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9 Download: 0

한국어 '의존명사+용언'구성의 양태성 고찰

Title
한국어 '의존명사+용언'구성의 양태성 고찰
Other Titles
A Study on the Aspectuality of 'Dependent Noun + Predicate' Constructions in Korean
Authors
HU, SHENGSHU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Keywords
의존명사 ‘것, 수, 줄’, 통합결합형, 양태 의미, 문법화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임동훈
Abstract
본 논문은 문법화 과정에서 의존명사가 양태 기능을 수행하기 시작하는 단계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의존명사 '것, 수, 줄'을 대상으로 다양한 통합결합형을 조사하며, 이들 중에서 양태성을 갖는 통합결합형이 문법화하면서 해당 용언 및 구성요소들이 어떤 범주 변화를 겪는지에 대해 고찰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또한‘의존명사+용언’구성을 통해 나타나는 양태 의미가 고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정한 맥락에 의해 드러나는 양태 의미가 분화될 수 있다. 따라서 특정 맥락에 따라‘-ㄹ 것이다’,‘-ㄹ 수 있다/없다’,‘-ㄹ 줄 알다/모르다’구성이 드러나는 양태 의미도 같이 살펴보았다. 본격적인 논의하기 전에 본 논문에서 주장하는 양태의 개념과 하위 부류에 대해 논의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양태를‘어떤 명제나 사건이 가능 세계에 부합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범주’로 주장하였고, [가능성], [개연성], [필연성]와 같은 하위 부류를 따라가고자 한다. 또한‘의존명사+용언’구성을 통해 실현되는 양태 의미가 전형적인 양태 요소와 차이가 있다는 지적이 받았다. 그러나 범언어적인 관점으로 생각해 보면 이와 같은 분석적 체계에 의해 실현되는 방식도 포괄할 수 있다 보니‘의존명사+용언’구성의 양태성을 인정해 줄 수 있다고 본다. 물론 본 논문에서 양태를 바라보는 관점이 넓혀야 한다. Ⅲ장에서는 의존명사‘것, 수, 줄’로 이루어진 다양한 구성을 나열하여 구조상의 긴밀성을 통해 양태 의미를 갖는 구성을 확인하였다. 다른 결합형과 비교하여 구성요소의 기능, 의미 변화, 새로운 통사적 제약 등 다양한 방면에서 검토하였다.‘-ㄹ 것이다’구성이 문법화 하는 과정에서 구성요소의 기능 변화가 일어나며, 세 가지 구성 중에서 제일 긴밀한 구성을 형성되고 있다. 반면에‘-ㄹ 수 있다/없다’,‘-ㄹ 줄 알다/모르다’구성에서는 양태 구성으로 문법화하는 과정에서 후행하는 용언들이 기능상 변화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나아가 이 두 구성 간의 차이점을 들어보자면‘-ㄹ 수 있다/없다’의 ‘있다/없다’는 단순히 의미적인 역할뿐만 아니라 소유·존재 관계에 따라 다른 통사적 구조를 가지고 있어, 이중적인 양태 의미 해석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이다.‘-ㄹ 줄 알다/모르다’의‘알다/모르다’는 그렇지 않다. Ⅳ장에서는‘-ㄹ 것이다’,‘-ㄹ 수 있다/없다’,‘-ㄹ 줄 알다/모르다’구성들이 실현되는 양태 의미를 확인하였다. 특히‘-ㄹ 수 있다/없다’,‘-ㄹ 줄 알다/모르다’구성들이 짝이 이루어지는 용언 때문에 반대 의미로 나타내는 것으로 인식하지만 특정 맥락에 의해 대응되지 않을 때도 있다. 문법화 과정에 대해, 특히 양태 의미를 갖는 통합결합형이 형성되기까지 이뤄지는 문법화 과정을 살펴보는 것은 새로운 시각에서의 관찰이며, 고찰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앞서 논의를 통해‘의존명사 + 용언’구성들이 양태 의미를 지닐 때 구조적으로 긴밀해지는 경향이 있으며, 각 구성별로 구성요소의 기능 변화에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의존명사+용언’구성을 통해 양태를 나타내는 형태를 논의 대상으로 선택함으로써, 한국어 양태의 체계와의 관계 정리하는 데에 도움이 될 것이다.;This paper focuses on the stage in the process of grammaticalization where dependent nouns begin to perform modal functions. It investigates various integrated constructions involving dependent nouns '것 (thing),' '수 (way/possibility),' and '줄 (line/way)' to explore how the corresponding predicates and components undergo categorial changes during grammaticalization. Additionally, it examines how the modal meaning expressed through the 'dependent noun + predicate' constructions is not fixed but can differentiate based on specific contexts. Therefore, it delves into the modal meanings manifested through constructions such as '-ㄹ 것이다,' '-ㄹ 수 있다/없다,' and '-ㄹ 줄 알다/모르다' in particular contexts. Before delving into the main discussion, this paper discusses the concept of modality and its subcategories proposed here. Modality is asserted as a category indicating the degree to which a proposition or event aligns with the possible world, with subcategories including [possibility], [contingency], and [necessity]. The paper also addresses the modal meanings realized through 'dependent noun + predicate' constructions, pointing out their differences from typical modal elements. However, considering the broad perspective of a pan-linguistic viewpoint, it suggests acknowledging the modal nature realized through these constructions. In Chapter III, various constructions involving dependent nouns '것, 수, 줄' are listed, confirming the structural closeness that indicates modal meanings. A comprehensive review is conducted, comparing them with other combinatory forms in terms of the functions of components, semantic changes, and new syntactic constraints. It is observed that the '-ㄹ 것이다' construction undergoes functional changes in its components during the process of grammaticalization, forming the most cohesive structure among the three. Conversely, the constructions '-ㄹ 수 있다/없다' and '-ㄹ 줄 알다/모르다' show no functional changes in the predicates during their grammaticalization into modal constructions. Furthermore, the paper notes differences between these two constructions, highlighting that the '있다/없다' in '-ㄹ 수 있다/없다' not only plays a semantic role but also affects syntactic structure depending on possession and existence relationships, contributing to dual interpretations of modality. In contrast, the '알다/모르다' in '-ㄹ 줄 알다/모르다' does not exhibit such characteristics. In Chapter IV, the modal meanings realized through '-ㄹ 것이다,' '-ㄹ 수 있다/없다,' and '-ㄹ 줄 알다/모르다' constructions are examined. Particularly, the paper highlights that while the constructions '-ㄹ 수 있다/없다' and '-ㄹ 줄 알다/모르다' are perceived as having opposite meanings due to corresponding predicates, this opposition is not absolute and can be context-dependent. In conclusion, the paper emphasizes the need to broaden the perspective on modality, considering the way modal meanings are realized through the 'dependent noun + predicate' constructions. It suggests that understanding the grammaticalization process leading to cohesive modal structures contributes to a new viewpoint and is crucial for a comprehensive analysis of Korean modalit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