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5 Download: 0

배려와 철학교육

Title
배려와 철학교육
Other Titles
Caring and Philosophy for Children : A Comprehensive Study of Matthew Lipman’s Caring Thinking
Authors
지혜인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대학원 철학과
Keywords
배려, 배려적 사고, 철학교육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이지애
Abstract
본 연구는 배려 개념을 어떻게 이해할지의 문제와 관련하여 정서와 사고를 비분리하는 관점에서 해석하는 방식을 옹호함으로써, 립맨(Lipman, M.)의 철학교육(philosophy for children) 이론에서 다차원적 사고 접근(multidimensional thinking approach)의 한 요소로 제시된 배려적 사고(caring thinking)에 대한 정확한 이해 방식을 확립하고, 이를 통해 철학적 탐구공동체(community of inquiry)에서 배려적 사고가 드러내는 특징 및 역할의 중요성을 강조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 연구가 철학교육의 관점에서 수행되어야 하는 이유는 바로 심리학, 윤리학, 여성학, 뇌신경과학 등 여러 분야에서 인간의 긍정적인 정서나 심리적 측면을 설명하는 과정에서 ‘배려’라는 개념을 다양한 맥락으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 및 활용되고 있는 개념인 만큼, 여러 분야에서 진행된 서로 다른 연구가 맥락 구분 없이 혼용되고 있는 현상이 발견되기도 한다. 이러한 현상이 발생한 원인 중 하나는 바로 철학교육 분야 연구 중에서 배려적 사고 개념에 주목하는 연구의 경우, 립맨이 제시한 배려적 사고의 정의 및 평가 기준을 그대로 따르면서 이것들을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교육 맥락에서 활용하는 방식의 연구가 많았기 때문이다. 즉, 배려라는 것이 과연 무엇이고 어떤 맥락에서 어떻게 해석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의보다는 배려적 사고를 어떻게 교육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지에 대한 논의가 주로 이루어지는 경향이 존재한다고 본다. 이것은 사고 유형을 개념화하여 제시하는 순서상의 문제와도 맞물려 있는데, 립맨이 다차원적 사고 접근 방식을 제안하기 전에, 비판적 사고와 창의적 사고로 구성된 고차적 사고를 먼저 제시한 다음, 그 후 자신의 주장을 보완·강화하는 과정에서 추가로 배려적 사고를 내세웠기 때문에 배려적 사고라는 개념 그 자체에 대한 논의는 상대적으로 부족한 상황이다. 립맨이 비판적, 창의적 사고에 배려적 사고를 추가함으로써 다차원적 사고 접근을 정식화한 것까지는 철학교육에 있어서 큰 성과라고 볼 수 있겠지만, 배려적 사고 개념을 제시하는 과정에서 좀 더 다양한 논의가 이뤄지지 않은 점은 아쉬움으로 남는다. 후속 연구자들 역시, 배려적 사고 개념을 명확히 규명하는 문제에 논의를 집중하기보다는 어떻게 해야 배려적 사고를 철학교육에서 다룰 수 있을지의 문제를 논의하는 경우가 많으며, 이것은 결국 인접 학문 분야인 도덕교육·윤리교육에서 다루는 배려 윤리 혹은 배려 직관에 관한 연구와 피상적인 통합을 시도하는 방향으로 이어지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이와 동시에 과학기술의 발전에 따라 인간의 감정, 사고, 선택, 판단, 행위 등을 신경과학적 관점에서 분석하고자 하는 경향이 강해짐에 따라, 주로 감정적 반응이나 경향성으로 분류되었던 배려 역시 이러한 흐름과 궤를 같이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배려를 일종의 자연적 느낌, 즉 자연적 배려(natural caring)로 여기는 나딩스(Noddings, N.)의 아이디어는 이후 심리학이나 뇌 과학 연구 분야에서 인간의 배려 감정의 근원을 옥시토신(oxytocin)과 같은 호르몬에서 찾는 방향으로 연결될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배려를 일종의 도덕 직관으로 보는 입장 역시 배려를 자연적 느낌으로 파악하는 방식과 유사한 연구 흐름을 보여준다. 대표적으로 하이트(Haidt, J.)는 사회적 직관주의 모델(social intuitionist model)을 제안하면서, 도덕적으로 옳거나 좋은 것으로 여겨지는 것들을 직관으로 파악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하이트는 사회적 직관주의 모델을 내세우면서, 배려, 공정, 충성, 권위, 신성함을 기본 속성으로 갖는 도덕 기반 이론(moral foundations theory)을 제시하는데, 이 이론에서 배려가 일종의 도덕 직관이자 도덕 기반으로 여겨질 수 있는 이유는 바로 배려라는 것이 인류가 오랜 세월 동안 진화 과정에서 맞닥뜨린 적응 도전 과제에 대한 반응이기 때문이다. 이처럼 배려를 느낌 혹은 직관으로 해석하는 입장은, 특정 감정을 본능적인 느낌 또는 즉각적인 정동 차원에서 해석한 다음, 이를 합리성 혹은 추론과는 완전히 분리된 것으로 여긴다는 문제점을 드러낸다. 또한 이러한 입장은 무엇이 도덕적 가치인지 판단할 때, ‘가치’라는 개념을 모든 인간이 가지고 있는 당연한 ‘사실’로 여긴 다음, 그러한 사실이 인간 종의 생존, 번식, 양육, 진화에 유용하기만 하다면 그것은 도덕적인 가치를 가진다는 식의 논의 구조를 갖고 있다. 결국 이러한 연구는 어떤 것이 가치있다고 여기는 인간 사유 그 자체의 근원이나 근거에 대해서는 논의하지 않았다는 맹점을 지닌다. 따라서 배려를 자연발생적인 본능적 느낌으로서 파악하는 관점이라든가, 또는 친사회적 협력을 강화하는 본능적 반응들이 직관에 의해 자동적으로 표현된 현상으로서 배려를 파악하는 관점을 모두 배려 개념을 피상적 차원에서 기술한 설명으로 보고, 이러한 방식으로는 배려 개념의 본질을 제대로 규명할 수 없다고 본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느낌으로서 배려를 규정하는 방식이나 직관으로서 배려를 파악하는 방식의 한계를 넘어설 수 있는 관점으로 정서와 사고의 비분리로서 배려를 파악하고 해석하는 관점을 제시한다. 이러한 ‘사고로서의 배려(caring as thinking)’란 정서와 이성을 이분법적으로 구분하는 방식에 문제를 제기하고, 양자의 통합을 적극적으로 지향하는 적극적인 사유 능력을 의미한다. 사고로서의 배려는 인간의 정서가 신념, 예측, 기대, 선택과 같은 주체의 인지적 가정에 기초하고 있음을 구체적으로 드러내 줄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가치를 헤아리고 평가하며, 신중히 생각하고, 진지하면서도 세심한 주의를 기울이고, 사고 과정 그 자체에 능동적으로 참여하면서, 세계에 대한 이해를 넓힐 수 있는 중요한 사고 기능이 될 수 있다. 즉, 사고로서의 배려는 정서와 사고가 각각 고립된 영역에서 대립적으로 존재하지 않음을 깨닫고, 이를 통해 임의로 나눠지고 분리되어 있는 것들에 대해 심사숙고하여 세계에 대한 확장된 이해를 추구하는 능력인 것이다. 배려 개념을 이러한 맥락에서 해석하는 방식은 철학교육에서 강조하는 사고력 교육의 정의 및 의미를 확장해 줄 수 있기 때문에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립맨이 다차원적 사고의 한 전형으로써 제시한 배려적 사고가 사고로서의 배려로 이해되어야 함을 주장하고, 이렇게 이해된 배려란 정확히 어떤 것인지에 대해 상세히 논의한다. 이러한 논의는 립맨이 추구한 탐구공동체의 이상을 좀 더 명확하게 보여주는 것이며, 이상을 구현하기 위한 방법론으로서의 철학교육에 대한 이해를 넓혀주는 것이기도 하다. 립맨은 사고를 언어 사용이나 논리적 개념 분석에 국한하여 정의하는 방식에 지속적으로 반대해 왔으며, 따라서 인간이 자신의 경험 속에서 탐구 주제나 문제를 발견하고, 개념과 개념 사이의 연결 관계를 찾고, 생각에 대한 생각을 이어 나가면서 존재와 세계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이를 통해 삶의 의미를 찾는 것이야말로 사고에 대한 올바른 이해라고 주장했다. 그리고 그러한 올바른 이해를 위한 이론적 토대 및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하는 것이 바로 철학교육의 역할이라고 보았다. 특히 세계에 대한 이해의 지평을 넓히는 것과 관련하여, 립맨은 비판적 사고와 창의적 사고만을 고차적 사고 개념 안에 포함시켰던 자신의 기존 관점을 수정하고 여기에 배려적 사고를 추가하여 사유, 존재 그리고 세계의 다면성을 강조하고자 했다. 따라서 배려적 사고는 단순히 철학교육에서 강조하는 사고의 유형이 두 개에서 세 개로 늘어난 현상으로 여겨질 것이 아니라, 이전에는 영역이 구분되어 있던 비판적 사고와 창의적 사고 간의 연결을 시도하는 힘으로써, 그리고 이를 통해 비로소 인간 사고의 능동성을 설명할 수 있는 중요한 개념으로 다뤄져야만 하는 것이다. 이러한 점에 주목하여, 본 연구는 배려적 사고가 비판적 사고 및 창의적 사고와의 관계를 어떻게 구성해 주는지에 대한 논의를 진행하고 이를 탐구공동체의 특징과 연관을 지어 설명하면서 탐구를 진행시키고, 사고 전형 간의 비분리를 추구하며, 탐구공동체의 협력적 사고를 지속시키는 특징을 가진 사고를 ‘배려하는 사고’로 볼 것을 제안한다. 그리고 이를 통해 립맨의 다차원적 사고 접근 도식을 새롭게 재구성하여 제시한다. 또한 실천적 논의 단계에서는, 립맨이 저술한 철학 소설을 활용하여 탐구공동체를 형성 및 지속해 나가고자 하는 수업 사례에서 사고로서의 배려가 가진 특징들이 어떻게 구현될 수 있는지에 대해서도 살펴본다. 덧붙여 날이 갈수록 심각해지는 생태 문제에 대해서도 배려적 사고가 중대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는 생각을 실제 수업 사례를 통해 검토한다. 오늘날의 생태, 환경 문제는 인간과 자연을 분리하여 생각하는 잘못된 이분법적 인식에서 비롯된 것이기 때문에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사고로서의 배려가 반드시 요청되며, 해결 방안의 차원에서도 정서를 갖는 것, 문제를 이해하는 것, 그리고 바람직한 행동을 실천하는 것 사이의 분리가 일어나서는 안 되기 때문이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배려라는 개념을 정확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정서와 사고를 분리되지 않은 상태로 해석하는 관점을 가져야만 한다고 주장하고, 이러한 관점적·능동적 노력이 립맨이 제시한 다차원적 사고의 한 유형이자 차원인 배려적 사고에 대한 정확하고 구체적인 해석을 가능하게 한다는 점에 대해 상세히 논의한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철학교육이 강조하고 있는 탐구공동체의 구성 및 발전 그리고 다차원적 사고를 통한 탐구의 진행 및 지속을 위해서는 이분법적 구분을 극복하고자 하는 능력으로 정의되는 배려가 자신의 특징적 요소들을 드러내야 함을, 즉 배려하는 사고를 발휘해야 함을 강조한다.;In this study, I have two aims in relation to the question of how we should understand the concept of caring. The first is to establish a clear understanding of caring thinking, as proposed by Matthew Lipman, which is one element of a multidimensional thinking approach; the second to advocate the importance of the features and role of caring thinking in the philosophical community of inquiry. To explore this, I adopt a Philosophy for Children (P4C) perspective. The concept of caring is versatile, finding application across diverse contexts to depict positive emotional and psychological aspects of human behavior in disciplines such as psychology, ethics, women's studies, and neuroscience. However, the term caring is often used without precise contextualization, leading to confusion. For instance, if one confuses the concept of caring ethics, often discussed in moral and ethical education, with the caring thinking in P4C, or employ the two terms interchangeably without a precise distinction, it would lead to an erroneous relation between the view of caring as psychological, physiological, or intuitive feeling to the holistic view of caring, which does not endorse the dichotomy between emotion and thinking. This confusion stems from many studies on caring thinking, which primarily centers on adhering to Lipman’s principles to evaluate caring thinking and apply them in practical educational contexts. In other words, the emphasis lies on how caring can be employed in education rather than on philosophical discussions about what exactly caring is and how it should be interpreted in different contexts. Furthermore, this confusion is intertwined with the chronological order of Lipman’s philosophical archetypes of thinking that he conceptualized and presented. Lipman initially introduced higher‒order thinking, consisting of critical and creative thinking, followed by the inclusion of caring thinking in his theory of thinking in P4C. These three types of thinking collectively form multidimensional thinking, proposing an intersection of them. This chronological order of discussion may explain why caring thinking itself has rarely been the center of debates. At the same time, the concept of caring has encountered a new era with the rise of neuroscience, which scrutinizes human emotions, thoughts, choices, judgments, and behaviors through a neurological lens. Caring, commonly perceived as an instinctual response or a maternal inclination, has become integrated into this new trend in scientific advancements. Consider Nel Noddings’ view of caring as a form of natural feeling, or natural caring. This perspective hints at potential future explorations in psychology and brain science, delving into the hormonal origins of human caring, such as oxytocin. The perspective of caring as a form of moral intuition aligns with a similar line of research to the view of caring as a natural feeling. For instance, Jonathan Haidt proposes a social intuitionist model, which argues that we possess automatic, unconscious intuitions about what is morally good. As part of his social intuitionist model, Haidt introduces a moral foundations theory that identifies caring, fairness, loyalty, authority, and sanctity as fundamental foundations. Caring can be considered a moral intuition and moral foundation in this theory because it represents a prosocial, automatic response to adaptive challenges that humans have faced over the course of our evolution. However, by understanding emotion as instinctive feeling or affect, these approaches interpreting caring as a feeling or intuition tend to detach emotion entirely from rational judgment or reasoning. Moreover, concerning the assessment of what holds moral value, they treat the concept of value as an unquestionable “fact” inherent in all humans. They also assume, without critical examination, that if this “fact” contributes to the survival, reproduction, nurturing, and evolution of the human race, it suffices for it to be deemed valuable. In essence, these approaches fail to explore the human capacity for assessing values or to provide reasoning behind why something is considered valuable. In this study, I propose a perspective that transcends the limitations of viewing caring solely as a feeling (Chapter II) or an intuition (Chapter III), instead interpreting caring as the non‒separation of emotion and thinking (Chapter IV). I analyze this as the pivotal aspect of Lipman’s caring as thinking, or caring thinking, challenging the dichotomy between emotion and reason. Caring as thinking specifically illuminates that human emotions are grounded in cognitive assumptions, such as beliefs, predictions, expectations, and choices. Thus, caring as thinking represents active cognition, acknowledging that emotions and thinking coexist and are not isolated in distinct domains. It is the ability to pursue a broader understanding of the world by contemplating things that are arbitrarily divided and separated. This thinking capacity empowers humans to assess values, attentively consider, and actively scrutinize the thinking process itself. Particularly, in Chapter IV, the core of this study, I delve into the role of caring thinking that constitutes the relationship among the three types of thinking: critical, creative, and caring thinking. I explore how caring thinking can positively influence the establishment and sustainability of the community of inquiry. In the pursuit of broadening our understanding of the world, Lipman revised his initial concept of higher‒order thinking, which originally comprised critical and creative thinking. Instead of proposing the concept of higher‒order thinking, which encompasses only two types of thinking, he incorporated caring thinking, highlighting the complexity and multifaceted nature of thought, existence, and the world. Consequently, Lipman argued against viewing caring thinking as an additional third wheel that merely increases the number of philosophical thinking archetypes from two to three. The introduction of caring thinking aimed to unify critical and creative thinking, which were previously considered separate domains, revealing the active and integrated nature of human thought. At this juncture, it's important to note that the English term caring thinking, as introduced by Lipman, can be translated into Korean in two distinct ways: as a noun and as a gerund. I purposefully choose to adopt the noun form in translation to represent a type of multidimensional thinking, and the gerund form to signify an ability incorporated into a community of inquiry. This choice aims to illustrate how the same conceptual term can carry different implications within various contexts. Contrasting with the noun form, the gerund form of caring thinking emphasizes the active nature of the concept, which is characterized by advancing and nurturing inquiry, exploring connections between thoughts, and fostering collaborative thinking within a community of inquiry. In conclusion, this study argues that a proper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caring necessitates considering emotion and thinking as inseparable. Additionally, it explores how this perspective enables an accurate and specific interpretation of caring as a type and dimension of multidimensional thinking, as proposed by Lipman. To establish the community of inquiry and carry on the sustainable inquiry through multidimensional thinking, both emphasized in P4C, caring―defined as the capacity to transcend dichotomies―must leverage its inherent characteristic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철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