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01 Download: 0

18세기 중후반 영국 예술계의 공생과 경쟁

Title
18세기 중후반 영국 예술계의 공생과 경쟁
Other Titles
Partnership and Rivalry of Artists during the Second Half of the Eighteenth Century in England : A Study on Thomas Gainsborough’s Portraits of Performers
Authors
권나현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사학과
Keywords
게인즈버러, 18세기, 영국미술, 음악가, 고상함, 초상화, 취향, 취미, Gainsborough, eighteenth century, England, performers, portraits, portraiture, politeness, taste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전동호
Abstract
본 논문은 18세기 영국의 화가 토머스 게인즈버러(Thomas Gainsborough, 1727-1788)의 공연자 초상화에 나타난 예술가들의 사회적 위상과 관계에 대한 연구이다. 게인즈버러는 자유로운 화풍과 섬세한 필치, 동시대 의복의 정밀한 묘사를 바탕으로 당대 최고의 초상화가로 찬사를 받았다. 화가로서 드높았던 명성과 함께 그의 무대예술 선호는 미술사에서 잘 알려져 있다. 다수의 악기를 소장하고 연주를 즐겼던 게인즈버러는 공연자들과 각별한 교분을 나누며 이들의 초상화를 남겼다. 그러나 이러한 작품에 대한 기존 연구는 당대 급격한 사회 변화와 미술, 음악, 연극 그리고 무용 간의 긴밀한 관련성을 경시한 채 작품 속 인물 자체나 기법에 치중하는 경향이 있었다. 이에 본 고는 그가 남긴 다양한 예술가들의 초상화를 당시 각계에서 변곡점을 맞이한 영국 사회의 상황을 기반으로 삼아 분석하고자 한다. 직전 세기의 명예혁명으로 인한 입헌군주제의 수립, 산업혁명으로 촉발된 경제 발전으로 영국은 18세기 유럽을 장악했다. 사회경제 발달은 자본의 증대를 야기했고 새로운 소비층인 중간계급의 탄생과 성장을 도모했다. 이들은 토지나 상품과 같은 물질적 재산을 축적했으며 이어서 문화와 예술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기득권 집단인 왕족과 귀족 그리고 이에 합세하려는 중산층 모두는 사회적 태도와 감식안에 의미를 부여하기 시작했다. 이러한 추세의 기저에는 유럽 대륙의 전통문화에, 변모한 사회가 지향해야 할 가치를 제시한 ‘고상함’이 자리잡고 있었다. 윤리적으로 올바르며 교양을 갖춘 품격을 강조하는 고상함은 이성과 조화로 부각되는 담소, 교육과 수련으로 고취되는 ‘취향’을 전제했다. 고상함과 취향은 문화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예술을 생산하는 부류와 소비하는 계층 내외부 간의 위계 형성에 영향을 미쳤다. 당시 영국의 대도시는 국내외에서 몰려온 예술가들로 붐볐다. 오랜 기간 영국 내 최고 선호도의 유흥 양식이었던 연극은 정부의 관련 법안과 극장의 운영 체계 추진으로 더욱 번성하고 있었다. 연극계는 오늘날의 연예인에 필적하는 부와 명예를 누리는 배우를 탄생시켰다. 왕립미술원의 설립과 공공전시의 시행으로 미술가들은 벅찬 꿈을 안고 런던으로 이주했다. 독일에서 기원한 왕실이 적극적인 지지를 아끼지 않던 대륙의 음악가들 또한 입성했고, 오페라나 극과 결부된 무용수들도 입도했다. 타인과의 지성적 소통을 추구한 고상함은 클럽이나 협회, 유원지, 나아가 극장과 전문연주회장의 번영을 싹 틔웠다. 집성을 이룬 예술가들에게 공공장소의 확대는 폭넓은 가능성을 뜻했지만 한편으로는 치열한 경합과 위신 확보의 필요성을 시사했다. 게인즈버러 역시 새로운 시장을 찾아 여러 도시로 이동하며 화가로서의 입지를 굳히고자 했다. 그는 지역의 위치와 이점을 고려해 최적의 장소로 선취한 화실과 왕립미술원의 연례전시장을 작품의 진열 공간으로 십분 활용했다. 초상화 속 음악가들의 연주회장 또한 잠재 고객들을 상대로 실력을 내세울 수 있는 좋은 곳이었다. 음악에 대한 애호와 극장 무대장식으로 극예술에 애착을 가진 화가는 자국뿐만 아니라 외국인 공연자들과 공적, 사적으로 깊이 교류했다. 작품 의뢰인과 화가, 그림 속 인물의 관계는 당시 사회의 흐름만큼이나 복잡미묘했다. 게인즈버러는 음악가 초상화에서 악기의 종류와 지참 및 연주 여부를 인물마다 달리했다. 단지 연주자의 전문성과 기량에 따른 것이 아니라 성별이나 작품의 주문 의도, 전시 목적을 참작해 고심했다. 배우 혹은 무용수 초상화의 경우 의상과 자세, 표정이나 색채의 구성과 묘사에 심혈을 기울였다. 게인즈버러의 초상화와 관련한 연구는 영미권 학자들에 의해 적잖이 축적되어 있다. 하지만 타 예술 장르에 대한 그의 능동적 관여에도 불구하고 다른 부문의 예술가를 담은 작품과 문화적 상황을 통합적으로 다루는 시도를 찾기는 쉽지 않다. 경제나 계급, 예술 영역의 측면에서 복합적 요소를 지닌 회화를 탐구하는 데 있어 필수적인 학제간 접근이 간과되어 온 것이다. 따라서 본 고는 인물 간의, 그리고 분야 간의 조밀한 인접성을 중점으로 공연자 초상화를 읽는 데 역점을 두어 그간의 연구들과 차별성을 갖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18세기 중후반 영국의 사회문화적 맥락을 짚으며 끝없는 경합 속에서 예술가들이 처했던 환경을 살펴본다. 나아가 작품의 제작 계기와 과정, 시각 장치와 관객의 반응을 추적하는 단계에서 미술뿐만 아니라 음악, 연극, 무용의 역사와 정황을 두루 탐색한다. 이로써 본 연구는 당대 예술가들의 지위와 관계를 규명해 초상화를 에워싼 모두가 협력과 경쟁 속에서 각자의 위상과 열망을 시각화하려 했던 풍경을 입체적으로 이해하는 데 의의를 둔다.;This thesis explores the relationships and social status of artists depicted in the portrait paintings of the eighteenth-century English artist Thomas Gainsborough. Gainsborough, acclaimed as a leading portrait artist of his time, received praise for his free style, delicate brushwork, and precise depictions of modern attire. Alongside his reputation as a painter, his affinity for the performing arts is well-documented in art history. Possessing numerous musical instruments and enjoying musical performances, Gainsborough formed special connections with performers, capturing their portraits. However, existing research on such works has tended to focus on the sitters and techniques, neglecting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these paintings and the societal changes in art, music, theatre, and dance during that period. Accordingly, this study aims to analyse the various portraits Gainsborough left behind, considering them within the context of the societal transformations taking place in eighteenth-century England. The establishment of constitutional monarchy through the Glorious Revolution of the preceding century and the economic development triggered by the Industrial Revolution positioned England at the forefront of eighteenth-century Europe. The progress in socio-economic conditions led to the accumulation of wealth, the rise of the middle class as a new consumer group, and increased interest in culture and the arts. The prevailing notion of politeness, emphasising ethical conduct and cultured refinement, became central, highlighting the importance of virtue and sophistication fostered through rationality and harmony in conversation, education, and taste. The concepts of politeness and taste were closely tied to culture and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hierarchical formation between the artistic producing class and the consuming class. The cultural and economic growth prompted a flourishing of arts in major cities, attracting artists from both within and outside England. The theatre, a long-standing and highly favoured form of entertainment, saw further prosperity due to government legislation and improvements in theatre management systems. The theatre industry created actors who enjoyed wealth and fame comparable to today’s celebrities. The establishment of the Royal Academy of Arts and public exhibitions provided painters with opportunities to pursue their dreams, leading many to migrate to London. Musicians from the continent, actively supported by German-born royal family, joined, as did dancers associated with operas and plays. The pursuit of intellectual exchange, emphasised by politeness, contributed to the prosperity of clubs, associations, pleasure gardens, and, ultimately, theatres and professional concert halls. The expansion of public spaces offered vast possibilities for artists but also signalled the necessity for intense competition and securing prestige. Seeking new markets, Gainsborough travelled to various cities, solidifying his position as a painter. He strategically chose locations, such as his well-utilised studio and the annual exhibition venue at the Royal Academy of Arts, considering regional advantages. The concert halls of the musicians in his portraits also served as excellent spaces to showcase talents to potential clients. With a passion for music and a fondness for theatrical decor, Gainsborough found himself deeply involved in the public and private lives of both native and foreign performers.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commissioners, the artist, and the portrayed individuals in his works were as complex and nuanced as the societal currents of the time. Gainsborough differentiated the types of instruments, possession, and posture in each musician’s portrait, not only based on their proficiency and skill but also considering factors such as gender, the purpose of the commission, and the exhibition’s goals. In the case of portraits of actors or dancers, he dedicated meticulous attention to facial expression, costumes, postures, and the composition and portrayal of colours. While there has been a considerable accumulation of studies on Gainsborough’s portraits in Anglophone academia, integrating his active involvement in other artistic genres and comprehensively addressing works featuring artists from different disciplines and the cultural context has proven challenging. An interdisciplinary approach, crucial for exploring paintings with complex elements in terms of economics, class, and the art domain, has been overlooked.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provide a distinctive contribution by focusing on the dense proximity between individuals and disciplines, emphasising the reading of portraits of performers. To achieve this, the thesis initially delves into the socio-cultural context of eighteenth-century England, examining the environment artists faced amid the relentless competition. Furthermore, it explores the history and context of music, theatre, and dance, not just in the realm of visual art but also in the stages of production, visual devices, and audience reactions. Thus, this paper seeks to elucidate the dynamics of the positions and relationships among the artists, offering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multidimensional landscape in which portraiture unfolded—a terrain where all involved, amidst rivalry and partnership, sought to visualise their respective statuses and desir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