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60 Download: 0

조선 후기 포도문(葡萄紋) 백자 연구

Title
조선 후기 포도문(葡萄紋) 백자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White Porcelain Decorated with Grape Design(葡萄紋) in the Late Joseon Dynasty
Authors
김수현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사학과
Keywords
조선 후기, 청화 백자, 동화 백자, 포도문, 포도도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장남원
Abstract
본 논문은 조선 후기 포도문 백자가 확산된 배경을 추적하고, 기종과 문양의 분류를 통해 조선 후기 포도문 백자의 성격을 고찰하는 것에 연구의 목적이 있다. 먼저 포도문의 유입경로와 중국에서 포도문의 전개양상을 간략히 살펴보았다. 지중해 연안에서 문양화된 포도문은 그리스 로마 및 서아시아에 디오니소스(Dionysos), 약샤(夜叉·藥叉) 등 각 지역의 토착신과 결합하여 포도동자 도상으로 전파되었다. 기원전 2세기 실크로드 통해 중국에 유입된 후 통일신라와 일본으로 전파되어 와당에 장식되었다. 중국에서는 북송 후기부터 단독 포도문이나 포도동자문으로 자기에 시문되다가 명말 만력연간에 포도다람쥐의 도상이 처음 등장하여 청대까지 꾸준히 제작되었다. 고려 후기에 유입된 포도문은 청자의 문양으로 새롭게 채택되었다. 고급청자를 생산한 강진과 부안에서 제작되었고, 소비지였던 궁궐과 도읍지, 유력 사찰을 중심으로 출토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고려의 포도문은 주로 동자와 조합되는 점이 특징이었으나, 조선시대가 되면 원숭이·다람쥐 등 동물과 새로운 결합문양이 등장하게 된다. 이는 조선시대의 다른 공예품인 함(函), 스란치마·피륙 등에서 지속적으로 포도동자문을 장식한 것과는 달리, 도자 공예에서는 자취를 감추어 고려와 조선의 도자기에서 보이는 포도문이 상이한 모습으로 전개되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조선 초기까지도 포도는 왕실에서도 구하기 어려운 희소한 과실이었지만 기록을 통해 포도의 향유 사실이 분명히 확인되며, 문학과 회화를 통해 당시 포도는 신비스럽고, 문인의 절개와 아취에 대한 상징물로서 인식되었던 것을 알 수 있다. 조선 후기 포도문 백자가 확산하게 되는 계기로는 17세기 중후반 농·상업의 발달 아래 포도 재배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과일을 파는 우전(隅廛)이 확대되는 사회·경제적인 배경이 작용했다. 더불어 18세기 원기(園記)를 간행하고 정원을 가꾸는 원예 문화의 유행은 문학과 회화의 제재로 향유되었던 포도가 지면(紙面)을 벗어나 폭넓게 향유되는 직접적인 계기가 되었다. 즉, 생활 속에서 실재의 포도를 접할 수 있게 되는 환경의 변화는 포도에 대한 인식이 일반으로까지 저변 확대되는 원인으로 작용하였던 것으로 짐작된다. 생산 및 소비 유적을 통해 포도문 백자는 조선 전반에 걸쳐 관요에서 제작되었고 시기에 따라 제작된 기종과 안료의 차이가 있었음을 살펴보았다. 조선 전·중기에는 주기(酒器)로 사용되었던 호와 편병, 전접시 등의 특수기종으로 제작되었다. 철화안료로 시문된 포도문은 동시기 포도도와의 필치와 밀접한 연관 관계가 있으며, 매난국죽과 함께 제작되어 문인화와 연관된 문양군 속에서 이해될 수 있었다. 조선 후기에는 발과 접시 등의 일상기명으로 확인되며, 포도도와 유사성은 옅어지고, 청화안료를 사용해 기면의 여백을 채우는 장식적 요소가 가미되었다. 또한, 내면에 ‘복(福)’ 자가 시문되어 기복적인 성격을 띠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한편, 포도문 동화백자의 경우 예외적으로 한반도 북부의 지방요지에서 제작되었을 것으로 추정하였는데, 이로써 동화백자를 제외한 조선시대 포도문 백자는 조선 전반에 걸쳐 관요에서만 제작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포도문이 장식된 백자의 기종은 크게 일상기명과 문방기명으로 나뉜다. 일상기명 중 입호는 17세기 말에서 18세기 전반까지 고급품인 양질 백자를 위주로 제작되었으나 19세기 후기에 제작된 원호는 말기로 갈수록 구연부가 높게 직립하고 끝이 말리면서 문양이 단순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병은 적은 수량이지만 청화와 동화, 음각, 양각기법 등의 다양한 기법이 사용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화분대의 경우 상부에 당초문을 시문하고, 중하부에 능화창을 투각한 기법적 특징을 통해 고려시대 돈(墩)의 특징을 계승하며 고착화되는 과정이 보였다. 특히, 화분대에는 포도원숭이문이 시문되었으며, 청화, 철화, 투각기법 등 적어도 두 가지 이상의 기법을 사용하여 제작된 양질 백자였다. 문방기명은 투각기법으로 제작한 지통, 필통, 필세, 필가와 소량의 연적이 전세되었다. 포도 알맹이와 넝쿨의 형상은 기면을 뚫기에 적합한 외형을 지녔으며, 알맹이와 넝쿨로 인해 생기는 여백은 통풍을 유발하였다. 이는 종이와 붓을 보관하기에 적합하고, 미적 요소까지 가미된 문양이었다. 따라서 문방기명 중에서도 투각백자가 다량 전세될 수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백자에 장식된 포도문은 다른 문양의 보조문양으로 사용된 예는 없고 주제문양으로만 시문된 것이 특징인데, 단독 포도문과 복합 포도문으로 나뉜다. 단독 포도문은 기면 전체를 휘감는 전개형과 포도송이를 부각시킨 절지형, 그리고 잎사귀와 송이가 분리되어 그려진 분리형으로 구분되었다. 복합포도문은 포도문과 함께 원숭이, 다람쥐, 채과가 결합되는 양상을 보였으며, 결합문양에 따라 기법과 기종에서 뚜렷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포도와 원숭이의 조합은 고려 말 문신 목은 이색의 시에서 나타난 이후로 문인에 의해 지속적으로 차운된 소재이다. 포도원숭이문 백자는 16세기 중반 이후 제작되기 시작한 것을 송암 이로의 기록을 통해 추정하였고, 18세기에 한정하여 입호와 화분대에서 철화기법이 사용되는 특징을 전세품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포도다람쥐문은 종로 청진 8지구에서 출토된 명 만력연간의 포도다람쥐발편을 통해 16세기경 이미 조선에 유입된 것으로 추정된다. 18세기 전반 입호와 지통에 시문된 사례가 확인되지만, 19세기 후반 본격적으로 확산하는 경향을 보이며, 원호와 투각필통에 장식되었다. 포도채과문 역시 투각필통, 필가, 필세 등 문방기명에 한정하여 시문되는 현상을 보였다. 흥미로운 점은 오이·가지·호박의 구성은 회화의 채과도와 유사하지만, 이러한 구성에 포도가 포함되는 것은 백자에서만 나타나는 특징이라는 점이다. 이들은 덩굴식물과에 속하며 씨가 많은 생태적 특징을 지녔기에 의도적으로 구성한 조합으로 보인다. 기종별 특징과 문양분류를 통하여 살펴본 포도문 백자는 일정한 형식에 구애받지 않고 기면에 맞추어 문양을 다채롭게 표현하였으며, 동반되는 문양에 따라 기종이 구분되고, 상징의미가 변화하는 특징을 보였다. 이상으로 문학과 회화, 기종과 문양을 토대로 살펴본 조선 후기 포도문 백자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선 전반에 걸쳐 제작된 포도문 백자는 구도적 측면에서 회화의 포도도와 궤를 같이 한다. 그러나 후기에는 그 비중이 현저히 줄어들고, 원숭이, 다람쥐 등 결합문이 나타나 조선 후기 포도문 백자만의 특색이 뚜렷히 나타나게 된다. 둘째, 시기의 흐름에 따라 뚜렷한 변화가 보인다. 특히 18세기와 19세기에서 나타나는 기종, 문양, 기법적인 측면에 차이를 보여 시기에 따른 변화 흐름이 뚜렷하게 포착된다. 즉 기면의 형편에 맞추어 문양을 자유자재로 시문하였으며, 동반 결합에 따라 의미가 달라지는 유연한 성격을 지닌다. 세 번째, 동화백자에서 나타난 포도문은 중요한 문양으로 사용되었다는 점이 주목된다. 포도문은 포도의 열매와 잎사귀가 분리되고, 잎사귀의 형태가 다른 장식기법과는 다른 독특한 형태를 가지고 있다. 이는 동화백자 문양 내에서도 전례 없는 잎사귀를 하고 있다. 즉 포도문 동화백자의 성격을 보여주는 중요한 유형에 해당하며 포도문 백자가 전반적으로 회화와 동일 선상에서 이해되는 것과는 다른 포도문 동화백자만의 독자적인 유형을 성립하였다. 나아가 조선 후기에 포도 도상이 축수와 더불어 효의 도상으로도 기능한 확장된 의미를 파악하였다. 왕실 연향 속 진찬의 핵심인 헌수절차에서 주빈인 대왕대비의 옥배를 받치는 잔대에 포도잎사귀를 상위 재질에 해당하는 은으로 제작한 점, 왕실 여성 어른이 기거하는 자경전에 십장생 문양으로 포도가 포함된 점, 왕실 여성 구성원을 위하여 제작되었을 것으로 유추되는 왕실 소용 반상기 일괄이 전세된 점을 통해 포도 도상이 왕실 일원에게 애호된 문양 중 하나였으며, 축수를 기원하는 문양으로도 인식되었음을 살펴볼 수 있었다. 한편 민간에서는 감모여재도 속 제사상에 포도와 함께 수박, 석류 등 씨가 많은 과일들이 진설된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포도 도상은 자손만대(子孫萬代)를 바라는 기복적인 의미로 인식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조선 후기 시각문화에 나타난 포도 도상은 축수와 대를 잇고자 하는 자손의 염원이 깃든 효심(孝心)의 표상이었다. 본 논문은 조선 전 시기에 걸쳐 포도를 대상으로 한 문학과 회화의 기록을 살펴보고, 조선 후기에 포도문 백자가 확산하는 경위를 추적하였다. 또한, 그동안 고급품을 대상으로 단편적으로만 연구되었던 포도문 백자의 전체적인 양상을 정리하고, 성격을 규명하였다는 점에 의의를 가진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grape design decorated with white porcelain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rough the classification of types and patterns. First, the inflow path of the grape design and the development of the grape design China were examined. Grape designs patterned on the Mediterranean coast were combined with indigenous gods of each region, such as Dionysos and Yaksha(夜叉, 藥叉), in Greece and Rome and West Asia. and spread to China in the 2nd century B.C. and were initially decorated on roof tiles. From the late Song Dynasty, they were adorned on porcelain with single grape designs or grapes and squirrels, continuing into the Qing Dynasty. The grape design introduced in the late Goryeo Dynasty was newly adopted as a celadon pattern. It was Klin Site in Gangjin and Buan, known for producing high-quality celadon. It was confirmed that this pattern was excavated mainly in palaces, the capital, and major temples. Goryeo's grape design was primarily characterized by its combination with children (Dongja). However, in the Joseon Dynasty, new combined patterns emerged, featuring animals such as monkeys and squirrels. Unlike other crafts from the Joseon Dynasty that continued their decorations with grape and child designs, such as lacquered boxes and skirts, these motifs disappeared from ceramics. Grapes were rare fruits that were difficult to obtain even in the royal family until the early Joseon Dynasty. However, records clearly confirm the enjoyment of grapes, and literature and paintings depict grapes at that time as mysterious and recognized symbols of a scholar's refinement and taste. The spread of white porcelain in the late Joseon Dynasty was attributed to the social and economic background, wherein grape cultivation was actively carried out under the development of agriculture and commerce in the mid-to-late 17th century. The expansion of the fruit-selling market and the prevalence of horticultural culture, which involved publishing records and cultivating gardens in the 18th century, served as a direct opportunity for grapes—previously enjoyed in literature and painting—to be widely appreciated beyond the realm of paper. In other words, changes in the environment, allowing people to encounter actual grapes in their daily lives, contributed to the widespread perception of grapes. Examining the remains of production and consumption, it was observed that white porcelain decorated with grape design was produced in royal kiln(Gwanyo) throughout the Joseon Dynasty, with variations in types and pigments according to the period. In the early and mid-Joseon Dynasty, it was made of special types such as arcs, flat bottles, and whole plates, which were used periodically. The grape designs depicted with iron painting pigments showed a close association with the brushstrokes of simultaneous grape motifs. Produced alongside plum and bamboo patterns, they can be understood within the group of patterns associated with literati culture. In the late Joseon Dynasty, it was confirmed that ordinary vessels to fill the space of the base using underglaze cobalt-blue pigment.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Chinese character “福”(bok, meaning good fortune) was printed on the inner surface, imparting a auspicious nature to them. On the other hand, it was estimated that the white porcelain painted with underglaze copper pigment in grape design was especulated to have been produced exclusively in the northern regions of the Korean Peninsula. confirming that the white porcelain decorated with grape design of the Joseon Dynasty, excluding the white porcelain painted with underglaze copper pigment, was produced only in in a royal kiln (Gwanyo) throughout the Joseon Dynasty. The types of white porcelain decorated with grape design are largely divided into the ordinary vessels and the stationery vessels. Among the ordinary vessels Jar was mainly made of high-quality white porcelain, which was a high-end product from the end of the 17th century to the first half of the 18th century, but the arc made in the late 19th century was found to have a higher bulb and the pattern became simpler as the end was dried. Although the number of bottles was small, it was confirmed that various techniques such as underglaze cobalt-blue pigment and underglaze copper pigment intaglio and embossed techniques were used. In the case of the flower stand, the grape and monkey design was engraved on the flower stand, and it was a high-quality white porcelain manufactured using at least two or more techniques such as underglaze cobalt-blue and iron pigment and engraving techniques. The stationery vessels such as paper containers, pencil cases, and water droppers were chartered with the engraving technique. The shape of the grapes was suitable for drilling, and the margins caused by the vines caused ventilation. This was a pattern suitable for storing paper and brush, and it was also equipped with aesthetic elements. The grape decorated on white porcelain, which is characterized by the fact that it is not used as an auxiliary pattern for other patterns, but only as the main pattern, is divided into a single grape design and a composite grape design. Solo grapes were divided into an expanse type that encompassed the entire surface, an incised type that emphasized grape clusters, and a separate type that drew leaves and clusters separately. Composite grapevines showed a combination of monkeys, squirrels, and vegetables along with grapes, and we found that there were distinct differences in technique and type depending on the combination. The composite grape design showed a pattern of combining monkeys, squirrels, and vegetables along with the grape design,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distinct difference in technique and vessels depending on the combined pattern. The grape and monkey design was estimated from Songam's records that the white porcelain decorated with grape monkey design began to be produced after the mid-16th century, and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e characteristics of the underglaze iron painting technique used in the jar and flower stand only in the 18th century. It is estimated that the grape and squirrel design has already been introduced into Joseon around the 16th century through the inscriptions of grape and squirrel design decorated with bowl excavated from of Cheongjin in Jongro-gu. but it showed a tendency to spread in earnest in the second half of the 19th century, and it was decorated in jar and pencil case. and The grape and vegetable design was only decorated in stationery vessels. Interestingly, the composition of cucumbers, branches, and pumpkins is similar to that of paintings, but the inclusion of grapes in this composition is a characteristic that only appears in white porcelain. They belong to the vine family and appear to be a deliberately composed combination because they have many ecological characteristics. The grape pattern white porcelain examined through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and pattern classification showed various patterns according to the flag, regardless of a certain form, and the type wa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accompanying pattern, and the meaning of the symbol changed. The significance of the white porcelain decorated with grape design of the late Joseon Dynasty, which was examined based on literature, paintings and patterns, is as follows. First, the grape design white porcelain manufactured throughout the Joseon Dynasty is in line with the grapes of the painting in terms of composition. However, in the late Joseon Dynasty, its proportion decreased significantly, and combined patterns such as monkeys and squirrels appeared, mak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grape design decorated with white porcelain of the late Joseon Dynasty distinct. However, in the late Joseon Dynasty, its proportion decreased significantly, and combined patterns such as monkeys and squirrels appeared, mak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grape design decorated with white porcelain of the late Joseon Dynasty distinct. Second, there is a clear change with the passage of time. In particular,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types, pattern, and technical aspects that appear in the 18th and 19th centuries, and the flow of changes over time is clearly captured. In other words, the pattern is freely examined according to the circumstances of the surface of white porcelain, and has a flexible character in which the meaning varies according to the accompanying combination. Third, it is noted that white porcelain with grape design painted in underglaze copper pigment was used as an important pattern. That has a unique shape in which the fruit and leaves of the grape design are separated, and the shape of the leaf is different from other decorative techniques. It has an unprecedented leaf even within the fairy tale white porcelain pattern. In other words, it is an important type that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the white porcelain with grape design painted in underglaze copper pigment and unlike the grape design generally understood on the same line as the painting, a new type of the white porcelain with grape design painted in underglaze copper pigment was established. Furthermore, the grape icon in the late Joseon Dynasty served as an icon wishing for filial piety and fertility. Royal banquets and decorations of grapes along with the emblem of Sipjangsaeng (symbol of longevity) were also recognized as symbols of blessing, confirming that the grape icon was one of the royal family's favorite patterns. On the other hand, in the private sector, you can see the ups and downs of faith through fruits characterized by many seeds established in Gammo Yeojado, and it can be assumed that only the descendants wished for a Grandchildren for many generations(子孫萬代). In other words, the grape icon that appeared in the visual culture of the late Joseon Dynasty was a symbol of filial piety with the desire of the descendants to connect the axis and generation. In conclusion, this study systematically examines literature and paintings on the grape icon throughout the Joseon Dynasty, tracing the spread of white porcelain in the late Joseon Dynasty. In addition, it is significant in that it summarizes the overall aspect of white porcelain in grapes, which had been studied only fragmentarily for high-end products, and identifies its character.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