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63 Download: 0

최욱경의 미국 시기(1963-1979) 흑백 작업에 나타난 정체성 인식

Title
최욱경의 미국 시기(1963-1979) 흑백 작업에 나타난 정체성 인식
Other Titles
Wook-kyung Choi’s Identity Perception in Black-and-White Works During Her Years in the United States(1963-1979)
Authors
최윤서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사학과
Keywords
최욱경, 추상회화, 추상표현주의, 네오다다, 정체성 미술, 추상미술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은영
Abstract
This study is an analysis of Wook-kyung Choi(崔郁卿, 1940-1985)’s black-and-white artworks created during her stay in the United States from 1963 to 1979, primarily focusing on identity perception. Since her relocation to the United States in 1963, she broadened her artistic scope and actively engaged in the art scenes of both the United States and South Korea, spanning about 15 years including temporary returns to her home country. Throughout this time span, she underwent formal experiments, absorbing American art trends and developing her distinctive practice. This period also witnessed the readjustment to a new environment and the reinterpretation of the self, accompanying the intricate interplay between the external and the internal aspects of the subject. Consequently, Wook-kyung Choi’s American era presents varied possibilities for studying identity perception resulting from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self and the world. The creation of Wook-kyung Choi’s black-and-white works dates back to the early 1960s when the artist left for the United States for the pursuit of a master’s degree. This artistic exploration persisted and evolved into various mediums such as figure drawing, paper collage, and painting. This trajectory suggests a significant connection between her American period and the development of works in black and white. The objective of this thesis is to investigate and elucidate this relationship, offering a new perspective distinct from existing studies that typically approach her works of art through her sensation of colors, chronological narrative, and the influence of Abstract Expressionism. American Art after the Second World War, which served as a source of inspiration for Choi, was profoundly influenced by a tumultuous political landscape and a remarkable transformation of society and culture. In response to the radical impacts, post-war American artists produced a body of black-and-white works on which they tried to reflect their awareness of identities grappling with external cultures and gender issues. These works also represented their efforts to transcend the constraints of medium specificity prevalent in American painting at the time. Meanwhile, after completion of her M.F.A., Wook-kyung Choi continued to pursue her artistic career, participating in a residency program and taking a role as a professor in Korea. During these formative years, she systematically developed Abstract Expressionism and subsequent Post-Painterly Abstraction in her unique manner. Additionally, She experimented with the formal aspects of Neo-Dada and Pop Art. In this context, the study is tripartite, focusing on Choi’s identity construction in her black-and-white works. The first part illuminates the meaning of figure drawings and abstract works as advanced by her monochromatic self-portraits. This section aims to demonstrate how the artist appreciated and reconstructed her individuality and work practice through the depictions of human body, accomplishing her aesthetic and spiritual freedom. The second part is grounded in the intensification of resistance movements in the United States. Choi, aware of its significance, incorporated text into her black-and-white works text as a socio-political commentary. Finally, the examination extends to different layers of her works in black and white traversing two discrete cultural topographies: America and Korea. This evokes how the artist internalized and cultivated distinctive traditions to her rich spectrum of work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is possible to comprehend that Wook-kyung Choi’s black-and-white works during her American period not only encompass both figurative and abstract art but also articulate her recognition of identity through various subjects and forms. The thesis holds scientific value by dedicating itself to observing the artist’s 15-year life in a multi-dimensional way. Furthermore, it gains significance by providing a starting point for bridging her transitional paths, elaborating on formal sensibilities, and opening a new chapter in the art-historical depiction on the artist.;본 논문은 최욱경(崔郁卿, 1940-1985)의 정체성에 관한 인식을 중심으로 미국 시기(1963-1979)에 제작된 흑백 작업을 분석한 연구이다. 최욱경은 1963년 미국으로 건너가 한국으로의 일시 귀국을 포함하여 1979년까지 약 15년간 작업 세계를 확장하고 미국과 한국 미술계에서 활발히 활동하였다. 이 과정에서 최욱경은 당대 미국의 주요한 미술 경향을 수용하고 자기 작업을 발전시키기 위해 다양한 형식 실험을 거쳤다. 또한 최욱경의 미국 시기는 한 주체의 외부 환경이 변화하고 그에 따라 환경과의 상호 관계와 주체의 내면이 재설정 된 시기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자아와 사회 간의 상호작용 속에서 구현되는 정체성에 관한 인식을 살펴보기에 최욱경의 미국 시기의 작업은 다채로운 연구 가능성을 담지하고 있다. 최욱경은 도미하여 석사 과정에 입학한 1960년대 초반부터 흑백 작업을 시작하여 1970년대 후반까지 작업 세계를 발전시키는 과정에서 흑백 색채의 드로잉, 종이 콜라주 그리고 회화를 지속적으로 제작하였다. 따라서 최욱경의 미국 시기와 흑백 작업은 미술가의 정체성 인식을 고찰하는 데 있어 상호보완적이라고 할 수 있다. 본고는 색채 작업 분석과 연대기적 서술 및 추상표현주의와의 영향 관계와 관련한 서술에 치중된 선행 연구의 경향에서 벗어나, 최욱경의 미국 시기에 제작된 흑백 작업의 의미를 면밀하게 살펴보고 흑백 작품에서 나타난 최욱경의 정체성에 관한 인식을 규명하는 것에 연구의 목적을 둔다. 최욱경이 영향을 받은 제2차 세계대전 이후의 미국 미술은 당대의 급변하는 정치와 사회 그리고 문화와 호응하며 발전해 갔다. 이 시기의 미국 미술가들은 흑백 작업에 미술계가 당면한 회화의 매체 순수성 문제 그리고 외부 문화에 대한 관심과 젠더 정체성 및 사회의식을 비롯하여 다양한 정체성의 문제를 투영하였다. 한편 최욱경은 미국에서 석사 학위 과정을 졸업하고 현지의 레지던시 프로그램에 참여하거나 미술 교육자로서 활동하며 추상표현주의와 후기 회화적 추상의 영향을 받은 작업을 시도하고 네오다다와 팝 아트 경향의 실험적인 조형의 방법을 자기 작품에 접목하였다. 이러한 맥락을 바탕으로, 본고에서는 최욱경의 흑백 작업에 나타난 정체성에 관한 인식의 차원에 주목하여 표현 양상을 크게 세 갈래로 구분하였다. 우선 흑백 작업 중 자화상을 살펴본 뒤 인체 드로잉과 그로부터 발전한 추상 작업의 의미를 밝혀보았다. 몸의 이미지를 통해 최욱경이 개인적·작업적 정체성을 인식하고 재구축하여 형식상의 자유와 정신적인 자유를 성취하게 된 과정을 살핀 것이다. 또한 사회 저항 운동이 격화되던 당시 미국의 상황을 배경으로 최욱경이 흑백 작업에 문자와 텍스트를 도입하여 이미지와 결합하고 정치·사회적인 의식을 표현한 것을 분석하였다. 이에 더하여 미술가가 한국과 미국이라는 다른 문화적 지형 위에서 각국의 전통문화적 요소에 관한 이해를 바탕으로 작품을 통해 새롭게 해석하여 흑백 작업을 이어간 양상을 살펴보았다. 이와 같은 분석을 통해 최욱경의 미국 시기 흑백 작업이 구상과 추상을 포괄하고 있을 뿐 아니라 다양한 주제와 형식으로 제작되었으며, 미술가의 정체성에 관한 인식을 반영하고 있는 것을 밝힐 수 있었다. 궁극적으로 본 논문은 그간 연구되지 않은 최욱경의 미국 시기 흑백 작업을 입체적으로 고찰하였다는 점에서 가치가 있다. 더 나아가 본고는 미국 시기 최욱경의 작업 세계의 발전과 형식 탐구를 구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실마리를 제공하여 최욱경에 대한 미술사적 기술(記述)의 영역을 확장했다는 의의가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