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50 Download: 0

바깥미술회의 생태미술 연구

Title
바깥미술회의 생태미술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Ecological Art of Baggat Art
Authors
김수정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은영
Abstract
본 논문은 ‘바깥미술회’의 생태미술을 살펴본 연구이다. 바깥미술회는 그간 한국의 정치적 상황에 대한 저항과 미술계의 양식적이고 심미적인 표현에서 벗어나고자 한 1980년대 소그룹 중 하나로 주목받아 왔다. 본고는 여기에서 나아가 바깥미술회의 ‘바깥미술’이 갖는 용어의 의미와 개념의 변모 과정을 중심으로 바깥미술회의 작업에 나타난 생태학적 관점의 구축 과정을 살펴볼 것이다. 이와 함께 이들의 생태학적 관점의 발전이 작품에 어떻게 반영되었는지 시기와 전시 장소별로 분류하여 고찰하고자 한다. 바깥미술회의 생태학적 관점은 한국의 환경문제라는 시대적 상황 속에서 형성되었다. 1990년대에 이르러 한국은 급속한 경제성장과 산업화를 이뤘으나 이에 따른 대도시 위주의 개발로 인한 자연 훼손, 공해, 생태계 오염 등의 문제를 동반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상황 속에서 바깥미술회는 기존의 자연을 대상화했던 인간 중심적인 사고에서 벗어나 자연과의 관계를 고민하고 자연에서 지향해야 할 가치들을 재고하고 작업 활동과 함께 토론과 연구회를 운영하여 환경문제에 관한 의식을 점점 더 구체화했다. 바깥미술회는 ‘바깥미술’이라는 용어의 발전을 통해 자신들의 자연에 대한 관점을 더욱 명확하게 구축했다. 바깥미술회는 1985년 ‘바깥미술동인’, 1986년 ‘바깥미술연구회’, 1992년 ‘바깥미술회’를 거치며 ‘바깥미술’이 가지는 용어의 의미를 발전시켰다. 작가들이 인간과 환경의 관계에 대해 지속해서 연구하고 탐구했던 자세는 1990년대 후반에 이르러서 생태학적인 관점의 구축으로 이어지게 되었다. 시기별로 변화된 ‘바깥미술’의 의미에는 바깥미술회가 시대적인 상황 속에서 예술의 역할에 대해 고민했던 것뿐만 아니라 인간과 자연이 하나로 연결된 유기적인 존재임을 찾아나가는 과정이 담겨있었다. 바깥미술회의 이러한 관점은 다양한 지역에서 전시를 개최하며 그 지역이 갖는 특성과 연결되어 더욱 발전되었다. 1990년대부터 2000년대의 대성리에서 이루어졌던 작업에서는 자연을 대상화하는 인간중심주의적 사고에서 벗어나 인간과 자연이 공존하고자 하는 자세를 제시했다. 나아가 2000년대 이후 난지도와 자라섬에서 진행된 전시에서 이들은 생태계의 순환을 통해 훼손된 자연이 회복될 수 있다는 메시지를 전달하였다. 마지막으로 2010년대에는 마을 프로젝트를 통해 마을 또는 지역 주민들에게 공동체적 의식을 전달하여 생태계의 지속가능성을 끌어내고자 했다. 이와 같은 바깥미술회의 작업은 그동안 인간이 자연을 공존의 대상이 아닌 도구로 여기는 태도에 대해 반성할 것을 촉구하는 동시에 자연의 회복 가능성을 제시했고 이는 바깥미술회의 생태미술을 발전시키는 기반이 되었다. 본 논문은 당대 사회문화적 맥락 안에서 변화되어 온 바깥미술회의 작업의 생태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그간 미술사에서 생태미술보다 사회적인 의식 또는 주류 미술계에 대항하는 하나의 흐름으로만 읽혔던 바깥미술회의 생태미술을 다각도로 검토할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는 바깥미술회의 자연에 대한 관심을 연대순으로 나열한 것에서 나아가 바깥미술회의 생태학적 관점을 입체적으로 재조명하여 한국에서 자생적으로 탄생한 생태미술의 흐름을 조망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This is a study looking into the ecological art of ‘Baggat Art,’ one of the notable artistic groups that emerged during the political turmoil of 1980s South Korea. Baggat Art distinguished itself by a defiant stance against domestic political affairs and artistic endeavors to challenge prevalent stylistic expression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go further beyond the preceding appreciation and delve deeper into the group’s dynamics. The research progresses by examining the developmental phases in constructing the group’s ecological perspective, tracking the increasing shift of the meaning and concept of ‘Baggat art.’ Additionally, this thesis extends to articulating how the group presents the ecological aspects through the artworks, employing a systematic approach of chronological and locational categorization. Baggat Art assumed the role of ecological advocates in response to a sudden surge in environmental issues in South Korea. Throughout the 1990s, the nation experienced rapid economic growth and industrialization, leading to disruptions in the function of nature and ecosystems due to the concentrated development of metropolitan cities. In this context, Baggat Art opposed the anthropocentric perspective, rejecting the objectification of nature. Instead, the group took on the responsibility of reconsidering the relationship with nature and its inherent value through artistic practices and complementary efforts, including research and discussions on environmentalism. The group’s attitude toward nature became determined as the meaning of the term ‘Baggat art’ went through increasing clarifications over time. The group renamed itself a few times, advancing the term ‘Baggat art’―translating to ‘the outside art.’ Each iteration occurred as follows: ‘Baggat Misul Dongin(Baggat Art Cenacle)’ in 1985, ‘Baggat Misul Yeongu-hoe(Baggat Art Research Association)’ in 1986, and the last, ‘Baggat Misul Hoe(Baggat Art Group, or Baggat Art)’ in 1992(names above transcribed in Korean phonetic sound). The artists of the group continued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the environment, refining their ecological thought until the late 1990s. The semantic change of the word ‘Baggat art’ year by year, represents the journey of the group navigating the role of art in its contemporary context and positioning itself as an organic entity interconnected with nature. The vision of Baggat Art found its own expression through active participation in various local exhibitions, each featuring the regionality of the areas. The work in Daeseong-ri, the group’s decade-long engagement starting from the 1990s, served as both an opposition to the human-centric thinking and an implication of the harmonious coexistence between humans and nature. Subsequently, in the 2000s, the group delivered a message: the recovery of polluted nature is achievable through the innate circulation capability of ecosystems, which was evident in the exhibitions held in Nanjido and Jarasum. In the 2010s, Baggat Art organized regional projects fostering community awareness and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Such practices promoted a reflective attitude upon underestimating nature as a mere resource rather than a companion on the earth and reminded of the resilience of nature, laying the foundation for the development of ecological Art of the group. This study analyzed the ecological aspects inherent in the work of Baggat Art, focusing on its responsiveness to the social and cultural context of its time. Employing a multi-dimensional approach, the research aims to comprehend Baggat Art beyond existing interpretations that attach importance solely to its social awareness or its challenge to the established art world. Consequently, this study proves significant in organizing the chronology of Baggat Art’s interest in nature and illuminating its diverse perspectives within the ecological area. In doing so, it demonstrates the contemporary trajectory of Korean native ecological ar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