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7 Download: 0

조선후기 모란문 청화백자 연구

Title
조선후기 모란문 청화백자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Porcelain with Peony Design Painted in Underglaze Cobalt Blue in the Late Joseon Dynasty
Authors
정승원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장남원
Abstract
본 논문은 조선 후기 제작된 모란문 청화백자의 문양의 기원과 사용 양상을 밝히는 것에 목표를 둔다. 특히 청화백자 모란 문양과 조선 왕실 의궤, 왕실 모란도병의 모란 도상 사이의 연관성에 주목하였다. 모란 문양 장식은 당대에 처음 사용되기 시작하여 송대에 크게 성행하였다. 모란은 본래 약초로 재배되던 식물이었으나, 당대(唐代) 황실에서 완상의 대상으로 주목받으며 왕실을 상징하는 꽃, 상서(祥瑞)를 나타내는 꽃으로 애호되었다. 송대(宋代)에 들어 모란은 ‘부귀(富貴)’를 상징하게 되었는데, 왕실, 부귀, 상서라는 상징성으로 인해 계층을 막론하고 회화의 소재와 장식 문양으로 널리 소비되었다. 국내에 모란과 모란 도상이 전해진 것은 신라 진평왕대이다. 삼국유사와 삼국사기에 모란씨앗과 모란도가 전해졌다는 기록이 남아 있어 당시 중국과 모란과 모란도의 교류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모란 문양은 고려를 거쳐 조선 초중반기까지, 금속에서 도자기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재질의 공예품에 시문되었다. 특히 고려와 조선초중반기에는 청자와 상감청자의 문양으로 시문된 사례가 다수 발견된다. 조선 후기 이전까지 국내의 모란 문양 장식은 다양한 재질에 다양한 기법으로 시문되면서, 유형화되지 않는 다양한 표현양상을 보인다. 그러나 모란은 조선 왕실의 의궤와 예례집에서만큼은 도안화되어 일관된 도상을 보여주는데, 이러한 도상은 청화백자의 모란문양과도 높은 유사성을 보인다. 조선왕실에서는 의례를 통해 조선 왕실의 권위를 시각화하는 과정에서 모란 문양을 이용하였다. 특히 왕실 가례와 흉례의 의물(義物)들, 왕실 연향을 장엄하는 채화(彩花) 장식, 왕실 묘소의 석물 장식, 왕실 의례의 모란도 병풍에 모란 문양 장식이 이용되었다. 모란문 청화백자는 조선 후기에 분원리 관요와 양구 칠전리 가마터에서 제작되었다. 모란문 청화백자가 제작될 수 있었던 요인은 복합적이다. 외재적으로는 청대 길상문화의 유입과 유행에 따른 길상 문양의 수요 증가와 중국으로부터 화보와 원예 서적이 유입되며 촉발된 모란이라는 꽃 자체에 대한 관심도와 수요 증가라는 요인이 있다. 내재적으로는, 조선 후기의 사회 변동과 신분제의 동요로 인해 성리학적 가치관보다는 기복호사(祈福豪奢)의 풍조가 생겨나며 ‘부귀(富貴)’를 긍정하였던 사회적 분위기와, 늘어난 청화백자 수요를 감당할 수 있었던 분원리 관요의 생산력 증대가 모란문 청화백자의 생산에 영향을 주었다. 또한, 궁중에서 그려지던 모란의 도상이 민간에 전파되었던 상황 또한 모란문 청화백자의 생산에 영향을 끼쳤다. 조선후기 청화백자의 모란 문양은 고려 청자와 조선초반 상감청자와 달리 도안화되고 일관된 시문 경향을 보이는데, 궁중 모란 병풍으로부터 유출된 모란의 도상과 모란의 민화적인 표현이 청화백자의 모란문양에 영향을 주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모란문 청화백자는 경기도 광주 분원리 관요에서 생산되었으며, 양구 칠전리 가마터에서도 분원리 양식의 모란문 청화백자를 계승하여 생산하였다. 모란문 청화백자는 궁궐 유적 및 종로 청진지구, 그리고 종로구, 중구 일대에서 주로 출토되었다. 왕실과 상류층의 생활용기로 사용되었으며, 시전을 통해 유통되었던 정황이 확인된다. 또한, 모란문 청화백자에는 왕실 및 왕실 의례와 관련된 명문을 시문하고 있는 기물들이 있어, 모란문 청화백자가 궁궐 및 궁가에서 사용되던 고급 기물이었음을 시사한다. 모란문 청화백자의 문양은 우선 꽃의 형태에 따라 Ⅰ반측면형, Ⅱ정면형, Ⅲ 측면형으로 분류된다. 반측면형의 모란문은 초기의 모란문에 나타나는 표현으로, 궁모란병과 의궤 도설에 등장하는 모란의 표현과 가장 높은 유사성을 보인다. 정면형과 측면형의 모란문은 민화적으로 변용된 모란 표현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생각된다. 청화백자의 모란 문양은 결합 요소에 따라 다시 유형분류가 가능한데, 모란절지문이나 모란당초문이 단독으로 시문된 것을 A 단일 문양 유형, 다른 문양과 결합하여 시문된 것을 B 복합 문양 유형이라고 규정하였다. 모란문 청화백자의 기종은 발, 병, 호, 접시, 합, 주자, 문방구 등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반상기가 주를 이루며, 문방구는 극히 소량만 제작되었다. 조선 후기에 제작된 모란문 청화백자의 성격을 종합하자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로, 모란문 청화백자는 궁중 모란도병과 의궤 도설의 모란과 그로 파생된 민화로부터 영향을 받았다. 가장 이른 편년유물인 개인소장 <백자청화모란문호>(1823)에는 의궤 도설과 궁중 자수본에 보이는, 꽃 주변으로 잎이 방사형으로 뻗어나가는 모란의 표현이 보인다. 모란은 이후 도안화를 거치며 정면형 모란과 측면형 모란의 유형으로 도안화되고 고착화되는 경향성을 보여준다. 다음으로, 모란문 청화백자는 왕실 혼례의 피로연과 왕실 어른을 위한 존호의례, 진찬의례에 소용되었다. 화려하고 장식적인 화면 구성, 그리고 부귀와 행복을 기원하는 모란의 상징성으로 인해 모란은 왕실의 경사스런 잔치에 소용되는 기물의 문양으로서 채택되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의례에 소용된 기물이 아니더라도, 모란은 길상적인 의미가 담긴 왕실의 생활기명으로서 사용되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모란문 청화백자 중에는‘큰뎐’, ‘웃뎐’, ‘上’등 왕실 어른의 생활공간에 사용되었다는 명문을 지닌 기물들이 있어, 모란문 청화백자는 왕실에서도 위계가 높은 인물들의 공간에서 소용되는 기물이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모란문 청화백자는 조선 후기 사회의 여러 문화적, 경제적, 정치적 요인들이 맞물리며 생산되었다. 따라서 모란문 청화백자는 다음과 같은 의의를 지닌다. 첫 번째로, 모란문 청화백자의 장식적이고 화려한 화면 구성은 당대 청화백자 수요층의 취향 변화를 반영한다. 다음으로, 모란은 왕실의 모티프가 길상도안화 되고 저변화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기물이다. 마지막으로, 모란문 청화백자는 분원리 양식이 민간 전파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기물이라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본 논문은 모란문 청화백자에 대한 종합적인 연구로서, 모란 문양의 기원과 제작 배경, 생산과 소비 양상, 문양과 기종의 유형, 그리고 성격과 의의를 규명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궁중 모란 도상과 청화백자 모란문양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특히 노력하였으나, 조선 후기 청화백자 모란문양을 시문하였던 주체에 대해서는 명확히 밝히지 못하여 연구에 미진함이 있다. 그러나 문헌과 의궤의 기록을 통하여 조선 왕실에서 모란 문양의 쓰임새를 규명하고, 왕실의 가례에서 행복과 장수를 축원하는 모란 문양의 용도를 밝혔다는 점에 의의를 둔다.;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origin and usage of white porcelain with peony design painted in underglaze cobalt blue, which was produced in the late Joseon dynasty. In particular, it examined the relationship among peony design of porcelain painted with underglaze cobalt blue, Uigwe(the royal protocols of the Joseon Dynasty), and the peony iconography of royal folding screen with peony designs. Peony patterns design were first used during the Tang Dynasty and became very popular during the Song Dynasty. Although peony was originally a plant cultivated as a medicinal herb, it received attention as an object of admiration in the imperial court of the Tang Dynasty; it was cherished as a flower symbolizing the royal family and ‘auspicious events(祥瑞)’. By the Song Dynasty, peonies came to symbolize ‘wealth and honor(富貴)’. Therefore, they were widely used as a material for paintings and patterns for decorations, regardless of the class. Peonies and peony iconography were first introduced to Korea during the reign of King Jinpyeong(眞平王, r. 579~632) of Silla. Records in Samguk-Sagi and Samguk-Yusa show that there was an exchange of peony and peony icons between China and Korea at that time. From the Koryo Dynasty to the early and mid-Joseon Dynasty, the peony design was applied to crafts of various materials ranging from metal to ceramics. In particular, many cases of them being used as a pattern for celadon and inlaid celadon can be observed during the times of the Koryo Dynasty and the early to mid-Joseon Dynasty. Until the late Joseon Dynasty, peony designs were engraved on various materials and using various techniques, showing a variety of expressions beyond classification. Peonies, at least in the Joseon Dynasty’s Uigwe, were standardized to depict consistent iconography similar to the peony design of blue and white porcelain. The royal family of Joseon utilized peony design to visualize the authority of the royal family during the ceremonies. To enumerate, ceremonial objects(義物) used in royal weddings and funerals, floral decorations used in royal banquets, stone decorations used in royal tombs, and peony-designed folding screens used in royal ceremonies all used such peony-designed decorations. Peony-designed porcelain painted in underglaze cobalt blue was produced at the Bunwon-ri royal kiln and Yanggu Chiljeon-ri kiln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re are several factors that led to the production of peony-designed white porcelain painted in underglaze cobalt blue. Externally, there was increased demand for lucky patterns(吉祥文) arising from the auspicious culture of the Qing Dynasty and the popularity of peony, sparked by the introduction of pictorials and gardening books from China. Internally, turmoil in the caste system by the late Joseon Dynasty led to changes in social atmosphere where people preferred wealth and prosperity over Neo-Confucian values; such a shift affirmed the value of ‘wealth and honor(富貴)’. Also, the increased production capacity of the Bunwon-ri royal kiln, which could cope with increased demand for porcelains, contributed to the production of peony-designed white porcelain painted in cobalt blue. Lastly, laypeople’s access to the royal peony iconography influenced their production. The peony design of late-Joseon porcelain, unlike that of the Koryo Dynasty and early to mid-Joseon Dynasty, tends to show consistent and standardized styles. It is believed that peony iconography leaked from royal folding screens and folk paintings of peony motif influenced the peony designs of white porcelain painted with underglaze cobalt blue. Peony-designed porcelain painted in underglaze cobalt blue was produced in Bunwon-ri royal kiln in Gwangju, Gyeonggi-do. Due to its high popularity, Bunwon-ri style porcelain was also produced in Chiljeon-ri kiln in Yanggu. porcelain with peony design painted in underglaze cobalt blue was mainly excavated from palace ruins, Cheongjin district, and areas in the vicinity of Jongro-gu and Jung-gu. Its excavation proves that it was used as an everyday item for the royal family and the upper class and that it was traded through the marketplace. Furthermore, some porcelains engraved with words related to royal family and royal ceremonies imply that peony-designed white porcelain painted in underglaze blue was a posh item used by the royal family. Peony design of white porcelain painted in underglaze cobalt blue can be categorized into I. half-side type, II. front type, and III. side type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flower. The half-side type is one that comes up in earlier versions of the porcelain and shares the highest resemblance to the peony in the royal vessel and the diagram of the royal protocols. Contrastingly, the front type and side type are regarded as having been influenced by peony expressions of the folk paintings. The peony design of the porcelains can be recategorized according to how they are combined with other designs: those inscribed with only peony-incised prints or arabesque patterns are defined as A. single pattern type, while those inscribed in combination with other designs are defined as B. combined pattern type. A wide variety of items are in the category of peony-designed blue and white porcelain, which includes a bowl, bottle, jar, dish, lidded bowl, ewer, stationery, seasoning jar, and basin. While most of the items were tableware, only a few were produced as stationery. To summarize, the characteristics of porcelain with peony design painted in underglaze cobalt blue are as follows: Firstly, it was greatly influenced by royal bottles with peony designs, diagrams of royal protocols, and related folk paintings. (1823), one of the earliest chronological relics, shows peony with its leaves extending radially around the flower, which is prevalent in royal embroidery and diagrams of royal protocols. It then shows a tendency to be standardized into frontal peony and lateral peony as it is transformed into more conventional forms. Secondly, porcelain with peony design painted in underglaze cobalt blue was used for royal wedding receptions and honor/banquet ceremonies for the elders of the royal family. Gorgeous and decorative visual composition, along with its message of wealth and happiness, must have been the reason why peonies were used as a decoration of objects used in festive times by the royal family. Even if a peony-designed porcelain painted with underglaze cobalt blue was not used in a royal ritual, it would have been used as an everyday item for the royal family with an auspicious meaning. There are porcelains that contain words like ‘큰뎐’, ‘웃뎐’, and ‘上’ which implies that they were used in the living quarters of elders in royal families. It can be inferred that it was an item used by higher-ups of the royal family. Cultural, economic, and political factors of the late-Joseon Dynasty contributed in production of blue and white porcelain with peony design. Peony-designed blue and white porcelain, therefore, has the following significance: Firstly, the decorative and splendid visual composition of the porcelain reflects the changing tastes of the demand group at that time. Secondly, it is an objective that shows how royal icons could be transformed to be more auspicious and commercial. Lastly, it has significance in that it shows how Bunwon-ri style was widespread among laypeople. This study is a comprehensive study on White porcealin with peony design painted in underglaze cobalt blue that aims to define the origin and cultural background of the peony design, its production and consumption patterns, and the significance of its production. This study puts special emphasis on ident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eony diagrams and peony design porcelain. Unfortunately, this study is flawed in that it fails to clearly identify who engraved the peony design on the porcelain. Nevertheless, this study was significant in that it was able to identify the use of the peony design in Joseon royal family through historical records from past literature and royal protocols: to bless happiness and prosperity during the royal wedding ceremoni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