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53 Download: 0

이호철 소설에 나타난 주체 형성과 통치성 연구

Title
이호철 소설에 나타난 주체 형성과 통치성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Formation of Subject and Governmentality in Lee Ho-chul's Novels
Authors
정현지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Keywords
이호철, 통치성, 소시민, 대중, 실천적 지식인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연남경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literary response of Lee Ho-chul to the contemporary literary field, which sought to establish a modern subject by focusing on the types of characters in his novels from the 1960s to the 1980s. It seeks to reveal that Lee Ho-chul's process of establishing himself within South Korean society and the literary circle was not a mere assimilation, but involved his own strategic approaches, securing distinctiveness in his novels. This arises from a motive to find new possibilities between the extremes of research that have previously understood Lee Ho-chul as either a petit-bourgeois writer conforming to the system or a critical intellectual resisting it. To achieve this, the paper utilizes Michel Foucault's concept of ‘Governmentality’ to interpret the complex power relations in Lee Ho-chul's novels, moving beyond binary thought of conformity and resistance. Foucault's concept of governmentality allows us to simultaneously understand the mechanisms of power operating throughout society and its effects in terms of subjectification. In this regard, the concept is an effective framework to reveal how Lee Ho-chul responded to existing power mechanisms by creating new forms of subjects through his literary works. Moreover, Foucault's discussion provides clues for interpreting the characters in Lee Ho-chul's novels not merely as beings passively absorbed by power, but as active agents choosing their actions. Therefore, this paper aims primarily to interpret the characters in Lee Ho-chul's novels in detaill from the 1960s to the 1980s using Foucault's concept of governmentality. Ultimately, it seeks to highlight the relationship between Lee Ho-chul and the literary field of the time, especially focusing on his distinctiveness. After the debate on petit-bourgeois and citizen was triggered in the Korean literary field in the late 1960s, the ideal of the citizen was promoted while criticizing the petit-bourgeois, and in the 1970s to 1980s, there was a movement to establish the Minjung and the nation's people as the main subject. The literary field's interest in what constitutes a modern subject aligns with the theories of ‘petit-bourgeois literature’, ‘popular literature’, and ‘national literature’ proposed in the 1960s to 1980s. Lee Ho-chul, who was actively writing during this period, shared the literary concerns of his time but also showed his distinction through his unique literary subjects. Thus, this paper focuses on Lee Ho-chul's novels from the 1960s to 1980s, intending to move beyond the generalized categorization of his characters as ‘petit-bourgeois’ and examine them as ‘petit-bourgeois’, ‘the masses(Daejung)’, and ‘the national’, to ultimately reveal how he created new forms of subjects and responded literarily. For this purpose, this paper primarily studies 『Sosimin』, 『Seoul is Full』, 『Door』, and 『Southerners and Northerners』, examining the portrayal of ‘the petit-bourgeois’, ‘the masses’, ‘the critical intellectual’ and ‘the national people’ in these novels. Previously, these characters were considered private beings who conform to power, but this paper aims to identify the complex aspects of power that cannot be simply asserted through binary logic of conformity/resistance or public/private. Furthermore, it seeks to reveal that the author Lee Ho-chul, by forming new subject types, participated in the formation of modern literary discourse of the time while producing distinctive features. Through this structure, the paper intends to confirm that Lee Ho-chul established his own strategies and secured a unique perspective that others could not see, by continuously interacting with literary discourses in South Korean society, thereby forming his unique literary world. Lee Ho-chul was able to maintain a unique authorial perspective by doubting and criticizing both the newly emerging power systems and the things that were taken for granted within the literary field and society. In this process, he persistently focused on those who could not fully become ‘nationals’ in the society of the time and those who were not granted the position of subjects within the literary field, exploring the possibilities inherent in their unstable lives.;본 연구는 1960-80년대 이호철의 소설 속에 나타난 인물 유형에 주목함으로써, 근대적 주체를 세우고자 했던 당대 문학장에 대한 이호철의 문학적 대응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남한사회와 문단 내에 이호철이 정착을 하는 과정이 완전한 동일화를 뜻하는 것이 아니라 작가 나름의 전략을 구사하고 있었으며, 그 과정에서 작가만의 변별되는 지점을 확보하고 있음을 밝히고자 한다. 이는 그간 이호철을 체제에 순응한 소시민 작가 혹은 체제에 저항한 비판적 지식인으로 이해해왔던 양극단의 연구 사이에서 새로운 가능성을 발견하고자 했던 동기에서 비롯되었다. 이를 위해 본고는 미셸 푸코의 ‘통치성(governmentality)’ 개념을 빌려 이호철의 작품 안에 내재하는 복합적 권력관계를 순응과 저항이라는 이분법적 사유에서 벗어나 독해하고자 한다. 푸코의 통치성 개념은 사회 전반과 모든 관계에서 작동하는 권력 메커니즘과 그 효과로서 주체화의 양상을 동시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한다. 그런 점에서 통치성 개념은 이호철이 기존의 권력 메커니즘에 대응하여 새로운 주체의 형태를 창출함으로써 문학적 대응을 했다는 것을 밝히는데 유효한 틀이 된다. 또한 푸코의 논의는 이호철 작품 안에 나타나는 개인들을 단지 권력에 무기력하게 포섭되어 있는 존재가 아니라, 오히려 능동적으로 자신의 행위를 선택하는 주체적인 존재로 독해할 수 있는 실마리를 제공해준다. 따라서 본고는 푸코의 통치성 개념을 통해 이호철의 1960~80년대 작품 속 인물들을 세밀하게 독해하는 것을 일차적인 과제로 삼았다. 최종적으로는 이호철이 그려내는 인물들이 당시의 문학장에서 생산된 담론들과 일치하면서도 변별되는 지점을 지니고 있음을 밝힘으로써 이호철과 당시의 문학장 사이에 존재하는 관계, 특히나 이호철이 지닌 변별점을 중점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1960년대 후반 한국 문학장 안에서 소시민-시민 논쟁이 촉발된 이후 소시민을 비판하면서 도달해야 할 이상향으로 시민이 내세워졌고 1970-80년대로 넘어가면서 민중 중심의 민족을 주체로 정립하려는 일련의 움직임이 나타났다. 근대적 주체로 무엇을 내세울 것인가에 관한 문학장의 관심은 1960-80년대에 제출된 ‘소시민문학론’, ‘대중문학론’, ‘민족문학론’과 부합한다. 당시 활발하게 창작활동을 한 이호철은 동시대적 문학적 고민을 공유하면서도 자신만의 문학적 주체를 통해 문단과 차별화된 점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본고는 1960-80년대 이호철의 소설을 중점 연구 대상으로 설정하여 기존 연구에서 ‘소시민’으로 뭉뚱그려져 왔던 이호철의 인물들을 ‘소시민’, ‘대중’, ‘민족’으로 나눠 그 양상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최종적으로는 이호철이 새로운 주체 형태를 창출하여 문학적 대응을 하고 있었다는 것을 밝히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소시민』, 『서울은 만원이다』, 『문』, 『남녘사람 북녁사람』을 중점 연구 대상으로 하여 각 작품에서 ‘소시민’, ‘대중’, 그리고 ‘민중적 지식인’과 그러한 지식인이 그려내는 ‘민족’의 모습을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그간 이들은 권력에 순웅하는 사적 존재로 간주되어 왔으나, 본고에서는 이들에게서 순응/저항, 공적/사적이라는 이분법적 논리로 단언할 수 없는 권력의 복합적 면모를 확인하고자 한다. 나아가 작가 이호철 역시 새로운 주체 형태를 형성함으로써 당대 근대적 주체를 세우고자 했던 문학 담론의 형성에 가담하면서도 변별되는 지점을 생산하고 있었다는 것을 밝히고자 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본 논문은 이호철이 남한 사회에서 작가로서 자리 매김하기 위해 문학 담론들과 부단히 상호작용함으로써 자신의 전략을 세웠으며, 남들이 보지 못하는 시선을 확보함으로써 작가만의 독특한 문학 세계를 형성하였음을 확인하고자 한다. 이호철은 새롭게 등장한 권력 체제와 문단 내에서 당연하게 간주되는 것들, 양자 모두를 의심하고 또 비판함으로써 독특한 작가적 시각을 견지할 수 있었다. 그 과정에서 작가는 당시 사회에서 온전하게 ‘국민’이 될 수 없었던 자들, 그리고 문학장 안에서 주체의 자리를 부여받지 못한 자들에게 지속적으로 관심을 기울여 왔으며, 이들의 불안정한 삶이 지닌 가능성에 대해 집요하게 탐색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