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6 Download: 0

통일신라 아미타 신앙과 불상 연구

Title
통일신라 아미타 신앙과 불상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Amitābha Cult and Its Sculptures in Unified Silla
Authors
정진영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사학과
Keywords
통일신라, 아미타신앙, 아미타불상, 물질문화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김연미
Abstract
본 논문은 통일신라의 아미타 ‘신앙’과 ‘불상’ 간의 관계를 다루며, ‘물질문화가 반드시 신앙의 성행에 비례하여 전개되지 않을 수 있음’을 밝히려는 글이다. 해당 시기 아미타 ‘신앙’이 크게 융성했음에도 불구하고 ‘불상’은 상대적으로 적게 조성되었다고 보는 ‘불교신앙과 물질문화의 불일치’라는 새로운 관점을 제시한다. 통일을 전후한 시기에 신라로 유입된 아미타신앙은 당의 영향, 승려들의 교화 활동, 전쟁이라는 시기성이 맞물리며 8세기에 대중신앙으로 빠르게 성장하였다. 이러한 상황은 해당 시기 아미타불상 역시 무수히 만들어졌다는 기대를 만들었고,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존명 미상의 불상들은 자세한 도상적 검토 없이 아미타불로 분류되었다. 그러나 명문이나 기록을 통해 확인되는 아미타불상의 분명한 예는 많지 않다. ‘수인(手印)’과 ‘서(西)’라는 방위를 기준으로 일부 상들이 아미타불로 비정되기도 하였지만, 이 시기 아미타불상의 수인은 일정한 규칙을 찾기 어려울 정도로 다양했고, 또 다수는 여러 부처가 공유했던 일반적인 도상이었기에 존명을 판별하는 올바른 기준이 될 수 없었다. 서면이라는 방위도 일정하지 않았다. 더욱이 아미타불만의 온전한 도상으로 여겨졌던 아미타구품인(阿彌陀九品印)마저도 17세기 일본에서 만들어졌음이 최근 밝혀졌다. 따라서 그동안 별다른 의심 없이 당연시 여겼던 신라 아미타불상의 존명 재조정이 불가피해 보이며, 신앙의 성행에 비례에 조상 활동도 활발하였다고 보아왔던 일반화 역시 재검토가 필요하다. 이와 같은 문제의식을 기반으로 첫째, 문자 및 시각자료를 전제로 아미타불이라 확신할 수 있는 상을 선별하여 범주를 체계화하고자 하였다. 둘째, 신라 아미타불상의 유형 및 전개의 큰 흐름을 분석하였다. 이 과정에서는 각 시기·지역·미술 장르별로 아미타불이 어떻게 형상화되었는지, 일정한 패턴이 있었는지, 그러한 시각 이미지가 가진 의미는 무엇인지 등도 함께 살피고자 했다. 셋째, 불상의 수인이 존명 추정에 신뢰할만한 단서가 될 수 있는지를 재확인하기 위해 신라 아미타불상의 수인 8가지를 꼼꼼히 분석하였다. 이 과정에서는 그간의 오류를 바로잡는 작업, 아미타불로 분류 가능한 상을 선별하는 작업을 병행하였다. 마지막으로 신라의 아미타불상이 같은 시기 조성된 다른 존상에 비해서, 신앙의 극성한 영향력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적게 조성되었음을 통계학적으로 증명하고자 하였다. 물론 아미타불상이 왜 신앙의 성행에 반해 활발하게 조성되지 못했는지도 아울러 검토하였다. 신라의 아미타신앙은 대중신앙으로 불렸을 정도로 일반 민의 적극적인 지지를 받았다. 따라서 돌·금속 외 나무·흙 등 약한 재료로 만들어진 상들은 모두 소실돼 사라졌을 가능성이 있다. 서민의 처지에서는 보존은 어려울지언정 비교적 비용이 적게 들며 제작방식이 간단한 목불(木佛)·전불(塼佛)의 아미타불상이 더 선호되었을 수 있기 때문이다. 또는 애초부터 적게 조성될 수밖에 없었던 이유가 있었던 것은 아닌지, 아미타불만이 가진 차별성으로부터 그 답을 찾아볼 필요도 있을 것이다. 비슷한 시기 중국 당에서는 아미타불의 명호를 외는 칭명염불 수행이 관련 경전 상의 기술과 정토학 승려들의 교화에 힘입어 크게 성행하였다. 실제, 수~당대 극락왕생을 위한 수행 방편으로는 염불이 가장 많이 행해졌으며, 의역어 ‘무량수불’에서 음역어 ‘아미타불’로의 존명 변화에 영향을 미치기도 했다. 신라 역시 원효, 의상 등 승려들의 노력으로 가난하고 무지몽매한 무리까지도 아미타불의 명호를 알게 되었으며, ‘나무아미타불’을 염송하는 소리가 들리지 않는 곳이 없게 되었다. 무엇보다도 아미타불을 암송하는 행위는 불상의 조성을 뛰어넘어 왕생을 위한 새로운 방편이 되었다고 생각한다. 염불이 극락왕생을 위한 다른 모든 공덕행과 동질의 가치를 가진다는 점, 더욱이 해당 공덕행을 대체할 수 있는 방편으로까지 경전에 언급돼 있기 때문이다. 또한, 관련 기사를 통해 볼 때 서민, 노비는 물론 승려까지도 극락에 왕생하기 위해 가장 열심히 행하였던 것은 아미타부처의 이름을 끊임없이 외우는 일이었다. 일반 민의 처지에서는 시간적·경제적 여건이 동반되어야 하는 조상보다는 쉽고 간단하면서 언제 어디서든 행할 수 있는 칭명염불이 더 선호되었을 것이다. 아미타불상이 신앙의 성행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게 조성된 것은 맞으나, 그렇다고 전혀 만들어지지 않았던 것은 아니었다. 죽은 이의 극락왕생을 바라는 추선을 위한 아미타불상은 적지 않게 현존한다. 게다가 신라의 미륵·화엄·조탑 신앙은 아미타불을 수용하였고, 그 결과 좀처럼 어울리기 힘든 존격과 나란히 만들어지거나, 다소 보수적인 학파의 실천행으로 나타나기도 했다. 본고는 이상의 논의를 통해 불상이 지닌 가치·의미·효용성 자체를 부정하려는 것은 아니다. 단지 불상의 조성이 가난하고 무지한 이들에게는 쉽지 않은 일이었음을 분명히 하려는 것이다. 또 신앙의 성행에 비례해 불상 역시 활발히 조성되었다고 단정하였던 그간의 일반화를 탈피하고자 하는 것이다. 요컨대 ‘불교신앙과 물질문화의 불일치’는 그 무엇보다도 신라 아미타신앙의 ‘대중성’을 가장 분명히 보여주는 현상이었다고 생각한다.;This paper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mitābha cult and its sculptures in Unified Silla 統一新羅 (676-935), proposing a new perspective called “Discrepancy Between Buddhist Cult and Material Culture.” While the Amitābha cult in Silla experienced significant growth, the creation of its sculptures was relatively passive in comparison. The Amitābha cult, introduced to Silla around the time of unification, underwent rapid development and became a widely embraced belief in the 8th century. This growth was influenced by the impact of the Tang 唐 (618-907) Buddhism, the missionary activities of monks, and the turmoil of war. As a result, there were high expectations for the creation of a significant number of Amitābha sculptures during this time. In an attempt to validate this expectations, unidentified statues, without detailed iconographic analysis, were often categorized as representations of Amitābha. However, there are few clear examples of Silla Amitābha sculptures confirmed through inscriptions or records. Some statues were designated as Amitābha based on hand gestures 手印 and their western direction. Yet, the diversity in hand gestures during this era made it challenging to identify consistent patterns, and many gestures were common representations shared among various Buddhas. Therefore it could not be a reliable criterion for identifying Amitābha. The direction was also inconsistent. Recent revelation such as the creation of the nine-grades mudrās 阿彌陀九品印, once considered a complete representation of Amitābha, in 17th century Japan, emphasizes the need for a reconsideration of assumed cases of Unified Silla's Amitābha sculptures. This paper begins by categorizing Unified Silla Amitābha sculptures using textual and visual sources. Subsequently, it analyzes the general trends and types of these sculptures, examining how Amitābha Buddha was visually represented across different periods, regions, and artistic mediums. The study also explores whether consistent patterns exist in their depiction and investigates the symbolic meanings associated with these images. The paper particularly conducts a comprehensive analysis of eight different hand gestures found in Silla Amitābha sculptures to assess their reliability for identification. Efforts are made to correct previous errors and to select statues that can be classified as representations of Amitābha. Finally, the paper aims to statistically demonstrate that the number of Amitābha sculptures in Silla was relatively lower compared to other contemporary statues or related textual records. It also delves into the reasons why Amitābha sculptures were not as actively created as one might expect, despite the popularity of the faith. The Amitābha cult gained widespread support in Unified Silla, even becoming a popular belief among the common peopl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sculptures made of less durable materials may have been lost or disappeared over time. Cost-effective and easily produced wooden and clay statues could be favored due to the economic constraints of the commoners. Alternatively, the relative scarcity of Amitābha sculptures in Unified Silla compared to other contemporary statues or textual records might be attributed to the distinctiveness of Unified Silla's Amitābha cult. During a similar period in Tang China, the practice of chanting Amitābha’s name 稱名念佛 gained popularity due to descriptions in scriptures and the efforts of monks. In reality, from Sui 隋 (581-617) to Tang, this practice was most commonly undertaken as a means of attaining rebirth in Sukhāvatī 極樂, the Pure Land in the west. This practice also influenced the translation of the term ‘Muryangsu 無量壽’ into ‘Amitābha 阿彌陀’. In Silla, monks such as Wŏn Hyo 元曉 (617-686) and Ui Sang 義湘 (625-702) played a important role in promoting Amitābha cult among the poor, and as a result, the sound of chanting ‘Amitābha’ echoed everywhere. Above all, the verbal recitation of Amitābha’s name surpassed the creation of sculptures and became a new means for attaining rebirth in the Pure Land. This is because recitation is mentioned in Amitābha related scriptures as having values equivalent to other virtues for rebirth in the Pure Land, and it is even suggested as a means to replace them. Additionally, based on records, it can be observed that commoners, slaves, and even monks were most diligent in reciting the name of Amitābha for the purpose of rebirth in the Pure Land. For individuals in ordinary circumstances, the chanting of the Buddha's name, being easier, simpler, and practicable anytime, anywhere, might have been more preferable than ancestral rites that require specific temporal and economic conditions. Although it is assumed that there were relatively fewer Amitābha sculptures created compared to the prevalence of the cult, it does not mean that they were entirely absent or never made. Existing Amitābha sculptures are still found, created to offer blessings to the deceased. Furthermore, the Amitābha cult in Silla, intertwined with beliefs in Maitreya 彌勒, Hwaŏm 華嚴, and the construction of pagodas 造塔, led to the creation of statues alongside incompatible Buddhas, or manifested as practices aligned with a conservative school of thought. Based on the above discussion, this paper does not seek to deny the inherent value, meaning, and utility of Buddha images. It aims to emphasize that the creation of such sculptures was not an easy task for the poor and uneducated. Additionally, it challenges the previous generalization that the active creation of Buddha statues was directly proportional to the popularity of cult. In conclusion, the “Discrepancy Between Buddhist Cult and Material Culture” is seen as a phenomenon that vividly illustrates the popularity of Unified Silla’s Amitābha cul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