를 평가하기 위한 기준으로서 비판적 토의 규칙을 제시하고 있다. 이 규칙들은 의견 차이를 해결하는데 기여하는 문제 타당성과 의견 차이를 해결하려는 토의 참여자들에게서 받아들여지는 상호 주관적 타당성을 갖는 것으로 정당화된다. 화용적이고 대화적인 합리성을 구현한 비판적 토의 규칙은 비판적 토의 참여자들의 토의 행위를 규제하고 나아가서 논증적 담화를 평가하는 역할을 한다. 기존의 규범적 접근에서는 객관적 합리성에 근거한 평가의 작업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러한 합리성에 따를 경우, 평가에서 맥락과 상황 같은 주관적 요소들을 분리함으로써 형식주의의 문제를 일으킨다. 반면 수사학적 접근에서는 논증활동 평가를 청중의 개별적인 기준에 맡기는 인간학적 합리성에 근거한다. 이러한 합리성에 근거할 경우, 논증활동의 평가는 청중의 개별적인 기준에 따라서 그때그때 달라지는 극심한 상대주의에 빠지게 된다. 결과적으로 화용-대화론은 형식주의와 상대주의를 피할 수 있는 경계선에서 논증활동의 평가 기준과 규범을 마련하는 작업이다. 화용-대화론은 인간의 의사소통과 상호작용 차원에서 논증을 바라보는 시각을 제시함으로써 논증 구조에 한정된 좁은 시각에서 벗어나 일상에서 논증활동이 갖는 다양한 의미를 이해하고 폭넓게 탐구할 수 있는 새로운 장을 열어 놓는다. 일상에서 논증활동은 사람들 간에 의견을 상호적으로 주고받는 대화로서 토론 또는 토의의 유형으로 구체화된다. 토론이나 토의에서 화두가 되는 것은 다름 아닌 ‘합리적인’ 토론 또는 토의이다. 기존의 논증에 관한 합리성 논의는 주장과 근거에 초점을 맞추고, 근거를 제시하여 주장의 참을 입증하는 데에 집중한다. 화용-대화론에서는 더 이상 주장과 근거의 형식적 관계에 한정하지 않고, 논증적 담화라는 대화 차원에서 누가, 누구에게 그리고 어떤 상황과 맥락에서 무엇을 위해 논증하는지를 탐구한다. 따라서 논증활동의 합리성은 논증활동을 통해 의견 차이를 해결하려는 대화의 합리성 차원에서 논의된다. 화용-대화론에서 대화의 합리성은 임의적인 논쟁 해결을 막기 위한 대화의 절차와 규칙으로 구체화되며, 이러한 규칙들에 따라 의견 차이를 해결해 나가는 합리적인 대화가 비판적 토의이다. 비판적 토의를 이끌어가는 원동력은 토의하는 사람들이다. 비판적 토의의 참여자들은 갈등하는 의견에 대한 상호간의 이해를 기반으로 의견 차이를 해결하기 위해 협력하는 관계이다. 또한 찬․반으로 나눠서 입장을 옹호하고 논박하는 비판의 과정에서 참여자들은 차이와 다양성을 수용하고, 합의된 의견에 대해서 또 다른 비판의 가능성을 열어 놓는 열린 자세를 갖는다. 상호 이해와 존중, 비판적 태도와 열려진 자세는 비판적 토의의 정신이다. 화용-대화론의 가치는 현대 민주주의 사회에서 삶에 필수적인 요소가 되어버린 토론 또는 토의에서 여실히 드러난다. 다양한 입장과 시각이 공존하고 의사표현의 자유가 보장되는 민주주의 사회는 의견의 대립과 갈등을 내포하고 있는 사회체계이다. 민주주의 사회에서 불가피한 의견의 갈등은 합리적인 토론을 통해 합의점을 구축할 때 사회 발전의 원동력이 될 수 있다. 이 때 필요한 것이 상호간의 이해와 존중 그리고 비판에 열려진 개방적 태도와 같은 비판적 토의의 정신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볼 때, 화용-대화론은 합리적인 의사소통 체계에 대한 이론적 토대가 되며, 비판적 토의로 구현된 대화적 합리성은 우리 사회의 바람직한 토론 행위의 실천적 지침으로 작용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철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