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80 Download: 0

레이첼 화이트리드(Rachel Whiteread) 작품에 나타난 양가적 측면

Title
레이첼 화이트리드(Rachel Whiteread) 작품에 나타난 양가적 측면
Other Titles
The Ambivalent Aspects of Rachel Whiteread's work
Authors
송가희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최종철
Abstract
본 논문은 레이첼 화이트리드(Rachel Whiteread, 1963-)의 작업에서 드러난 양가적 측면을 고찰한 연구이다. 실제로 화이트리드 작업에는 전후 영국 및 국제 사회의 급격한 변화라는 외부적 영향을 비롯해 작가 개인의 내면적 심리가 혼재되어 나타난다. 본 연구자는 이러한 화이트리드 작업에 나타난 복합적 특징들을 존재-부재, 망각-기억, 그리고 장소-비장소로 분류해 이 각각의 대립항들이 그의 작업에서 어떻게 드러나는지 살펴보고자 했다. 화이트리드가 활동을 하기 시작한 1980년대 서구 미술계는 형식주의 모더니즘에 저항해 공간성과 시간성 등 작품의 외부 요소를 작품에 가져온 포스트미니멀리즘(Postminimalism)의 동향이 활발히 전개되고 있던 때였다. 이는 제 1, 2차 세계대전 이후 1950년대 중반부터 급부상한 실존주의 철학, 하위문화 및 대중문화, 소비문화의 급격한 발달 등의 씨앗이 차차 발아되어 미술계에서 다양한 양태로 발현되는 과정이었다고도 볼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이 시기 영국은 보수정권인 마거릿 대처(Margaret Thatcher, 1925-2013)정부가 새로이 들어서며 예술에 대한 지원이 전폭 감소되었다. 따라서 이 때 등장한 젊은 영국 예술가들(Young British Artists, 이하 YBA로 약칭)은 그들 스스로 직접 전시를 기획하고 홍보하는 등 주체적으로 행동해야 했다. 이렇듯 전례 없던 예술가들의 독립적인 행보와 더불어 이들의 파격적인 작품은 국제 미술계에 이들을 점차 알렸다. 화이트리드 역시 YBA일원이자 포스트미니멀리즘 작가로서 일상과 공간을 작품에 끌어들이고 이를 충격적인 방법으로 드러냈다. 이를 통해 화이트리드 역시 미술계에서 입지를 다졌다. 화이트리드 작업은 크게 세 가지 특징의 대립항적 관계로 분류해 살펴볼 수 있다. 먼저, 신체 일부분이나 일상 사물, 더 나아가 공간 전체를 주조하는 작업에서는 존재-부재의 대립항을 찾아볼 수 있다. 화이트리드는 본인의 팔이나 다리에 석고를 바른 뒤 그대로 굳혀서 본뜨거나, 일상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온수 병, 의자나 침대 밑 공간, 건물 내부를 석고, 레진, 고무 등과 같은 다양한 재료로 주조했다. 이처럼 일상에서 자주 사용하고, 형태적으로 인간을 은유할 수 있는 사물의 내부나 빈 공간을 주조하는 것은 인간이 사용한 흔적을 고스란히 담아내는 동시에 존재의 지표적 역할을 하며 부재를 상기시킨다. 또한, 망각과 기억의 대립항은 기존의 기념비의 관습을 허무는 반기념비를 제작하거나 쓰레기로 취급받는 사물들을 수집하고 이를 다양한 양태로 반복하는 것에서 드러난다. 작가는 망각을 방지하기 위해 구체적인 인물이나 사건의 형상을 세우는 기존 기념비의 권위적 특성과 전통적 형식을 거부했다. 한 눈에 이해하기 어렵거나 속이 비치는 기념비를 제작함으로써 망각의 과정을 그대로 수용하고 드러낸 것이다. 뿐만 아니라 쉽게 버려진 것들을 모아 주조하거나 콜라주와 같은 2차원 작업 속에서 반복적으로 축적 및 나열하는 방식을 통해 쉽게 망각되는 것들의 서사를 드러내고 기억하고자 했다. 마지막으로, 특정한 장소에 작품을 설치하는 화이트리드의 장소 특정적 작업은 사진, 영상, 지도와 같이 다른 매체들로 전시 공간에 회귀한다는 점에서 장소-비장소의 관계를 찾을 수 있다. 화이트리드는 작품을 둘러싸는 공간을 작품 안으로 가져옴으로써 그 장소와 관련된 여러 가지 사회문제를 표면화시켰다. 그리고 이는 다양한 기록매체, 즉, 비장소의 형태로 다시 미술관으로 들어오며 담론의 장을 더욱 확장했다. 이러한 각각의 대립항들은 분리되어 있다기보다는 오히려 서로를 긴밀히 연결하는 연결점으로서 화이트리드 작업에 나타난 복합적인 특성들을 설명한다. 이는 부재, 기억과 같이 한 가지 항이나 단일한 관점에서 연구되었던 기존 연구를 보완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따라서 본 연구는 화이트리드의 조각 작업을 비롯해 2차원의 평면 작업들을 아울러 세밀히 살펴봄으로써 화이트리드의 작업에 존재-부재, 망각-기억, 장소-비장소라는 양가적 측면이 공존하고 있음을 밝히고자 한다. 이는 인간에 대한 화이트리드의 관심이 점차 삶과 환경으로 이어지며 작가의 작업이 개인에서 사회로 확장된 것을 파악하는 연구가 될 것이다. 또한 기존에 잘 알려진 화이트리드의 조각 작품 이외의 평면 작업도 함께 살펴봄으로써 화이트리드의 작업을 보다 상세히 파악한 연구이기도 하다. 궁극적으로 본 연구는 삶에 대한 화이트리드의 관심과 다층적 견해가 그의 작업에서 어떻게 표현되는지에 대해 세밀히 고찰하고자 한다.;This thesis explores the ambivalent aspects manifested in the works of Rachel Whiteread (1963-). In her works, external influences such as the rapid changes in postwar Britain and international society, as well as her internal psychology, are intertwined. This study categorizes the complex features observed in Whiteread’s works into three relationships: Presence-Absense, Forgetting-Remembering, and Site-Non-site. It aims to examine how these opposing elements manifest in her artistic expressions. The 1980s, when Whiteread began her career, there was a vibrant emergence of Postminimalism, resisting Formalist Modernism, and incorporating external elements such as spatiality and temporality into artworks. This period was characterized by Existentialism, Subcultures, Pop Culture, and the rapid development of consumer culture starting from the mid-1950s following the aftermath of World War I and II, and those movements were sprouting gradually in the form of art. Concurrently, the UK, under the conservative leadership of Margaret Thatcher (1925-2013), experienced a significant reduction in support for the arts. Consequently, Young British Artists (YBA) had to act independently in planning and promoting their exhibitions. In addition to these unprecedented movements of artists, their unconventional works became known to the international art world. Whiteread, as part of YBA and a Postminimalist artist, incorporated everyday life and space into her works in a striking manner, solidifying her position in the art world. Whiteread’s works can be broadly classified into three contrasting relationships. Firstly, in works where she casts body parts, everyday objects, or entire spaces, the dichotomy of Presence-Absence is evident. Whiteread applied plaster to her own arm and leg or common objects like hot water bottles, the space beneath chairs or beds, and the interiors of buildings using various materials such as plaster, resin, and rubber. Casting the inside or empty space of an object that is often used in everyday life and the objects that metaphorically represent human beings show the traces of uses carried by humans, and serve as the indicator of existence, reminding us of absence. Secondly, the contrast between Forgetting and Remembering is revealed in her creation of Counter-Monument that subvert conventional memorial practices and in collecting objects treated as rubbish and repeating them in various shapes. She overturns the authoritative nature and traditional forms of existing monuments that erect concrete figures representing specific individuals or events. She creates monuments that are difficult to comprehend at a glance, acknowledging and revealing the process of forgetting. Additionally, as she collects and casts easily discarded objects or accumulates and arranges them in two-dimensional works like Collage, she aims to expose and remember the narratives of things that are easy to forget. Lastly, Whiteread’s Site-Specific works reveal the relationship between Site and Non-site, reverting to the exhibition space through various mediums such as photographs, videos, and maps. Actively engaging with the space surrounding her artworks, she brings to the surface various social issues related to that location. As a form of Non-site like various recording media, those emerges at the museum and expands the discourse further. Those ambivalent aspects in Whiteread’s works serve as interconnected points rather than being separated, explaining the complex characteristics of her works. This study contributes to supplementing existing research that has predominantly focused on single aspects such as absence, memory, or a singular perspective. By closely examining Whiteread’s sculptures and two-dimensional works, this thesis aims to show the coexistence of ambivalent aspects: Presence-Absence, Forgetting-Remembering, and Site-Non-site. It will examine how Whiteread’s interest in humans gradually extended to life and the environment, and her works expanded from individuals to society. Additionally, it delves into Whiteread’s two-dimensional works in addition to her well-known sculptures, providing a more detailed understanding of her works. Ultimately, this study critically examines how Whiteread’s multifaceted perspectives and interests in life are expressed in her work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