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8 Download: 0

윤흥길 소설의 공동체 연구

Title
윤흥길 소설의 공동체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Community in Novels by Yoon Heung-gil
Authors
김다솔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연남경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윤흥길의 1970-1980년대 산업화 시기 소설에 나타난 공동체를 지식인의 인식론적 각성에 기반한 국가 대항적인 집단에 한정해서 보는 것이 아니라, 존재론적 층위에서 연결된 이들의 공동체로 확장하여 분석하는 것이다. 윤흥길 소설 속 주체들의 새로운 공동체 추구는 지식, 계급과 같은 개인적 특성에 기반한 인식으로부터 형성되는 것이 아니다. 이는 자본 질서 아래에서의 자기보존을 동일한 삶의 조건으로 확인하는 데서 비롯되는 존재론적 층위에서의 변화다. 즉, 타자의 삶과 자신의 삶이 연결되어 있기에 생존을 위해서는 이를 모두를 지켜야만 한다는 현실의 논리를 몸소 감각한 자가 필수적으로 목표해야만 하는 공동체인 것이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기 위해 낭시와 블랑쇼의 무위의 공동체와 바깥의 공동체, 독립성과 자립성이 아니라 취약성과 상호의존성을 주체의 근간으로 삼는 버틀러의 공동체, 공통적인 것을 기반으로 한 네그리의 다중 공동체 등을 경유한다. 각 장은 존재론적 층위에서 연결된 공동체의 점진적인 확인과 구성 과정에 빗대어 자본주의적 구조가 통제하는 욕망이 가진 이중성의 지점, 계급의식의 분열을 통한 다중의 확인, 주체의 저항과 제도의 재구성을 중심으로 나뉜다. Ⅱ장 ‘자본의 포섭과 권력의 이중성’에서는 전 지구화된 자본 권력의 연결망 속에서, 포섭과 탈주라는 욕망의 이중성을 활용하여 확장된 공동체 의식을 되살리려는 시도들에 주목한다. 윤흥길의 소설에서는 도시의 반대항으로 간주되던 농촌 역시 개발과 동조의 대상으로서 자본 권력에 포섭된 공간으로 등장한다. 또한 가족마저도 자본 질서에 입각한 국가의 도구로 전락하는 현상들이 나타난다. 따라서 혈연가족, 동일한 이념적 집단과 같이 좁은 범위의 공동체를 고집하던 인물들이 공동체를 확장해 나가는 과정은 자본에 온전히 포섭되지 않는 초과를 보여준다. 이때 모성에 근원을 둔 관용과 사랑 그리고 대립을 반복하지 않으려는 노력은 확장된 공동체 의식을 형성한다. Ⅲ장 ‘계급의 인식과 위계의 균열성’에서는 서울중심적인 도시 발전으로 인한 공간의 위계화가 가져오는 계급의식의 발아, 이를 바탕으로 형성되는 지식인의 허위적인 계급의식을 분석한다. 그러나 도시 정비라는 정부의 폭력적인 배제 사업 앞에서 생존의 위협을 겪는 지식인 정체성의 무너짐은 계급의식의 균열을 불러온다. 이는 자본의 부조리함에 대항하려는 다중의 가능성이 도출되는 지점이다. 이익 창출의 공간으로 변모한 ‘집’에 응집된 욕망과, 이를 추구하면서도 계급적 차등을 두려 노력하는 지식인 인물들의 허위는 ‘광주대단지 사건’을 중심으로 드러난다. 이렇듯 자기기만적이고 타자 기만적이었던 인물들은 타자의 고충을 외면하는 치욕의 과정을 거듭한 뒤에 마침내 다중으로서의 역량을 확인하게 된다. 새로운 제도화를 이끌 주체들은 자본의 여부나 사회 내에서의 명예 혹은 직급의 구분에 의해서가 아니라, 이러한 다중의 확인으로 확보될 수 있다. Ⅳ장 ‘제도의 구성과 주권의 정지성’은 자본이 강요하는 환상 속에서 현실의 제도를 공고히 하는 주체의 실천에 주목한다. 이와 더불어 다른 상상을 통해 새로운 방향성을 구상하고, 짐승의 수성을 회복하여 주권을 정지시키는 다중적 저항의 실천을 함께 살펴본다. 다중으로서 집결한 이들의 최종적인 목적지는 권력을 지금과는 다른 방식으로 잡는 제도화로의 귀결이다. 권력은 불가능한 유토피아와 현실의 완고함을 보여주는 방식으로 주체를 체재 내부에 구속함으로써 제도를 계속해서 생산한다. 그러나 주체가 제도를 구성하는 근원적 요소라는 점에서, 새로운 상상과 주조되지 않은 수성을 추구하는 다중적 저항은 기존의 주권 제도를 정지시키는 대항권력을 작동시킨다. 윤흥길이 그려내는 새로운 공동체란 이처럼 일부 주체의 자각이나 선택적인 윤리적 자세가 아니라 우리의 삶이 그 자체로 불가분으로 얽혀 있다는 통렬한 존재론적 깨달음에 기반하고 있다. 산업화 시기에 진정한 인간 실존의 의미와 삶의 가치에 관해 묻고자 했던 윤흥길의 이러한 통찰은, 여전히 자본의 질서가 모든 영역을 잠식해버린 채 타자와 나를 가르고 협소한 자기의 범주와 생존을 미덕으로 강제하는 오늘날까지도 실효성 있는 전언이다.;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ommunities depicted in the novels of Yoon Heung-gil during the industrialization period of the 1970s and 1980s. Rather than limiting the view of these communities as oppositional groups based on the epistemological awakening of intellectuals, this research expands the concept to communities interconnected at an ontological level. In Yoon Heung-gil's novels, the pursuit of new communities does not rely on individual characteristics such as knowledge or class, but rather on an ontological shift stemming from recognizing a shared condition: surviving under a capitalist order. In other words, this change occurs among individuals who decide to preserve both their own lives and those of others due to this interconnectedness. The study explores through various theoretical frameworks of community: Nancy's "the inoperative community", Blanchot’s "the unavowable community”, Butler's community grounded in vulnerability and interdependence (as opposed to independence and self-reliance), and Negri's multitude based on commonality. Each chapter discusses the dual nature of desire within capitalist structure, the confirmation of community through class consciousness fragmentation, and the reshaping of institutions by the resistance of subjects, in the context of the gradual recognition and formation of communities connected at an ontological level. Chapter II, "Capital Inclusion and the Duality of Power," focuses on efforts to revive expanded community consciousness by exploring the duality of desire, the inclusion and escape within the realm of globalized capital power. In Yoon Heung-gil's novels, the rural areas once considered antithetical to the cruel city, are also subjected to the capitalist structure through development and assimilation. Even families are manipulated by nations grounded in capital order. Therefore, the expansion of community by characters who once persisted the narrow concepts, such as ideological groups, demonstrates a surplus not entirely encompassed by capital. This process is facilitated by the maternal tolerance and love, and the effort to avoid repeating conflict. Chapter III, "Class Consciousness and the Fragility of Hierarchy," examines the emergence of class consciousness through spatial hierarchies, a result of the Seoul-centric urban development, and the subsequent development of a fabricated class consciousness among intellectuals. However, the disintegration of intellectual identity and the death of the subject, resulting from the government's violent exception of subject under the name of urban redevelopment, led to fractures in class consciousness. We can observe the potential of the multitude to oppose capital's absurdities. 'Gwangju-daedanji Uprising' prominently features the condensed desire for 'home,' which has transformed into a space for profit growth. Simultaneously, it highlights the affectation of intellectuals who desperately yearn for ‘home’, and still sustain the clear hierarchy. Characters deceiving both themselves and others eventually recognize their capabilities as a multitude through repeated humiliation by the neglect of others' hardships. The agents for the institutional restructuring are identified by this realization of the multitude, rather than capital's provisions or societal hierarchy. Chapter IV, "Institution Building and the Stasis of Sovereignty," focuses on the practices of subjects who solidify reality's institutions within the illusions imposed by capital. Also, we examine the collective resistance to envision new directions and restore the animality, thereby halting sovereignty. The ultimate goal of subjects gathered as multitudes is re-institutionalization of power in a different manner. Power sustains institutions by constraining subjects within the system by demonstrating the impossible utopia and the inescapable nature of reality. However, since subjects are the fundamental elements of institutions, the multitude's resistance, seeking new imagination and uncast animalism, conveys a counterpower to halt the conventional sovereignty systems. The new community in Yoon Heung-gil's novel is thus based not on the partial awareness or selective ethical stance of some subjects, but on the profound realization that our lives are inevitably intertwined. His insights, which sought to question the true meaning of human existence and the value of life during the industrialization era, remain a potent message today, even where the capitalist order erodes all spheres, divides the self and the other, and enforces narrow self-interest and survival as virtu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